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왜 서로를 미워하는가 - 편 가르기 시대 휘둘리지 않는 유권자를 위한 정당정치 안내서
에즈라 클라인 지음, 황성연 옮김 / 윌북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왜서로를미워하는가

#에즈라클라인 지음

#황성연 옮김

#윌북


정치라는 것이 나라를 다스리는 일..이다. 그런데 정치 이야기만 나오면 갈등이란 단어가 동시에 같이 떠오른다. 정치인 하면 갈등 조작인 이렇게... 훌륭하신 정치인들도 많은데 이렇게 적는게 껄끄럽지만, 솔직한 생각이 그렇다. 선거가 있을 때는 ‘투표로 나의 중요한 권리를 행사하는거야.’ 라고 하지만.. 체감을 못 한다. 내가 선호하는 당이나 후보가 당선되면 권리행사에 기쁨이 있지만 그렇지 않을 때는 새벽까지 잠이 오지 않거나, 뉴스를 안 보게 된다. 그러다 정치 걱정하지 말고 내 삶이나 걱정하자며 관심을 끊는다. 무관심은 더 위험한 일이라 했지만 나는 편한 회피와 외면을 선택한다. 외면했으면서도 궁금증이 생긴다. 

정치인들은 왜 매번 이쪽저쪽 갈라놓을까? 어르신들은 왜 정치 이야기 마지막에는 싸울까? 이 궁금증에 답을 찾아 책을 폈다.


작가는 저널리스트로 미국 정치의 정체성을 두고 어떻게 양극화되었는지, 양극화는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그러면서 정치 시스템의 구축에 도움을 주려는 바램을 적었다. 선택과 비선택이 공존하는 분류, 오로지 선택만이 존재하는 양극화, 경험에 대한 개방성은 진보주의, 질서와 전통에 대한 선호와 성실성은 보수주의, 집단 정체성을 기반으로 배타적인 정치 동맹을 추구하는 정치 운동인 정체성 정치. 정체성 주의 미디어. 등등 정치적 단어 사용의 유래나 적용을 설명한다. 그리고 현실의 악순환 되는 정치 상황을 말하며, 조금 더 나아지는 방향으로 정치 시스템이 구축될 수 있길 바라며 글을 적었다.


책 속 내용 중 공감이 큰 문장을 옮겨본다.


우리가 투표하는 정당을 더 좋아하게 되었기 때문이 아니라 반대편 정당을 더 싫어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희망과 변화가 미약해지는 순간에도 두려움과 혐오는 계속된다. (37쪽) - 내가 지금까지 선택한 정당은 내가 무작정 좋아해서 찍은 게 아니라 덜 싫어해서 선택한 것이었다.


미국인의 삶에 관한 많은 이야기가 그렇듯, 이 중심에는 인종이 있다. (46쪽) - <인종> 단어 대신 <지역주의> 단어를 치환해서 읽혔다.


현실에서 뉴스 가치성은 중요한 것, 새로운 것, 터무니없는 것, 갈등을 빚어내는 것, 비밀스러운 것 혹은 흥미로운 것들의 조합이며, 지금 시대의 뉴스 가치성으로 가는 지름길은 소셜미디어상의 바이럴성이다. (212~213쪽) - 뉴스는 소비되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보석 같은 뉴스들도 어딘가에 있겠지만, 요즘 내가 느끼기에는 연애인 뉴스보다 더 가십거리들이 가득한 것이 정치 뉴스인 것 같다.

 

우리 주변에서 보이는 양극화는 동기, 기술 정체성, 정치 기관들이라는 복잡한 시스템의 논리적 결과다. 여기에는 자본주의와 지리, 정치인들과 정치 기관들, 심리, 변화하는 인구 구조가 연루되어 있다. (304쪽) - 양극화의 정점에 한국이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화합은 어딘가에 있겠죠? 


#지원도서 #윌북출판사 #서평촌서평단


소중한 책 보내주셔서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