셋 중 하나는 외롭다 파란 이야기 4
박현경 지음, 나오미양 그림 / 위즈덤하우스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셋 중 하나는 외롭다 》

글 박현경 / 그림 나오미양

위즈덤하우스





어릴 적 친구들과 어울리다 보면 종종 이런 경우가 있었어요.

홀수로 모이게 되면 어느 누구 하나가 덜 어울리게 되는 것 말이죠.

그렇게 어울리다 보면 결국 단짝 친구로 두 명씩 짝수로 되더군요.

그래서인지 이 책 제목을 보자마자 마음에 와닿더라고요.



 



《셋 중 하나는 외롭다》


위즈덤하우스 출판사에서 '십대를 위한 문학 시리즈'로 선보이고 있는 「파란 이야기」 의 네 번째 책이랍니다.

세 친구가 나란히 걷고 있지만, 어쩐지 한 친구는 불편해보이는 느낌을 주는 이 책《셋 중 하나는 외롭다》 는 어떤 이야기를 품고 있을지 한 번 볼까요?




 



아빠와 엄마와 함께 네팔의 어느 사원을 구경하던 혜슬이는 한 순간 부모님을 시야에서 놓치게 되요.

그러다 마주한 '목각 인형'이 말하는 소리에 이끌려 어리둥절해 하던 그 때, 다시 아빠와 엄마를 만나게 되죠.


그 일이 있고 난 뒤, 청소를 하느라 늦는 단짝 친구 '민송이'를 기다리던 혜슬이는, 얼마 전에 전학을 오게 된 '희수'와 깔깔 웃으며 나오는 민송이를 보니 기분이 이상해졌답니다.


그런데다 그렇게 기분이 나쁜 채로 집에 들어섰는데, 자신의 속상한 마음을 몰라주는 엄마처럼 느껴져서 괜히 심술이 나죠.

진짜 엄마라면 그러지 않았을거라며 이런 기분이 드는 건 '새엄마' 탓인 것처럼 느껴져서, 혜슬이는 마음이 더욱 불편해졌답니다.




 



게다가 아빠가 새엄마와 결혼하면서 혜슬이만 있으면 된다 했었기에, 갑작스런 새엄마의 임신 소식이 달갑게 여겨지지 않아요.

혜슬이를 세상 그 누구보다 항상 사랑해주던 아빠도 이제는 새엄마만 챙겨주고 자신에게는 소홀해진 것 같이 느껴지거든요.

민송이도 아빠도 새엄마도 모두 '배신자'인 것처럼 느껴지는 혜슬이에요.




 



모든 것이 자신의 마음대로 되지 않는 듯 꼬여가는 상황이 너무나 감당하기 힘든 혜슬이에게 '원하는 게 있으면 도와주겠다'는 목소리를 들려준 목각 인형이 보여요.


자신의 생각을 알아주면 좋겠다고 말하는 혜슬이에게, 그 목각 인형은 주술을 걸어주었으니 글이 술술 쉽게 써질 거라며, 그 글들로 사람들에게 생각을 전해보라고 하네요.


조금 전까지는 모두가 배신자 같이 느껴져 울면서도 분노가 치밀었었는데, 말하는 목각 인형과 이렇게 대화라도 하고 나니, 혜슬이는 그 분노의 마음이 조금은 가라 앉은 것처럼 느껴졌어요.




 



그렇게 불편한 마음을 계속 지니고 있던 혜슬이는 우연히 '행복한 글쓰기' 광고를 보게 되고, 그 곳에서 혜슬이는 자신의 생각들을 글로 자유로이 옮겨내기 시작한답니다.


이런 글쓰기를 통해서 자신의 생각을 털어내는 혜슬이는 민송이와 아빠, 그리고 새엄마와 다시 예전처럼 관계를 회복할 수 있을까요?

그리고 혜슬이에게 말을 건네주던 그 목각인형의 정체는 과연 무엇일까요?


《셋 중 하나는 외롭다》 를 통해서 혜슬이의 생각과 마음을 들여다 보면서 우리의 마음도 살펴볼 기회를 얻었으면 좋겠어요.




 



" 나조차 알수 없는 내 생각과 마음을 풀어내는 방법 "



누구나 살아가다 보면, 모두가 자신의 생각을 몰라주고 스스로를 힘들게 만드는 사람들인 것처럼 느껴지는 때가 있죠?


내가 믿었던 사람들과의 관계가 어느 순간 삐그덕거리며 위태롭고 불안하게 느껴진 적 말이에요.


《셋 중 하나는 외롭다》 의 주인공 혜슬이는, 언제나 변치 않고 내 곁에서 오롯이 나와 다정히 지낼 것만 같았던 관계들이 흔들리면서 그로 인해 비롯된 생각과 마음 때문에 괴로워했어요.



《셋 중 하나는 외롭다》 속 처음 에피소드처럼 사람들이 많은 곳에서는 한 번 쯤 부모님이나 일행을 놓치고 당황해하던 기억이 있을 것 같아요. 저도 콩군도 그랬거든요.


하지만 이런 상황이 혜슬이에게는 불편한 기억으로 자리 잡은 것 같아요.


아무래도 엄마가 새엄마이기에 그런 오해도 한 것 같지만요.


그렇지만 이런 오해로 인한 불편한 '생각'들은 모두 '마음'에서 비롯된 것 같아요.

혜슬이와 영원히 단짝으로 지낼 것 같던 민송이에게 내가 아닌 다른 친구, 희수가 그 자리를 차지하는 것 같아 질투심이 나서 말이죠.



하지만 이러한 '마음의 성장통'은 또래 친구들 뿐만 아니라 어른이 되어서도 겪을 수 있는 삶의 과정들이랍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런 상황을 마주하게 될 때에는 자신이 느끼는 감정이 담긴 생각과 마음들을 제대로 들여다 볼 수 있어야 해요.

그래야 해결책도 찾을 수 있거든요.



내 안의 생각과 마음이 뒤죽박죽 뒤엉켜서 스스로 풀어낼 수 없을 것 같은 때에는, 어떤 방식으로든 그걸 하나씩 제대로 풀어낼 방법을 찾아야 해요.


혜슬이의 질투심처럼 여러 감정들이 어떤 형태로 나타나더라도 내 감정을 제대로 들여다보고, 그 감정을 함께 나누게 되는 상대에게도 솔직하게 털어놓아야 관계가 틀어지지 않을거에요.


더불어 내 안에서 자신의 생각과는 달리 가지게 되는 마음의 차이도 인정하면서 말이죠.


내 생각들을 알아줬으면 하고 바라는 이들에게 자신의 마음을 드러내는 일이 익숙치 않다면, 그 마음을 털어내보고 힘든 걸 좀 더 가볍게 만들기 위해 '글쓰기'라는 행위는 많은 도움이 될 거에요.


혜슬이가 그랬던 것처럼, 내 마음을 글로 표현하다보면 누군가에게 고민을 털어놓은 것처럼 마음이 후련해질 때가 있거든요.



이제 슬슬 사춘기에 접어든 콩군도 가끔 자신의 답답한 마음들을 글로 써보일 때가 있어요.

자신이 화를 내거나 마음이 불편하게 된 이유가 무엇인지 글을 쓰면서 천천히 생각하다 보면, 어느 순간 마음이 탁!하고 후련해진다고 했거든요.

그랬기에 《셋 중 하나는 외롭다》 이 책의 내용을 공감하게 된다며 말하는 콩군이었답니다.



《셋 중 하나는 외롭다》 책을 읽고 나니, 콩군과 함께 서로의 생각과 마음을 들여다 볼 수 있는 편지쓰기를 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마치 롤링페이퍼처럼 말이죠.


더불어 우리 어른들도 아직 백 퍼센트 자신의 마음을 충분히 다뤄내지 못하고 이해하지 못할 때가 있잖아요.

우리도 혜슬이처럼 우리의 마음을 제대로 알아 볼 수 있는 글쓰기를 해보는 건 어떨까요?






- 위즈덤하우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