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물은 답을 알고 있다 - 물이 전하는 놀라운 메시지
에모토 마사루 지음, 양억관 옮김 / 나무심는사람(이레) / 2002년 8월
평점 :
절판
이런 책이 베스트셀러 목록에 있다는 것을 믿을 수 없다. 서점에서 대강 통독을 해 보았는데, 어처구니가 없을 뿐이다. 최악의 서적에서 1위를 다툴만하다.
눈요기꺼리 사진들과, 미사여구를 동원하여 감성에 호소하는 설명, 설득력 빈약한 주장 외에 무엇을 찾을 수 있다는 말인가? 기(氣)이니, 신과학이니 하는 것들을 그 내용만 갖고 100% 배척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 허나 검증되지 않은 사실을 어설프게 사실인양 호도하는 이런 신비주의, 사이비과학은 사라져야 한다.
사람들에게 과학이 무엇이냐고 물으면 대개 '기계/전자장치를 만드는 기술'이라든지 '뭔가 알아들을 수 없는 수학공식과 복잡한 장치를 동원해서 실험하는 것' 등을 떠올린다.(티비에서 방송되는 프로그램 등에서도 이런 '과학적'으로 보이는 장치를 동원해서 어떤 실험을 하는 것을 보여주고 나면 그 결과 얻은 결론은 과학적이며 옳은 것이라고 쉽게 믿어버리곤 한다)
그러나 과학의 핵심은 이런 겉모습이 아니라 방법론과 태도에 있다. 자명해 보이는 것도 쉽게 믿어버리지 않는 좋은 의미의 회의적인 태도, 언제나 오류의 가능성을 인정하고 기꺼이 자신의 주장을 포기할 줄 아는 것, 열린 자세로 토론에 임하는 것, 모호하고 애매한 말로 다른 사람을 현혹하지 않는 것, 재현 가능하고 검증 가능한 구체적인 내용만 다루는 것(사회과학 등은 재현 가능성이 낮으므로 예외), 사실과 당위성을 엄격히 구분하는 것 등등.. 난 이런 것들이 과학의 가장 커다란 미덕이며 그 덕분에 종교와 미신이 쇠퇴해가는 인류의 역사에서도 오늘날까지 과학이 살아남을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책의 내용은 과학이라고 할 수 있는가? 이 책의 주장은 여러 사람들이 충분히 토론하고 검증된 내용도 아닌 일방적인 것이다. 검증도 불가능한 극히 비과학적인 방법론을 동원하고 있다.(동일한 조건에서 다른 사람이 같은 실험으로 같은 결과를 얻었다면 이 놀라운 주장이 벌써 인정을 받지 않았겠는가?) 당위성과 사실도 구분하지 못한다.(아름다운 말을 쓰는 것이 좋다는 도덕적 명제와 이런 실험이 무슨 관계란 말인가.. 험악한 말을 들려주었더니 물이 아름다운 형상을 이루었다면 어쩔려고.) 이성보다는 감성에 호소하는 문장들은 빈약한 내용을 보완하기 위한 애처로운 노력으로 들린다.
그러면서도, 뭔가 새로운 '과학적 발견'을 한 것인양 떠들고 있다. 하긴 과학의 성과물을 일상생활에서 지켜볼 수 있는 현대에 그것을 사칭하는 사이비들이 한둘인가.
진짜 과학자들은 이런 주장들이 너무나 가치없는 것들이기 때문에 반박할 생각도 하지 않는다. 그 자체가 시간낭비라고 생각하니까. 하지만 그러는 사이, 선정적이며 감성에 호소하는 사이비과학은 세력을 넓혀 간다. 칼 세이건이 이야기했듯이 사이비과학이 대응할 가치도 없다고 무시해버리는 과학자들이 아이러니컬하게도 사이비과학의 세력을 넓혀주는 일을 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세이건이 말한 과학자는 직업 과학자를 뜻하는지도 모르겠지만, 나는 과학적인 태도를 가지면서도 침묵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책임이 있다고 생각한다.
사실 나는 할 수만 있다면 이 세상에 난무하는 온갖 사이비과학책들에게 똑같은 이야기를 하고 싶다. 그리고 이런 책들을 100번 읽느니 칼 세이건의 '악령이 출몰하는 세상'을 한번만이라도 읽는 것을 권한다. 그 책의 독자서평 중 하나에 '과학이 만능인가, 과학이 일으킨 환경문제를 과학이 해결할 수 있는가'라는 식의 주장을 본 적이 있는데, 안타깝지만 그 분은 과학이 무엇인가를 내가 앞서 말한 두 가지 의미 중 '기계장치 만드는 기술'로 인식하고 계신듯 하다.
여담인데, 일본에서는 종종 이런 류의 책들이 많이 나오는 것 같다는 생각이다. 내 생각에는 일본인들이 '모든 사물마다 정령이 깃들어 있다'는 그네들 고유의 전통 사상이 오늘날까지도 근근히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은 아닐까.
뛰어난 것도 아닌 그저 그런 사진집 정도의 가치를 부여하려다가, 사이비과학에 일조하는 죄 때문에 그 점수마저 깎을수밖에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