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책임지는 용기, 징비록 - 유성룡 ㅣ 어린이를 위한 역사 인물 1
최지운 글, 조윤주 그림 / 상상의집 / 2015년 3월
평점 :
어린이를 위한 역사인물, 유성룡
[책임지는 용기, 징비록]
글 최지운 / 그림 조윤주
상상의집
우리는 하루의 일을 돌아보고 기억하며 반성하기도 하는 '일기'라는 걸 쓰죠.
이런 기록들이 한 사람의 단순한 기록일지 몰라도, 이것도 여러 해 동안 쌓이게 된다면 한 사람의 역사가 되는 것이랍니다.
그래서 전 이런 사소한 기록들도 쉽게 생각하지 않아요.
우리 콩군도 제 마음처럼 자신의 기록들의 소중함을 알게 되는 때엔 기록 하나 하나를 소중히 생각하게 되겠죠?
우리가 역사를 공부하면서 이런 기록들의 소중함도 알게 되잖아요.
그 중, 오늘은 제가 정말 높이 여기는 기록들 중의 하나를 소개할 까 해요.
바로 유성룡의 『징비록』이랍니다.
『징비록』의 원문은 아이들이 읽기에 조금 어려운 부분이 있어서 쉽게 접할 수 없다는 편견을 가지기도 해요.
하지만 오늘 살펴 볼 책이라면 어린이들도 쉽게 『징비록』에 대한 내용을 읽고 이해할 수 있을거랍니다.

상상의집 출판사에서 나온 [책임지는 용기, 징비록]이라는 책으로 말이죠.
이 [책임지는 용기, 징비록]은 책을 의인화해서 직접 『징비록』에 쓰여진 이야기들을 독자들에게 들려주는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더욱 친근하고 쉽게 읽을 수 있더군요.

조선 최고의 재상 가운데 한 명으로 손꼽히는 유성룡이 임진왜란에 대해 자세히 기록한 책이랍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전부터 끝날 때까지 조정의 잘못들을 기록한 것이기도 해요.
부끄러운 역사에 대한 기록을 왜 남기냐는 부하에게 이렇게 이야기하죠.
'우리가 잘못을 하긴 했지.
하지만 잘못보다 부끄러운 것은,
그 잘못을 숨기거나 반성하지 않는 것일세.
실수를 깨달아,
훗날 닥쳐올지도 모를 위기를
경계하고 준비할 수 있었으면 좋겠네.'
--------------------------------------------------------
징 (징계할) : 부끄러운 잘못을 스스로 꾸짖고
비 (삼갈) : 여기서 교훈을 얻어 훗날의 위기를 준비하는
록 (기록할) : 책
--------------------------------------------------------
유성룡의 이런 뜻을 담은 『징비록』이랍니다.

일본이 명나라로 쳐들어가기 위해 조선을 지나치며 전쟁이 일어날 것이라는 보고에 좌의정이었던 유성룡은 일본을 막을 방법을 세우기 위해 노력해요.
무기를 준비하고 성을 쌓고 해자와 옹성을 수리하도록 각 지방에 전달했어요.
군사제도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죠.
하지만 일본이 쳐들어올 리 없다 생각한 백성들과 조정의 생각 때문에 난관에 부딪히기도 했어요.
전쟁에 대한 의심 없이 지내던 때, 결국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버렸답니다.


[책임지는 용기, 징비록]속에는 거만하기 짝이 없던 일본 사신들을 비롯해,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이야기와 함께 왜군들을 막기 위해 노력했던 장군들의 이야기도 있어요.
조정의 신임을 받던 장수였지만 본분을 다하지 못한 이일.
하지만 전장을 도망쳐 온 이일에게 책임을 묻지 않고 따스하게 맞아, 이후에는 전쟁터를 누리게 했던 선조와 유성룡이 참 대단하게 느껴졌네요.

용맹하기로 손꼽히는 장수였던 신립이, 일을 대충하지 않고 조총을 사용하던 왜군을 업신여기지 않고, 유성룡의 충고도 흘려듣지만 않았다면 어땠을까요?
산세가 험한 조령 대신 풀과 습지, 강으로 둘러싸인 탄금대에서 진을 친 신립이 왜군을 물리쳤다면 좋았을텐데라는 생각과 함께 말이죠.


수도인 한양을 버리고 백성들도 뒤로 한 채 평양에서 의주로 도망을 친 선조 이야기와
능력과 사람 됨됨이를 높이 평가해 유성룡이 적극적으로 추천하여 1591년 전라 좌수사에 임명된 이순신!!
그렇죠. 임진왜란하면 이순신 장군을 빼놓고는 이야기할 수 없을 정도니 말이에요.
이런 이순신 장군을 알아본 유성룡의 사람 보는 안목은 정말 대단했을 듯 해요.
이런 유성룡 덕분에 이순신 장군이 거북선을 이끌고 여러 해전에서 승리를 거둘 수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 같아요.

[책임지는 용기, 징비록]을 읽으면서 콩군이 은근 기억에 남을 뿐만 아니라 안쓰럽게 생각한 인물은 바로 '김성일'이야기였답니다.
일본에 사신으로 갔던 김성일은 조선으로 돌아와 일본이 전쟁을 일으킬리는 없다는 보고를 했어요.
이런 잘못된 보고 때문에 의금부에 잡혀 갔지만,
임진왜란이 일어난 것에 대해 책임을 크게 느끼고 일본으로부터 경상도를 지키는데 힘을 보탠 김성일이 백성을 생각했던 마음도 느껴져서 콩군은 책을 읽고 난 후에도 자꾸 생각난다더군요.

[책임지는 용기, 징비록]책은 한 장이 마무리 될 때마다 <징비톡>이라해서 '배경알기 - 생각하기 - 토론하기 - 비교하기' 이렇게 4단계로 생각할 거리를 이야기해주고 있어요.
콩군은 이 <징비톡>이 [책임지는 용기, 징비록]의 매력이라고 이야기 했어요.
단순히 『징비록』을 어린이들이 보기 쉽게 쓴 것 뿐만 아니라, 글이 쓰여지게 된 배경이나 시대 상황들을 꼼꼼하게 전달해주어서 더욱 그렇게 느낀 것 같아요.

[책임지는 용기, 징비록] 책의 마지막 부분에는 <『징비록』 다시 살펴보기>를 통해서 등장 인물과 징비록 이야기를 간략히 정리해보고, 임진왜란 이후의 이야기도 전하고 있어요.

'지난 일의 잘못을 주의하여 뒷날에 어려움이 없도록 조심한다'라는 공자의 <시경>의 구절을 생각하며 『징비록』을 쓰게 되었다는 유성룡.
이런 유성룡의 나라와 백성을 아끼고, 잘못함을 채근하는 마음이 없었다면 우린 임진왜란에 대한 정확한 이런 귀한 기록들을 제대로 알 수 있었을까요?
임진왜란과 더불어 잘못된 역사적 일들을 기록해주신 유성룡에 대한 존경심이 더욱 단단해진 콩군도 일기라도 좀 더 꼼꼼이 기록해보겠다며 다짐해보이네요.
[책임지는 용기, 징비록]을 읽으면서 이 글을 쓰던 유성룡의 책임지는 용기에 대한 마음을 이해해보는 시간을 가져보길 바라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