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 쓰는 법 - 독서의 완성 땅콩문고
이원석 지음 / 유유 / 201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평가의 독서법> 을 살 때 함께 샀던 책이다. 제목은 <서평 쓰는 법> 이나 방법론에 관한 글이기보다는 독서라는 행위의 본질과 의의, 그리고 독서를 통해 세계와 소통하는 법을 이야기하는 글이라 오히려 부제인 '독서의 완성' 이 글의 취지에 더 적합하다. 개인적으로는 앞서 읽은 <서평가의 독서법> 이 실전서이자 모범 사례라면 이 책은 이론서이자 분석서에 가깝다는 생각이 든다.

 

제목 및 목차에서부터 작품이 한 시대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평하는 것까지 서평의 다양한 방식을 소개하고, 독서를 한 후 바로 실천할 수 있는 행위까지 소개한다. 물론 원론적인 이야기는 해당 분야 비슷한 책들이 다 비슷한 얘기를 하리라 생각한다. 그러나 누군가의 글을 읽고 내 사유를 기록으로 남기는 걸 체계적으로 배워보고 싶다고 하면 적극 추천할 만한 책이다.

 

한 작품이 세상에 나온 이상 그 작품은 더 이상 작가만의 소유물이 아니게 된다. 작품은 작가와 독자, 작가와 세계, 그리고 독자와 세계를 매개한다. 독자는 작가의 여과물을 통해 자신이 경험해 보지 못한 세계를 간접 체험할 수도 있고, 더 나아가 작가라는 존재를 탐험할 수도 있다.

 

나는 뭔가를 접할 때 내 언어로 요약하는 것을 굉장히 중시하는 편인데 책에서도 요약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어서 믿을만한 선생님께 확언받은 기분이라 마음이 놓였다. 그러나 요약 속에 내가 여태 접하고 사유해 온 게 묻어나기 마련이라는 점에서는 계속 노력해야겠다고 생각했다. 열심히 읽고 열심히 써야겠다. 그리고 정제된 언어를 구사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겠다.

 

발췌

 

[...] 좋은 책은 그 책의 전문가를 포함한 독자의 해석을 매개로 하여 계속 성장합니다. 그러한 책의 경계는 가변적입니다. 그 경계에 독자가 서 있습니다. 독자의 독서가 곧 해석이며, 좋은 해석은 텍스트를 확장시킵니다.

 

[...] 텍스트에는 무엇보다 저자가 의도한 사유와 의도하지 않은 욕망이 혼재되고, 저자의 사유와 타인의 통찰이 뒤섞입니다. 그 이면에서는 그가 살아가는 시대와 세계가 함께하며, 이후에는 독자가 텍스트를 새롭게 읽어 가면서 새로운 의미를 덧칠합니다.

 

[...] 모든 독자는 선택한 책을 새롭게 읽는 가운데 자아를 쇄신하고 확장하는 여정에 나서게 됩니다.

 

[...] 독자는 책을 대할 때 자신의 머릿속에 있는 문제의식에 따라 책을 대하며, 그 문제의식에 따라 특정한 방식으로 질문을 제기합니다.

 

 

 

INSTAGRAM @hppvlt

https://www.instagram.com/hppvl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