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러운 나의 불행 너에게 덜어 줄게 내인생의책 푸른봄 문학 (돌멩이 문고) 14
마르탱 파주 지음, 배형은 옮김 / 내인생의책 / 201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은이  마르탱 파주

 

 

 

제목이 충격적이다.

나의 불행을 너에게 준다니. 이런 나쁜 일이 어디 있을까?

이런 내용을 담은 청소년 소설이라니...

원제도 잘보면 (프랑스말을 모르긴 하지만 영어 철자와 비슷해서 추측해보면) <부적응자클럽> 이다.

 

나와 바카리 (수학과 물리에 미쳐 있다), 에르완 (무엇이든지 기가 막히게 만들고 고친다), 프레드(전자기타를 치고 노래를 만든다) 

이렇게 넷은 "우리 대 나머지 세상 정부"라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세상에 만만하게 하나 없는 아이들이다. 이들은 부적응자클럽을 만들고 본부도 정해 자신들만의 공간을 만들며 지내고 있다.

나는 가끔 잠옷차림으로 진료를 보는 아빠와 단둘이 살며 영화를 좋아한다.

 

내가 예술을 좋아하는 이유는, 예술이 슬픔으로 무언가를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심지어 비관적인 영화를 만든다고 해도 영화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낙관적인 자세와 열정이 필요하다. 마음에 드는 역설이다.    (p13,14)

 

이들이 무엇때문에 부적응자인지는 자세히 나와 있지 않다.

다만 그다지 눈에 띄지도 않고, 학교 생활을 주도 하지도 않는 아이들임엔 틀림없다. 때로는 왕따도 당하나 보다.

어느날, 에르완이 집으로 돌아가던 길, 아이들에게 두들겨 맞았다. 그 일로 네아이들의 세상에 대한 분노는 점점 커지게 된다.

 

인생이 언제까지나 힘들것만 같았다. 우리가 섬세하고 연약한 탓에 남들보다 상처를 더 많이 받는 것만 같았다.    (p46)

 

에르완은 마침내 그들의 불행을 평등하게 나눠주는 기계를 발명하기로 한다. 불공평한 세상에서 흐름을 바꿔 모두 공평할 수 있게 만들고 싶어한다.  그러나 그런 기계가 가능할 리 만무하다. 그러나 에르완은 미친듯이 그 작업에 돌입하고 친구들은 그런 에르완을 불안하게 바라본다. 결국 기계는 완성되고, 모두들 그 기계를 학교에 설치하기에 이른다.

 

학교라는 곳은 모든 아이들의 꿈을 실현시켜주는 곳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나 어느나라 든지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아이들에게 집중되게 되는 것이 현실이다. 그 사이 조금 다르고, 조금 여린 아이들은 그들 사이에서 밀려나게 되고 설곳을 잃게 된다.

이들을 중심으로 이들의 주체적인 생각을 중심으로 책의 구조는 돌아간다.

이 책은 상당히 철학적이다. 상당히 심오한 내용들이 곳곳에 숨어 있다.

미트리다트 왕의 이야기도 그렇고, 에르완의 기계가 또 다른 폭력성의 발현이라고 말한점도 그렇다.

나, 마르탱(저자의 이름과 동일하다)의 아버지가 그들의 불행에 대해서 하는 말도 깊은 의미가 있다.

 

행복과 불행을 평등하게 나누어 주는게 딱 하나 있구나. 바로 시간이지 두고보면 알게 될 거야.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십대가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어른이 되는 건 아니거든. 정말 재미있는 걸 만들어 내는 애들은 제일 괴짜인 녀석들이지. 물론 시간이 걸릴테고 쉽지는 않을거야. 하지만 결국엔 그렇게 되더라고.       (p104)

 

그들은 하루하루가 힘들지만 그들이 증오하는 대상의 방식대로 살지는 않는다.

그들에게는 그들의 방식이 있다.

 

학교생활이 다시 시작되었다. 가슴 뛰는 일 같은 건 늘 그랬듯이 별로 없다. 인기 좋은 애들은 줄곧 인기가 좋고, 부자인 애들, 즐거운 애들, 건강한 애들, 공부 잘하는 애들도 여전하다. 우리도 여전히 좀 이상한 애들이다. 하지만 다 그런거다. 우리는 부적응자 클럽이고 그게 우리한 테 어울린다.     (p106)

 

 

 

흔히 청소년 소설이라면 글밥이 많고 내용이 길기 마련인데 이 책은 상당히 짧게 구성되어 있다. 글밥으로만 봐서는 초등학교 3-4학년 용이라고나 할까.

그러나 내용 그에 비해 상당히 어렵다. 전체적인 길이가 짧기 때문에 그럴수도 있고, 작가의 표현이 상당히 어려운것들이 많았다. 하지만 나름 시적으로 마음에 와닿는 문장들도 많았다. 다만 번역자가 그 묘미를 십분 봘휘하지는 못한듯 하다. 원체 문장이 어렵게 구성되어 있기에 그것들을 연결하는 말들은 쉽게 매끄럽게 끌어주었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해서 짧은 데도 불구하고 죽죽 읽어내려가지는 못했다.

작가의 다른 작품을 하나 더 읽어 보았다.

길게 써서 주제를 밝히는 스타일은 아니었다. 내용이 너무 짧아 전후 관계가 이해 안되고 사건이 그리되기까지의 정서적 동의가 이루어지는 힘들지만 생각을 많이 하게하는 작품이기는 했다.

아마도 저자의 특이한 이력들이 이런 책을 쓰게 하지 않았나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