그녀 이름은
조남주 지음 / 다산책방 / 2018년 5월
평점 :
절판


82년생 김지영으로 대한민국을 뒤흔들었다. 그녀가 다시 한 번 장편 소설을 펴냈다. 조남주 씨의 새로 나온 소설, '그녀 이름은'.

조남주 작가에 대한 설명 페이지이다. 나는 현남 오빠에게에 실린 단편과 82년생 김지영을 읽어 보았는데, 그녀의 소설의 가장 큰 특징은 르포에 가까운 현장 취재이다. 그게 이 책에서 특히나 빛나고 있다.

이 책은 말 그대로 인터뷰를 묶은 내용에 작가적 첨가물이 들어간 소설이다. 이걸 소설의 형태라 불러야 하는지 애매할 정도로 이 책은 다큐와 같은 형식과 내용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소설이란 것은 분명히 생각한 채로 읽어야 할 것이다. 괜한 오해가 생기지 않으려면. 이를 전제 하고 이야기 하더라도, 충분히 여성들이 마주한 충격적 현실에 대한 그 근본적 갈래는 무시할 수 없고, 남성이 읽더라도 그 슬픔이 함께 스며들 정도이다. 

여성이 겪은 슬픈 일들에 대해서 쭉 펼쳐 놓고 있는 이 책은, 이렇게 가까우면서 먼 우리의 이웃의 이야기를 담담한 듯, 그러나 그렇지 않게 풀어내는 데 의의가 있다. 소설에 의의가 있다니 이상할 수도 있겠으나, 이 책 만큼은 쓰여진 의도가 확연히 느껴진다. 그리고 그 의도대로 읽게 되리라. 이 부분도 역시나 우리가 들어봄직한 이야기를 펼쳐놓기에 남겨 두었다.

눈치없기도 권력이다. 역시나 요즘 넷상에서 들어볼 수 있는 말이며, 맞는 말이다. 이게 시사하는 바가 있는 거니까. 이 챕터의 독특한 점은 주인공이 아닌 그 주변인의 시선으로 쓰이면서 흔히들 하는 생각과 여성의 시각에서 쓰일 이야기가 혼재되어 등장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걸 읽는 이들이 자신의 생각을 대입해 볼 수 있다. 
 읽다 보면, 으레 이런 종류의 책들이 가지듯 생생한 현장 전달 등의 특징과 더불어 강력한 의도 역시 느껴진다. 혹자는 그 의도로 인해 너무 편중된 시각만을 드러내는 것은 아닌지 불편함을 표할 수도 있겠다. 그것도 가능한 것이 소설의 세계니까. 그래서 이 책의 존재 의의는 뚜렷한 게 아닐까 생각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