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찍은 사진 한 장 - 윤광준의 사진 이야기
윤광준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2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작년 봄즈음해서 디지탈 카메라를 장만하고 이후 이거저거 마구 사진을 찍으면서 뭔가 부족한 점을 발견하였다.

부족한 뭔가를 채우고자 사진강좌를 수강하였고 필름 카메라도 장만하고 흑백필름을 현상도 해보고 인화도 해봤지만 그래도 뭔가 허전하다.

그래서 이번에는 책을 장만하기로 했다. 나의 지적요소를 충족시켜줄만한 책 아니 어떻게 하면 사진을 잘 찍는 방법을 알려줄 책이 있을까 고르다 처음에 쉽게 시작하자는 마음으로 산 책이 바로 '잘 찍은 사진 한 장'이다.

'잘 찍은 사진 한 장'은 나의 지적요소를 해소해 주었을까?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어느정도는 그렇다고 할 수 있지만 또 어느정도는 그렇지 않다고 해야겠다.

이 책에도 사진을 배울때부터 주변에서 들어왔던 많은 이야기를 해주고 있다. 카메라를 탓하지 말라는 것이다. 자신의 사진이 마음에 안들게 나오는 것은 사진기 문제가 아니라 사진을 찍는 사람 문제라는 것이다.
똑같은 사진기로도 어떤 사람은 잘 찍고 어떤 사람은 그렇지 못한건 분명 카메라 문제는 아니다.

두번째, 사진을 많이 찍어보란다. 이 역시 주변 사람들이 항상 한 말이다. 사진을 잘 찍는 왕도는 역시 많이 찍어보고 느끼라는 것이다. 사진뿐만 아니라 모든일이 그렇듯이 많이 해본놈이 장땡이라는 소리. 틀린말 하나도 없다.

셋째, 과학기술을 이용하라. 기술의 발전으로 최근 개발되고 있는 카메라는 자동화가 많이 되었다. 그러나 사람들이 왠지 이 자동화된 카메라 기능을 사용하기 보다는 수동으로 촛점과 노출등을 조작하려 하는데 그러지 말라고 한다. 물론 어떤 경우는 수동으로 모든것을 조절해야 할때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는 카메라를 믿어도 좋은 사진을 얻을 수 있다고 한다. 카메라 기술 발전이 가져온 혜택이라 할 수 있다.

좋은 사진은 카메라를 얼마나 잘 다루느냐가 아니라 어느순간을 포착해서 좋은 사진을 찍는냐이다. 촛점 맞추고 노출 맞추는 사이 자신이 찍으려고 했던 소중한 순간이 지나가 버린면 좋은 사진은 존재할 수 없다고 한다. 긍정적으로 수긍할 수 있는 부분이다.

사진 찍는 기술을 생각하면서 이 책을 사게된다면 많이 후회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처음 사진을 접하려고 하는 사람들이 본다면 사진에 관한 일반적인 내용을 보여주고 있어서 추천해줄만한 서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