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아, 그런 나는 없다
홍창성 지음 / 김영사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아그런나는없다
#홍창성

불교의 ‘무아’ 역시 나 자신이 없어야... 내려놓아야 진짜 자유가 온다고 한다. 노자의 도덕경에서도 자신을 내려놓아야 자유가 온다고 했다.

‘나’라는 실존하는 덩어리가 있는데, 없다니….
참된 나를 찾는 건 허구라고 한다.

책의 내용은 동양의 불교에서의 ‘나’와 서양사상에서의 ‘나’를 구분하여 설명하며, 참되고 진실하며 영원한 나는 없다고 말한다. #진짜없다고그러더라구

책이 엄청 얇은데... 좀 어려웠다. #얇고좁은지식의한계가드러남

턱없이 부족한 종교 지식과 영원한 영혼의 메시지를 믿는 나는 책을 읽으며 조금은 혼란스러웠다.

‘겉모습이 바뀌어도 그 기억과 영혼이 자리 잡는다면 그 사람 아닌가?’ 요런 생각이 있어서 그런지 책이 휘리릭 넘어가지는 않았다.

책을 적으신 홍창성 교수님은 미국에서 교수님으로 활동하시며, 철학을 가르치시고, 이 책을 아주 쉽게 금방 읽을 수 있게 적었다고 하셨는데…. 김연아 선수가 트리플 러츠를 편안하게 소화해내는 그런 느낌이라고나 할까.
교수님은 편안하게 아주 쉽게 적으셨지만, 나는 읽다가 숨차서 머물러야 하는 페이지가 많았다.

그렇지만 글에 어려운 단어를 적으시지 않은 것과 두괄식으로 적어 주셔서 주제나 결과를 따라가며 읽을 수 있어서 좋았다. 그리고 적절한 예시가 아주 좋았다. 환경과 분리될 수 없는 마음이라는 장에서 물에 대한 돌쇠의 이야기가 적혀있는데, 요부분 아주 좋았다. (103~105쪽, 사진으로 첨부)

그리고 행복이란 단어의 호들갑을 빼고 생각하기로 했다. 신나고, 황홀한 상태는 행복이 아닌 것 같다. 불행하지 않은 것이 행복이라고 작가님이 말해줬다. (148쪽 인용)

참나를 찾지말고, 무아속에서 자유를 찾기를…

좋았던 문장 옮겨본다.


서양종교를 믿는 사람이 무아에 대해 잘 모르면서불교를 흉보면 안 될 것이다. (42쪽)


영혼과 자아 그리고 참나는 존재하지 않는다.붓다의 가르침인 無我와 동일한 결론이다. (56쪽)


마음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그 의식상태가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가이다. (102쪽)


마음은 실재하지 않는다. (106쪽)


필자는 개인적으로 데카르트의 철학이 무아론의 가장 강력한 적수라고 생각한다. (113쪽)


중도의 지혜는 수행자를 자유롭게한다. (142쪽)


열반이 무엇인가를 의미한다면, 그것은 모든 고통에서 벗어난 극도의 자유로움이다. (149쪽)



#김영사출판사 #김영사서포터즈16기
지원받은 도서이며, 주관적으로 읽고 독후활동 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