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지 제1권 - 도원에 피는 의(義) 삼국지 (민음사)
나관중 원작, 이문열 평역 / 민음사 / 1988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남자와 여자가 확실히 다르다는 것을 알려주는것은 수많은 것중 하나가 바로 <삼국지>를 좋아하냐 안좋아하냐이다.

<삼국지> 왜 그렇게 남성(유교문화권남성들이라고 국한시킨다해도 그다지 축소된 기분은 절대 안든다.)들에게 어필하는것인가? 그것에 해답은 나관중이라는 천재적작가의 재능뿐만아니라 가부장적사회에서 남성들이 어쩔수 없이 배워야하는 덕목을 역겹지않게 그것이 남성들사이에서 암암리에 퍼져있는 이념미로 작용되기 때문에 수없이 읽게 되는건 아닌가 생각이 된다. 삼고초려로 대변되는 의리, 제갈량의 충정, 이런 지극히 유가적인 덕목들과 조조로 대변되는 간웅, 수많은 전투에서 벌어지는 계략, 또 성공하기 위해선 반드시 필요한 지모등, 모든것들을 담은 이 책은 10대 그리고 20대 남자들에게 통과의례로 다가온다. 다섯번정도 읽어도 그 방대함때문에 어느정도 시간이 지난다음에도 다시 읽게만드는 그 매력은 어느 책도 따라올수 없는 경지에 이르었다고 해도 좋을 정도다.

이문열이 쓴 이 <삼국지>. 현시대 최고의 작가로 불리어지고 있는 이문열이 쓴 삼국지는 그의 해박함과 문장력이 삼국지와 더불어지면서 이문열을 돈방석에 안겨준 작품이다. 이문열이전에 가장 많이 읽혀진 월탄삼국지도 이정도 까진 아니였지 않을까 생각된다. 평역이라는 말 자체에서 이문열은 자신의 생각을 유감없이 서술한다. 삼국지연의를 정사와 비교하면서 실제여부를 밝히고 또 인물평을 통해서 우리가 잘못 이해되어지고 있는 부분을 그 당시 상황에 맞추어서 독자들에게 이해시키고 또 사건자체에 대한 자세한 부연설명까지...으 독자들에게 이렇게 친절하게 다가온 <삼국지>는 또 없으리라.

근데 문제는 바로 이문열 자체에 있다. 소설을 여러번 탐독하다보면 의문점이 하나 든다. 어 조조는 박정희랑 많이 닮았네. 박정희도 맨처음엔 우리나라를 구하기위해서 혁명을 했겠지. 또 자신의 이상을 실천해야되니깐 방해되는 정적들이 없앤거고 그리고 자기 아니면 이 나라는 안되니깐 독재를 했겠지..? 근데 박정희란 인물을 바꾸어서 조조로 대치시키면 저말이 성립이 된다. 이문열은 너무나도 왜곡된 조조를 아주 친절하게 대변해준다. 물론 유비라는 인물에 대비되는 인간형이기 때문에 악역을 맡아야만하는 불우함은 있지만 너무나도 자세하게 조조를 위해서 대변해주기 때문에 또 정사엔 없었던 이야기를 나관중이 지어낸거다라고 아주 빈번하게 밝혀줌으로써 삼국지 자체를 소설이상의 의미를 두면 안된다고 독자들에게 설득하는것 처럼 읽혀진다. 조조란 인간은 원래 훌륭한사람인데 나관중때문에 어쩔수 없이 왜곡되었으니 독자여러분들은 그렇게 생각하지 마세요라고...

그래 조조란 인간은 그렇다고 치자. 뭐 원래 좋은 인간이고 아주 학식도 뛰어난사람이니 부인하지 말자. 근데 조조를 복권시켰으면 반대급부로 유비와 제갈량.관우는 깍아내려야 겠지. 천재문인의 재능을 시기하는 필부의 부질없음일지는 모르지만 유비의 행동하나하나에 진실여부를 의심하거나 또 제갈량의 그 신출귀몰한 재능은 그저 설화라는것 또 관우란 인간은 자부심이 너무나도 강한 인간이라는것

근데 말이야 . 삼국지안에선 당연히 그들이 주인공이고 그들은 선이잖아. 근데 작가가 가지는 비평적거리를 왜 독자들도 가져야되지? 원래 평역이라는게 독자들에게 좀더 이해를 돋구기 위해서 씌여진것은 아닌가? 근데 왜 자신의 가치관이나 사상까지 독자들에게 주입을 시키지? 너무 오버하는건 아니유? 당신의 작품으로도 충분하잖수..

오버하는쪽은 나일 수도 있다.마지막으로 말해서 이문열의 삼국지는 수준작이다. 그러나 적어도 나처럼 걸려서 받아들이는 20대는 괜찮지만 가치관확립이 되어있지 않은 10대들이 이 책을 읽으면 무슨 생각을 할까 궁금하다. 어려운 시대를 살아가기 위해선 조조같이 행동할수 밖에 없다? 또 남을 다스리기 위해선 어쩔수 없다? 지지리도 못사는 남한땅에서 국민들을 위해서 이 한몸 받친 박장군이 웃겠군. 이문열이 하고 싶은 말이 바로 이것일꺼다.

' 서생들아, 가볍게 무덤 속 사람을 논하지 말라
무덤속 사람이 되려 그대들 되잖은 서생티를 비웃으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