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지 경영학 - 위대한 영웅들의 천하경영과 용인술
최우석 지음 / 을유문화사 / 200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등학교땐 만화로 보았다. 중학교때는 소설로 읽었다. 고등학교때는 이문열씨 작품으로 읽었다. 영화로도 보았고, 애니메이션으로도 보았다.
그러나 사람들이 왜 삼국지에 열광하는지는 이해하지 못했다.
그냥 일부 에피소드들은 재미있엇지만 무협지 만큼 흥미진진하지는 않았다.
읽었다는 만족감이 큰 경우도 많았다.

근래에 '삼국지 경영학'이라는 책을 읽게 되었다. 그냥 이런저런 경제경영도서를 챙기다 보니 따라 구매리스트에 올랐나 보다.
읽기 시작했다. 꽤나 알고 있는 인물들의 이야기는 책으로의 몰입을 쉽게 했다.
점점 더 몰입하게 되었다.
내가 읽었던 삼국지를 이런 틀로서, 관점으로서 해석해 가는 저자의 이야기 솜씨는 훌륭했다.
과연 누가 최고의 리더인가? 조조, 유비, 손권 삼국의 지도자들의 이야기가 나온다.
뭐 결과론을 볼때 결국 최고의 리더는 조조가 아니었나 싶다. 인간적인 매력과 그릇의 유비, 유연한 사고와 용인의 손권 또한 훌륭한 리더의 상이다.
왜 사람들은 조조를 악당으로 그리고 있을까 하는 의문이 생겼다.
범인은 초인을 이해할수 없는 것일까?

문득 삼국지가 다시 한번 읽고 싶어졌다. 엄두가 나지 않기는 하지만
이제 어느덧 삼국지의 다양한 면면을 이해하고 동감할 수 있는 나이가 된것이 아닐까?
허허, 영원한 베스트 셀러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he Goal (더 골)
엘리 골드렛 외 지음, 김일운 외 옮김 / 동양북스(동양문고) / 2002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어떤 프로세스가 있을때 그 프로세스의 진행을 좌우하는 제약조건이 존재한다고 한다.
이 제약조건의 상태나 상황을 조절하고 재편함으로서 전체 프로젝트의 성과 향상(놀라운 수준의)을 기대할 수 있다는 이야기이다.
일단 이 이야기를 하는 방법은 소설의 형식이다.
단순히 이론서서 그 이야기를 했다면 무척이나 졸린 내용이 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이 책은 재미가 있다.
문제가 있고 문제를 해결해가는 과정을 이야기 해주고 있어 구지 제약조건이론의 설명이라는 목적을 잊어버리더라도 재미있는 한편의 이야기이다.

이건 정말 추천할만한 책이다. 다음 2탄도 기대하고 있다. 제목이 뭐더라 It's not luck. 이던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머니볼 - 불공정한 게임을 승리로 이끄는 과학
마이클 루이스 지음, 윤동구 옮김, 송재우 감수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06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다소 지루한 데이터 열거가 된 야구 통계이야기가 아닐까 했는데.....
이건 너무 재미있다. 금방 읽어버리게 되었다.
미국 프로야구를 더 재미있게 볼수 있는 관점을 제공해 준다. 우리 프로야구도 마찬가지고....

저평가된 가치를 판단하는 능력이란 여러분야에서 공통으로 적용되는 기술인가보다.
가치기준을 세우는 것은 얼마나 중요한 일이던가?
재미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감사의 힘 - 0.3초의 기적
데보라 노빌 지음, 김용남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08년 1월
평점 :
품절


감사할 줄 아는 태도는 인생을 긍정적인 방향을 이끄는 힘이 있다.
감사의 힘

이게 다다. 별다른 가치를 발견하지 못하겠다. 광고 카피에 낚였다고 할수 있다. 기획도서다. 주로 일본 자기계발서로 자주 낚이곤 했는데...이번에 미국이구나.

아, 혹시라도 제 리뷰를 보시는 분. 이책이 가치 없다는 건 아닙니다. 저한테만큼은 별달리 남는게 없었다는 거지요.

감사의 중요성과 힘에 대해서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는 점에서는 위로가 됩니다.
책 디자인은 예쁘고 좋습니다.
한번 읽어 보시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을 읽는 방법 - 히라노 게이치로의 슬로 리딩
히라노 게이치로 지음, 김효순 옮김 / 문학동네 / 200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래 난 책읽기를 좋아한다. 읽는 속도에 비해 읽고 싶은 책이 더 많은 까닭에 늘 마음이 급하다.그래서 일까? 독서에 관한 책을 많이도 사본다.
독서의 기술, 독서의 역사, 무슨 무슨 책읽기....
가끔 생각한다. 내가 왜 이렇게 책읽는 방법에 집착하는지 말이다.
아마 어떤 책이 가지고 있는 양분의 모두를 섭취하고 싶은 욕망때문이 아닐까?
사실 내가 어떤 일이든 능률, 효율이라는 부분에 상당히 목매는 편이기는 하다.

이책은 슬로우 리딩의 가치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즉, 한권을 읽더라도 제대로 꼼꼼히 치열하게 읽으라는 것이다.
방법론도 제시하고 있지만 솔직이 좀더 패러다임에 관한 문제를 말하고 있는것 같다.
막연한 속독에 대한 동경을 거두어 주기를 바라는 책이다.

나는 아직 이 책에서 말하는 슬로 리딩에 적응하기가 힘들다. 지당하신 말씀이긴한데 어쩐지 잘 안된다. 아직도 모르겠다. 어떻게 책을 읽는 것이 좋은지..

어렴풋이 더듬어지는 것은 '즐겁게 읽기'가 아닐런지....
아 그리고 생각보다 책이 얇다. 또 그에 비해 비싸다고 느껴지기도 하고...두껍다고 좋은 책은 아니지만 읽는 즐거움을 만끽하기 위해서는 좀 부피가 되는 것이 좋은데....하드커버도 그다지 어울리지는 않는다.

작가의 명성에 기대는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