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틸라이프
가이 대븐포트 지음, 박상미 옮김 / 을유문화사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틸 라이프> 는 정물을 둘러싼 사유에 관한 작가 가이 대븐포트의 에세이를 엮은 작품이다. 을유문화사에서 감사하게도 읽어볼 기회를 주셔서 읽게 되었다.


정물의 역사는 인류사와 함께 시작된다. "문명과 공생" 해온 정물은 밀의 경작과 와인의 숙성을 통해 자연이 하사하는 풍요로움을 예찬하는 방법이었고, "먹을 수 있는 적절한 음식, 이를 먹는 적절한 방법이 모든 정물화 속에 내재해" 있었다. 정물은 수확한 곡식을 음식으로 준비하고 조리하며 다른 이들과 나누어 먹기 위한 이 모든 식사 예절을 기록하는 방법이었으며, 야생에서 문명으로 발을 디딘 인간은 정물과 함께 하는 숙고의 시간 속에서 삶의 다층적 해석을 시도하기 시작한다.


인류사와 함께 발전해 온 정물은 종교전쟁 이후 17세기 네덜란드에서 번영을 맞게 된다. 중세 말 농업의 황폐화로 인한 기근, 극심한 가난, 흑사병, 종교전쟁으로 일컫어지는 30년 전쟁은 자애롭고 평화로운 성모 마리아와 아기 예수로 상징되는 중세의 전성기를 끝낸다. 종교 전쟁 이전, 주로 실내 장식으로 쓰이던 정물화는 전후 사실주의를 표방하면서도 세속적 삶의 무용함과 인간은 누구나 죽음을 맞이한다는 염세주의적 실재를 재현하는 상징물로 기능하게 된다. 더불어 가톨릭의 우상숭배를 격파하고자 하는 칼뱅파 귀족들의 후원에 따라 번성하였으나, 칼뱅주의적 감화는 화가들로 하여금 세상의 부귀와 명예를 허무하고 무의미한 것으로 표현하게 만든다. 즉 죽음과 지옥에 대한 공포를 불러 일으키는 교회의 프로파간다로서의 정물은 스페인을 몰아내고 전성기를 맞이했던 네덜란드에서 르네상스를 맞이한 것이다. 빛나는 여름 과일 광주리, 대지의 풍요로움, 정물을 놓을 공간 등은 귀족 개인으로서의 부를 상징하는 과시이지 않았을까.


본디 소박한 예술인 정물화는 화가가 아이디어나 색채, 의견들을 실험해 보기 유용한, 사색하기 좋은 형태의 장르였다고 한다. 18세기에 이르면 이러한 '헛되고 헛된' 상징물의 연속에서 벗어나 화가 개인의 취향이나 감상을 위해 정물화가 그려지게 된다. 이제 화가들은 개인으로서의 자기 삶에서 특별한 의미, 더 나아가 삶과 사물의 본질을 포착해 재현해내고자 한다. 살아생전 반 고흐는 194점의 정물화를 그렸다는데, 이는 삶이라는 진실에 다가가기 위한 무수한 변주를 만들고자 했던 그의 분투가 아니었을까. "전쟁이 끝나고 죽음의 캠프에 관한 끔찍한 일들이 폭로되었을 때, 피카소는 홀로코스트에 대해 어떤 반응을 해야 한다고 생각했고, 이상하게도 그는 그 응답의 장르로 정물을 택했다." 그는 정물과 함께 하는 숙고의 시간을 통해 인류사 과거의 유산을 검토하는 시간을 가졌고, 이는 곧 모더니즘의 정신이기도 했다.


현대의 정물은 인용, 패러디, 문화적 목록을 포함하는 콜라주 등의 다양한 형태로 보여진다고 한다. 예술은 현실의 복제일 뿐인가, 현실 저 너머의 실재를 재현하는 도구인가, 아니면 그 모든 것들의 상호복합적 작용의 결과물인가. 우리는 Still Life (스틸 라이프) 로 일컫어지는 정물을 사색과 응시의 대상에 불과한 것으로 보곤 한다. 그러나 이 책은 어쩌면 정물이 "진실을 보는 방법이 한 가지만이 아니라는 것" 을 우리에게 가르쳐주기 위해 다양한 변주를 통해 계속해서 <낯선 말> 을 건네는 그 무언가일지도 모르겠다는 것을 이야기한다.


을유문화사로부터 제공받은 도서에 대한 서평입니다.

 

 

 

INSTAGRAM @hppvlt

https://www.instagram.com/hppvl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