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작가실록 3 : 인문 - 작가로 보는 조선 고전 조선작가실록 3
박정란.서재인 지음, 지효진 그림 / 상상의집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로 보는 조선 고전

[조선작가실록 3.인문]

글 박정란, 서재인 / 그림 지효진

상상의집



콩군은 4학년이 되고 나서 걱정거리가 살짝 생겼어요.

이제 슬슬 인문학 공부를 해야 할 것 같은데 어떻게 시작할 지,

어떤 공부를 해봐야 할 지 고민이 좀 되나 봐요.


인문학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매체에서 자주 언급은 하지만,

인문학을 어떻게 친근하게 다뤄 주느냐도 아이들에게 있어 중요한 것 같아요.

초등 인문학은 어떻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게 좋을까요?



 


고전을 통해 인문학에 더 가까워질 수 있는 방법도 있어요.

상상의집에서 출간되고 있는

작가로 보는 조선 고전 - [조선작가실록] 시리즈를 아시나요?

개성 강한 조선의 작가들이 등장하는 [조선작가실록]

조선의 소설가편을 시작으로 2편에는 조선의 수필가들이 등장했어요.

이번 3편은 조선의 인문학자들이 등장해 자신이 쓴 글을 열정적으로 소개한답니다.

우리가 쉽게 접하지 못했던 고전들을 알기 쉽고 이해하기 쉽게 풀어 놓은 책임과 동시에

조선의 역사까지 알아볼 수 있는 일석이조의 책!

어떤 고전이 기다리고 있을지 만나 볼까요?



 


[조선작가실록 3.인문]에서는

이이의 『성학집요』이중환의 『택리지』정약용의 『목민심서』

그리고 신채호의 『조선 상고사』를 만나 볼 수 있어요.


이렇게 4명의 조선 작가의 고전을 각 장마다 만날 수 있으며, 각 장마다

① 작가들이 이 책을 쓰게 된 이유에 대해 알 수 있도록 삽화로 구성한 <작가에게 듣다>

② 작가들이 쓴 고전 책의 내용을 살펴보는 <고전 속으로>

③ 책이 쓰여진 배경을 역사적 사실과 함께 풀어 보는 <바로 하는 팩트 체크>

④ 관련 작가들과 못 다한 이야기를 인터뷰 하는 형식의 <아주 특별한 대담>


크게 4가지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답니다.


②부분이 핵심적인 내용이긴 하지만 다른 부분도 놓치면 안 될 중요한 내용들이니 꼼꼼하게 읽어 보는 걸 추천해요.



 


콩군은 [조선작가실록 3.인문]을 한 번 읽고 난 후,

이이의 『성학집요』와 정약용의 『목민심서』부분을 다시 한 번 읽더군요.

콩군이 보기엔 두 고전이 일맥상통하는 면도 있어 보이고,

요즘 자아를 바로 세우는 데 힘써보고자 하는 마음이 있어 더 눈길이 갔나 봅니다. ^^;;

그래서 콩군의 의견을 반영해서 '이이의 『성학집요』'편을 함께 보려 해요.



 


<작가에게 듣다>

이이는 선조 임금이 열심히 공부해서 성군이 되길 바라는 마음을 담아 『성학집요』를 쓰셨데요.

『성학집요』에는 임금이 자신과 나라를 잘 다스리기 위해 꼭 알아야 할 내용들이 담겨 있어요.

임금께 이런 책을 써서 권하다니 정말 나라와 백성을 사랑하는 이이의 마음이 멋지지 않나요?

콩군은 이이가 정말 멋진 분이셨구나를 느꼈데요.

어찌 생각해보면 선조 임금에게 잔소리를 하는 것처럼 보이는 책인데,

그렇게 권할 수 있는 용기가 멋지다면서요. ㅎㅎ

진정으로 이이에 대한 선조의 두터운 믿음 덕분일지도 모르죠.



 


<고전 속으로>

『성학집요』는 1575년 선조에게 바치려 이이가 쓴 책이에요.

성학(聖學)이란 성인이 되기 위한 학문, 또는 훌륭한 왕이 되기 이해 배워야 할 학문을 뜻해요.

『성학집요』은 임금이 신하들과 함께 학문을 배우고 토론하는 경연 자리에서 교과서처럼 사용되기도 했어요.


나 자신을 다스리고 나아가 사회를 바로잡는 방법을 다루는 『성학집요』를 살펴볼까요?

『성학집요』'통설', '수기', '정가', '위정', '성현도통' 이렇게 다섯 편으로 구성되어 있어요.


임금에게 이 책의 의미를 고하는 서문으로 시작한『성학집요』는

'통설(通說)'에서 이 책의 전체 내용을 간단히 설명해주었어요.


 


'수기(修己)'편을 통해 자신을 갈고 닦아 덕을 길러서 성인이 되는 방법, 즉 '자기를 수양하는 공부'에 대해 설명하고 있어요.

이이가 말한 자기 수양 공부는 경건한 태도, 사물의 이치를 깊이 있게 연구, 실천하려 노력하기라고 하네요.

이 세가지 공부에 있어 기본은 성실함이라니 우리도 도전! 해볼까요?


'정가(正家)'는 집안을 바로 잡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어요.

훌륭한 왕이 되는데 왜 집안 이야기를 하는지 궁금하죠?

임금이 자신 스스로 바른 사람이 되면 그로 인해 가족과의 관계도 바르고

그 효과로 온 나라가 바르게 서지 않겠어요?

그러면 다음 편인 '위정(爲政)'에서 이야기 하는 나라를 바로 잡는 정치를 할 수 있다는 거에요.


 


마지막 '성현도통(聖賢道統)' 에서는 유학이 이어져 내려온 전통을 정리해 담았답니다.

이 내용들이 많고 어려울 수 있어서

[조선작가실록 3.인문]책에는 우리 친구들이 유학의 흐름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그림으로 첨부해 놓은 부분이 있어 머리에 쏙쏙!! 담아집니다.



 


<바로 하는 팩트 체크>

이이의 『성학집요』와 관련한 그 시대의 역사적 사실들과 더불어

관련 정보들을 한 번 확인해보고 가는 시간이에요.

『성학집요』가 쓰여질 수 있었던 시대적 배경이 된 조선 시대 4대 사화(무오사화, 갑자사화, 기묘사화, 을사사화)로 짚어 봅니다.



<아주 특별한 대담>

인터뷰 형식인 이 부분에는 율곡 이이와 함께 퇴계 이황 선생님이 등장하네요.

조선 성리학을 이야기 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이이와 이황.

정치를 바로 세우고 백성을 위한 세상을 만들기 위해 노력한,

현실보다는 이상을 추구하자는 이황

구체적인 실천을 중시한 이이의 생각을 인터뷰 형식을 빌리니

훨씬 더 다이나믹하면서도 이해가 잘 되지 않나요? ^^



 


백성을 올바르게 사랑하는 마음에서 비롯해 쓰여진 정약용의 『목민심서』

목민관(원님이나 사또)이 가져야 할 마음가짐과 역할을 써놓은 책이에요.


콩군이 몇 해 전 일로 인해 관심이 커지면서 정치에 간접참여도가 높아졌거든요.

그러다 보니 『목민심서』부분을 읽고 난 후 이야기 하더군요.

우리 나라의 정치에 직접적으로 간접적으로 참여하는 사람은 『목민심서』를 달달 외워서 실천해야 한다고 말이죠.

고전이라 어렵게만 느껴지던 『목민심서』를 내가 경험한 바에 의해 필요가 생기니

내게 미치는 그 의미가 커지는거겠죠?



조선의 작가들이 직접 자신들이 쓴 고전들을 소개해주니

어렵게만 생각했던 고전들이 더 친근하게 다가오죠?

백성들을 사랑하고 백성들을 생각하며 나라가 바로 서기를 바랐던

조선 작가들의 인문학이야기!!!


이렇게 고전이라고 해서 어렵기만 한 게 아니라

[조선작가실록 3.인문]책처럼 우리 친구들이 쉽고 즐거이 내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어서

고전에서 우리에게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내용들을 익히도록 해야 할 것 같아요.



 


 


그리고 인문학을 접하는 가장 흔한 방법으로 많은 친구들이

우리의 역사나 세계사(그리스 로마 신화)를 만화 형식으로 보게 되잖아요.

그런 것처럼 고전도 딱딱한 글보다는 좀 더 쉽게 접근하기 위해서

만화 형식으로 읽는 고전책이 많이 나온다면 좋겠다고 콩군은 말하네요.


사실 저도 『성학집요』, 『택리지』, 『목민심서』, 『조선 상고사』 같은

우리의 고전들은 제대로 접해 본 적이 없는 것 같아요.

어렵다는 선입견이 쉽게 깨지지 않아서 일 것 같네요.

그런 의미에서 콩군의 말처럼 만화 형식은 아니더라도,

[조선작가실록]처럼 대화체나 쉽게 풀어 이야기해주는 책들이

많이 출간되어서 아이들도 인문학을 더 친근하게 느낄 수 있었으면 좋겠어요.


초등 인문학을 쉽게 접근하는 방법! 한 번 [조선작가실록] 시리즈를 경험해보길 추천합니다. ^^






▶ [상상맘 11기] 위 도서는 상상의집 출판사로부터 무상으로 제공받아 작성한 콘텐츠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