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백산맥 세트 - 전10권 - 조정래 대하소설, 등단 50주년 개정판
조정래 지음 / 해냄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정래의 <태백산맥> 도서소개 및 리뷰

일산 대화동에서 헌책방을 운영합니다.

(책방 블로그에 포스팅 후 공유합니다.)


여러분은 장편소설을 좋아하십니까? (개인적으로는 그리 좋아하지는 않습니다.)


오늘 소개할 책은 1986년 출간 이래 총 1600만부나 판매한 태백산맥에 대해 얘기해 보려고 합니다. 지난 주 <태백산맥>코멘트를 하기도 했습니다.



태백산맥의 전체적인 시대적 배경은 한반도가 해방과 분단을 맞이했던 1948년부터 6·25전쟁 휴전 후 분단이 굳어진 1953년까지의 순간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데요. 그야말로 80년대 최대의 문제작이 된 작품이라고 합니다.



작가님이 말씀하신 그 시대는 민족사의 매몰시대 혹은 현대사의 실종시대라고 표현하시기도 했습니다. 전쟁으로 인한 치열함, 분단으로 인한 왜곡과 굴절이 심했음을 의미한다고 하기도 합니다. 작가님은 그 시대의 진실과 참모습을 객관적으로 복원하고 되살리는 것이 분단을 극복하는 일, 그리고 통일을 지향하는 일이라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정말 적나라하게 그때 그 당시의 사건을 재연하고 있음을 이 글을 통해서도 알 수 있습니다. 소설이라 하면 단순 상상력을 기반으로 하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우리의 오늘을 투영하는 마치 거울과도 같은 매개체가 될 수 있다는 사실에 또 한 번 놀라게 됩니다.



배경이 되는 벌교에 작품 관련 물품들을 전시해 놓은 태백산맥 문학관이 있다고 하니 관심 있으신 분들은 책을 한 번 읽어보고 가시는 것도 추천합니다. 주인장은 애석하게도 한번도 가보지 못했습니다. 큰 아이가 이 책을 완독하면 생각중입니다.



재미있는 포인트는 이 책의 제목입니다. 책의 이름은 태백산맥이지만, 정작 책의 주요한 배경과는 또 다르죠. 민족의 등뼈, 끊어진 등뼈를 다시 있겠다는 심정을 담아 붙은 이름이기에 전체적인 주제를 관통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태백산맥은 분단국가인 남북한의 잔혹성을 심도 있게 나타낸 대하소설은 전부 총 10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양이 많아서 언제 다 읽나 싶지만, 그 당시의 시대상 등을 가장 잘 반영한 글이기 때문에 흡입력 있게 읽힐 것입니다.



1980년대 한국 문학에서 가장 인지도 있는 대하소설로 평가됩니다. 작가 조정래는 이후 아리랑, 한강도 집필했으나, 최대 히트 작품은 태백산맥이라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는데요. 이 소설에 나오는 창작 등장인물만 250명이 넘는데요. 극의 중심 흐름은 염상진을 중심으로 돌아갑니다. 빨갱이, 빨치산의 대표로 비치는 그는 혁명 투쟁을 위한 선봉대장으로서 더욱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역시 서두인 제1부(1~3권) 「한의 모닥불」이 아닐까 싶은데요. 한국인은 한의 민족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한이란 1894년 발생한 동학농민전쟁으로 인해 일본군과 관군에게 당한 잔혹한 사건에 의해 일제 강점기를 겪은 우리 국민들에 대한 한에 붙은 불씨가 커진 것을 의미할 것입니다. 여기에 1948년 10월의 여순시민항쟁에서 그 원통함을 해소하는가 싶었지만, 이전과 같이 잔혹한 보복을 당하는 것으로부터 태백산맥의 스토리가 시작됩니다.



1부에서는 여순시민항쟁이 종결된 직후, 그리고 1948년 12월 빨치산 부대가 율어지역을 해방구로 장악하는 부분까지를 다루고 있으며 2부에서는 1부 이후 약 10개월 뒤, 3부는 1949년 10월부터 1950년 12월의 6.25 전쟁 발발 전후를 다루며 마지막 4부는 1950년 12월부터 1953년 7월 휴전 협정 직후의 시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한국 현대사의 가장 가까운 이면을 살펴볼 수 있는 시기라고 할 수 있는데요.



태백산맥 속 주인공들은 저마다 각자의 이념과 사상을 바탕으로 이를 실현하고자 하는 치열한 삶을 살아왔습니다. 그러나 그 뜻을 미처 이루지 못하고 역사의 과제로 남을 수밖에 없게 됐습니다. 책 바깥의 우리는 한 줄 한 줄을 읽어나가면서 그 과제의 무거움을 느끼게 되기도 합니다.



이 책을 읽으면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과거는 없다'라는 말이 떠오릅니다. 해방 직후 좌익과 우익의 이념 대립으로 인해 많은 사람은 희생당하고 참혹한 비극을 맞이해야만 했습니다. 우리는 태백산맥이라는 책을 통해 그 당시 6.25 전쟁과 전후 과정의 실체를 객관적으로 마주할 수 있게 됐습니다. 이념의 갈등으로 인해 빚어지는 문제를 다양한 관점에서 볼 수 있다는 점 때문에 현대사에 관심 있으신 분들이라면 더욱 깊게 이해하며 보실 수 있을 것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조정래 #태백산맥 #주인장도서리뷰 #헌책장주인책소개 #일산에있는헌책방 #대하소설태백산맥 #태백산맥문학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