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빗 레드몬과 애슐리 사빈의 영화, '킴스 비디오'를 봤다. 한국계 미국인인 용만 킴이 운영하던 비디오 대여점 킴스 비디오에서 비디오와 DVD를 종종 빌려 보던 데이빗이 갑자기 사라져버린 킴스 비디오를 추억하다가 비디오의 행방을 추적해 이탈리아까지 가서는 비디오를 해방하기까지의 이야기다. 영화를 향한 무차별적인 사랑이 영화를 자유롭게 한다는 메시지가 남는 영화다.
인상적인 점은 아카이브의 주인인 용만 킴의 태도였다. 용만 킴은 디지털 시대의 부상으로 오만오천 개나 되는 영상물들을 어딘가에 기증하기로 한다. 뉴욕대학교와 이탈리아의 시칠리아에 있는 소도시 살레미 등에서 그의 아카이브를 보관하겠노라고 했는데 용만 킴은 왠지는 몰라도 영상물들을 살레미에 맡기기로 한다. 살레미에 찾아오는 킴스 비디오 회원들에게는 아카이브를 열어주기로 했지만 살레미는 어떤 마피아와 정치가에게 얽힌 정치적인 이유로 그의 아카이브를 제대로 보존하지도 대여하지도 못한다. 감독의 도움으로 용만 킴은 오랜 세월이 지나 살레미에 있는 자신의 아카이브를 찾아보고는 열악한 환경에 실망한다. 하지만 영상물들이 자신의 손을 이미 떠난 관계로 영상물들에 더 이상의 관심을 쏟지 않기로 한다. 감독은 이에 안타까움을 느끼고 아녜스 바르다, 장 뤽 고다르, 히치콕 등 영화인들의 혼령의 도움으로 모든 영상물들을 훔친다. 그리고 뉴욕시의 어느 영화관의 도움으로 다시 킴스 비디오를 만들어 사람들에게 영상물을 대여하는 데 일조한다.
영화들이 살려달라고 꺼내달라고 외치는 것만 같았다는, 고다르의 메시지를 들어 도둑질을 했다는 감독의 말이 기억에 남는다. 용만 킴은 감독이 자신의 아카이브를 훔쳐 뉴욕까지 다시 가져왔다는 말에 '고다르의 뜻을 존중해야지'라고 말하며 호방하게 웃었다. 자신의 손을 떠났던 것들이 다시 돌아왔을 때의 그 만족감은 경이에 가까운 것일 테다. 뉴욕에 가게 된다면 나도 킴스 비디오에 가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