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소영의 친구들 - 제2회 사계절어린이문학상 대상 수상작 사계절 아동문고 105
정은주 지음, 해랑 그림 / 사계절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린 나이에 죽음이라는 이야기를 담는다는 건 참 어려운 것 같다. 교사인 나에게 교장선생님이 도의원이 죽음에 대한 교육 조례를 만든다고 어떻게 교육이 이루어지면 좋겠냐고 물었던 적이 있다. 솔직한 마음으로는 어떻게 시작하여야 할지부터가 참 막막했다. 그저 나에겐 참 어려운 소재였고 주제였다. 어쩌면 기소영의 친구들은 그것에 대해 조금이나마 그 교육에 대한 접근, 방향을 알려주는 책이 아닌가 싶다.

우리 학급 안에 누군가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났다는 이야기를 들었다면 책의 아이들처럼 가짜뉴스라며. 친했던 친구들 조차 멍한 상태에서 괜히 우물쭈물하게 되지 않았을까. 나 역시 가까운 친구들이 세상을 떠났다는 이야기를 들었을 때 슬픔보다는 멍함이 먼저 왔으니까 말이다. 그런데 그 때 주위에 있는 친구들이 참 중요한 것 같다. 세상을 떠난 친구에 대해 미안한 마음, 고마운 마음들이 늘 있었지만 그걸 입 밖으로 내보내면서 그 친구가 그런 면모가 있었구나를 더 알게 되는 그 때. 그 친구는 참 소중했지. 친구는 지금 우리 곁에 없지만 같은 추억을 나눌 수 있는 친구들이 있어 그 친구는 다행히 외롭지 않게 마무리할 수 있겠구나를 느끼게 될 때 마음 한 구석에 그 친구를 잘 묻어줄 수 있게 되는 게 아닌가 싶다.

가까운 친구가 세상을 떠났다. 그리고 그 부모님과는 여전히 안부를 주고 받는다. 자주는 못 하지만. 소영이 할아버지와 소민이 역시 마음이 어떨지는 조금이나마 느껴진다. 채린, 나리, 연화, 영진, 호준이는 아마 현실세계의 나처럼 조금이나마 위로를 건낼 수 있는 사람이 되고 있는 게 아닐까 싶다. 나에게 역시 그 친구는 열정을 가졌고, 따뜻한 봄볕같이 영향을 주었다. 마치 채린이가 느꼈던 소영이의 모습처럼. 시간이 벌써 10년이 지나가며 서서히 기억은 지워지고 있지만 그가 남겼던 따스함은 아직도 남아있다. 왜인지 오늘 멀리 묻힌 친구에게는 갈 수 없지만 친구 부모님께 연락 한 번 드려야 될 것 같은 느낌이 든다. 이 글을 쓰면서 괜히 눈물이 나는 건 등장인물들의 마음과 공감이 감과 동시에 친구들처럼 더 적극적으로 그리워하지 못한 나에 대한 반성이 되기 때문일까. ‘숨기지 말고 친구들과 함께 더 적극적으로 그리워해도 돼!’라고 그 때의 나에게 이야기 하고 싶어지기 때문일까.

소영이의 못 찾겠다 꾀꼬리가 마음을 참 울린다. 그런 소영이에게 우루루 다가가는 친구들을 보며 소영이는 얼마나 마음이 따뜻하게 세상을 마무리하였을까. 그리워하지만 꿈 속에서조차 붙잡지 않은 작가의 설정은 머리로 이해는 되지만 마음이 참 묵직해지는 부분이었다. 보이지 않을 때까지 손을 흔들며 여기는 걱정하지 말고 우리가 잘 기억하겠다고. 남아있는 가족들도 우리가 함께 하겠다고.

글을 마무리하며 표지를 다시 보았다. 노을빛이 참 예쁘다. 친구들의 밝게 인사하는 모습이 새롭다. 소영이 역시 미련보다는 친구들에게 평소와 다르지 않게 걱정말라고 인사하는 것만 같다. 아이들에게 죽음에 대한 교육을 망설였던 나에게 종을 울리는 책이다. 곧 조례가 통과하면 학교에서도 교육을 진행하게 되겠지만 망설이지 않고 이 책을 아이들과 함께하려고 한다. 나 역시도 그 나이에 그래왔고 그 이후에도 어려웠으니 아이들에게도 친구를 기억하는 이런 방법이 있어라고 하나의 방향은 이야기해 줄 수 있으니 말이다.

나에게 여기 없는 소영이를 기억하게 해 준 것처럼 내 친구를 기억하게 해 준 이 책에게 감사함을 전하고 싶다. 그리고 나에게 교육의 한 방향에 전환점을 준 작가님에게도 또 한 번의 감사함을 전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