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몽드 디플로마티크 Le Monde Diplomatique 2023.11 2023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브누아 브레빌 외 지음 / 르몽드디플로마티크(잡지) / 2023년 10월
평점 :
품절


이민자로 넘쳐나는 구대륙은 동시에 냉소주의가 팽배한 곳이기도 하다.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해결하고자 했던 난민 문제는 이제 경제적 이유로 이주하고자 하는 이들을 배제하고자 하고, 이들이 끼칠 피해에 대한 목소리가 넘실 거린다. 그러나 경제적 이유는 생존의 문제와 전혀 별개의 것인가? 당장의 생계가 막막한 이들의 경우, 특히나 그 궁극적 원인이 유럽 국가들이 일으킨 문제인 경우, 그 문제가 분쟁 지역 난민의 문제와 무엇이 크게 다른지 모르겠다.

 

이스라엘-팔레스타인은 각종 문제로 복잡다단하게 얽혀 있다. 수십 년에 걸쳐 이미 이스라엘의 식민지화 돼버린 팔레스타인. 두 집단의 관계가 공생 관계가 되어버렸다는 점이 아이러니다. 전쟁의 뿌리를 안다고 한들 이미 얽히고설켜버린 두 나라를 분리해 낼 수 있을까, 라는 의문이 들었다. 

 

위키피디아는 다수의 민중이 백과사전 편집 권력에 저항하여 만들어낸 사이트였다. 다양한 변용은 '위키' 형식을 현대인들의 삶에 스며들게 했으나, 문제는 이를 정치적 이익에 따라 이용하는 사람들이 생겨난다는 것이다. '위키' 의 이름을 달고 반-민주적인 행태를 보이는 이들을 어떻게 바라봐야 할 것인가? 이에 대한 시민들의 진지한 논의가 필요한 때이다.

 

이번 11월 호가 나한텐 꽤 어렵게 느껴졌는데 읽다 보니 결국 또다시 돈의 문제로 수렴되는 것이 읽혀서 심란했다. 물론 권력과 자본 앞에 아무도 아무 말도 할 수 없는 것은 중국 엘리트층도, 쿠데타 정권을 옹호하는 제1세계 백인들도 마찬가지지만. 경제적 요인을 배제하고 현실의 정의를 논한다는 것이 불가능에 가까운 일이구나. 권력과 자본을 독점하기 위해 시민들을 통제하는, 곳곳에 편재된 파놉티콘을 어떻게 인지하고 비판해야 할지를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르몽드코리아로부터 제공받은 도서에 대한 서평입니다.

 

 

 

INSTAGRAM @hppvlt
https://instagram.com/hppvl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