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제14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
이미상 외 지음 / 문학동네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올해 젊작 중에서 좋았던 두 편

 

 

방임된 세 사람의 유사가족적 연대와 모험 ㅣ 단편 <모래 고모와 목경과 무경의 모험>, 이미상 저

 

카페에 세 여자가 있다. 그중 둘은 소설 쓰기의 어려움에 관해 이야기한다. 한 여자가 자신의 소설에는 한방, 즉 에피파니epiphany 가 없다고 하나 실은 그 한방의 부재가 자신의 <선택> 으로 말미암은 거라 주장한다. 이에 듣고 있던 다른 여자는 그건 선택이 아닌 <능력> 부재의 결과라 반박한다. 두 사람이 선택의 문제냐, 능력의 유무냐의 문제에 관해 논할 때 세 번째 여자가 플라스틱 용기와 비닐봉지를 사용하지 않겠다는 자신의 <실천> 을 보여준다. 비록 의지에 비해 몸이 따라주지 않는 세 번째 여자였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선택에 따라 할 수 있는 바를 실천' 한다. 이런 세 사람의 이야기를 주인공 목경이 엿듣고 있다. 사실 엿듣기 위해 듣고 있던 것은 아니었지만. 고모의 상중喪中 인 목경은 세 사람의 이야기를 듣다 고모와의 기억을 떠올린다.

 

가족으로부터 소외된 집안의 막내딸 고모와 양육의 책임을 던져버린 부모로 인해 방임된 목경과 무경. 세 사람의 관계는 고모가 집안에서 가출하여 목경과 무경의 집으로 오면서 시작된다. 어린 목경과 언니 무경은 꽤 다른 자매였다. 무경은 늘 책을 읽으며 ㅡ 어쩌면 현실도피와도 비슷한 모습을 보이며 ㅡ 지금은 경험할 수 없는 무수히 많은 이름과 세계 속에 매몰된다. 어린 목경은 부모 대신 자신과 함께 해주는 고모에 매몰되고 고모에 대해 언니 무경과도 공유하고 싶지 않은 독점적이고도 배타적인 소유욕을 느끼나, 세 사람의 모험 끝에서 고모의 선택은 무경이 된다.

 

액자식 구성으로 이루어진 이 작품은 별개의 무관한 두 이야기가 병렬된 것으로 보이나 사실 선택과 능력의 문제라는 측면에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하고 싶다 한들 할 수 없는 일

어린 목경은 발랄하나 경험의 부족으로 언니 무경의 세계와 고모를 둘러싼 상황을 온전히 이해하기 힘들다. 고모를 독점하기 위해 고모의 관심을 끌기 위한 무엇이든 하려 하나, 애초에 고모의 내면을 알아차릴 경험 및 통찰이 부재했기에 고모의 선택을 받을 수 없었다.

 

할 수 있지만 하기 싫은 일

집안의 원치 않는 막내딸의 위치였던 고모는 어쩌면 살아오면서 하기 싫지만 해야 하는 (그러나 할 수는 있는) 일들을 해오는 것에 체념하며 살아온 걸지도 모른다. 자신과 비슷한 처지인 어린 조카들을 데리고 사냥을 떠나며 은밀한 내면을 보여주고자 하나 자신의 욕망이자 병기인 '츄츄' 를 잃어버리며 보이는 모습은 다시금 할 수는 있으나 하고 싶지 않은 일에 짓눌려 살았던 모습을 보이는 듯하다. 이런 지점에서 고모가 하기 싫은 일을 무경이 정확히 짚어내어 대신해내며 작품 속에서, 고모의 시선 속에서 '융기' 한다. 이는 어쩌면 조카와의 관계 속에서 고모가 찾아낸 (목경은 몰랐을) 한방이자 에피파니가 아니었을까.

 

단편 <모래 고모와 목경과 무경의 모험> 속 세 사람 고모와 목경과 무경은 가족의 보살핌으로부터 버려진 사람들이다. 작품은 이들이 유사가족을 이루며 시작되는 이야기이나 그것이 전부는 아니다. 가능과 선택의 문제라는 갈래 속에서 다시,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는 방식으로 실천하는 액자 밖 이야기의 세 번째 여성의 모습이 인상 깊었다.

 

 

빈 괄호의 삶 ㅣ 단편 <제 꿈 꾸세요>, 김멜라 저

 

화자는 자살과 사고사의 중간쯤에서 애매하게 죽은 상태로 남겨질 시신과 공과금 고지서 등의 처리 문제로 생애 관계있던 사람들의 꿈속에 나타나고자 한다. 죽음의 원인에 관한 오해를 풀기 위해 사랑했던 이들의 꿈속에 나타나고자 한다. 친구, 연인, 엄마의 꿈속으로. 작품 속 망자는 길손이라는 이름으로, 길손의 길을 안내하는 자는 가이드라는 이름으로 지칭된다. 길손은 생애 걸어온 길을 너머 먼 길을 떠나는 나그네란 뜻으로 지어진 걸까. (그렇다면 꽤나 낭만적이다) 친구의 꿈속으로 갈까, 헤어진 연인의 꿈속으로 갈까, 엄마의 꿈속으로 갈까 고민하던 길손은 더 이상 자신의 삶을 설명하고 완결하기보다는 미완결의 빈 괄호의 상태로 두기로 결심한다. 자신을 위해 그들의 꿈속으로 찾아가기보다는, 그들을 위한 꿈을 만들어 주고자 한다.

 

내가 읽은 김멜라 작가님의 <제 꿈 꾸세요> 는 홀로 외롭게 죽어간 이가 사랑하는 이들의 꿈속에서 그들의 환대와 마중, 웃으며 떠나는 이별을 바라는 이야기였다. 죽은 자의 이야기가 이토록 서정적이고 말랑할 수 있을까. 삶을 빈 괄호의 상태로 남겨두겠노라 말하는 화자의 다짐이 인상적인데, 어쩌면 '빈 괄호' 란 어떤 선결된 판단도 유보하고 주어진 삶이라는 가능성의 바다를 마음껏 유영해 보라는 작가님의 메시지가 응축된 표현이 아닐까 싶다.

 

 

 

INSTAGRAM @hppvlt

https://www.instagram.com/hppvl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