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차 마시는 여자 - 스무살 그대로 33茶
조은아 지음 / 네시간 / 2011년 1월
평점 :
품절

지은이 조은아
언제부터인가 식사를 마치고, 또는 식사 사이에 간단한 차가 곁들여지지 않으면 뭔가 허전하다.
대부분 식사 뒤에는 아메리카노나 라떼를 즐겨 찾는다. 그러다 잠시 책을 읽거나 뜨개질을 할때도 간간히 마실것을 찾게 되는데, 커피의 양이 두세잔이 넘어가면 한계에 이르게 된다. 가슴이 두근두근, 벌렁벌렁... 그래서 차를 한잔씩 마시게 되었다.
언젠가 홍차는 발효차라서 다이어트에 좋다는 말을 듣고 꾸준히 섭취중이다.
차에는 종류가 참으로 다양하다. 게다가 이름도 어렵다. 대부분이 중국과 일본을 원산지로 하기때문일 것이다.
중국은 기름진 음식을 주메뉴로 하기에 언제나 차와 함께하는 식문화가 퍼져있다. 일본은 항상 음용하는 차가 오차, 바로 녹차이다.
사실 우리나라도 차를 즐긴다. 우리가 흔히 마시는 물은 보리차, 옥수수차가 아니던가.
차는 그 이름의 다양함만큼 효능또한 다양하다.
우선 칼로리가 제로라서 다이어트에 그만이다. 우리몸의 80%를 이루고 있는 수분을 보충해주기에 균형잡힌 체질개선에도 도움이 된다.
이런 수많은 차를 공부하고, 연구하고, 자신만의 레시피를 개발하는 차 소믈리에 YinYa, 조은아가 우리에게 책을 통해 차를 소개한다.
군인인 아버지와 대학교에서 강의를 하시던 어머니는 어쩔수 없이 주말부부로 지내셔야 했는데, 함께할 시간이 부족했던 저희 가족은 주말마다 차를 마시며 새벽까지 이야기를 나누곤 했습니다. 차를 마시며 나누는 대화는 늘 행복했어요. 그래서 그런지 어려서부터 저는 가족이 모두 모이는 토요일을 무척이나 기다렸답니다.
그리고 언제부턴가 차 마시는 일은 저의 일상의 평온함으로 다가와 한 템포 쉬어가며 생각할 수 있는 여유로움까지 선물하곤 했습니다.
(프롤로그 중에서)
그녀는 차의 장점을 이렇게 말한다.
- 이로운 효능이 많고,
- 0kcal 라서 다이어트, 웰빙음료이고,
- 혈액순환을 도와 탱탱하고 매끈한 피부를 가질 수 있게 해주고,
- 차 한잔에 맑고 건강한 정신으로 3시간 이상 이야기를 나눌 수 있고,
- 무엇보다 맛있습니다.
우선 차 종류를 크게 나누면 발효정도에 따라 녹차, 백차. 황차, 우롱차(청차), 흑차, 홍차로 나눌수가 있다. 여기에 가공차인 화차가 하나 더 들어간다. 뒤로 갈수록 발효가 많이 된 것인데, 시간을 요하는 만큼 가격도 비싸진단다.

사람들은 차를 마실때 담는 기구도 많이 중요시 하곤 한다.
책에서도 여러가지 다기들이 소개되어 있고, 좋고 예쁜 다기를 사는 곳도 소개 되어 있지만, 무엇보다 자기가 좋아하는 찻잔에 담아 기분좋게 마시면 그만 아닐까? ^^
한가지 차를 맛있게 즐기려면 위의 사진 오른쪽 위에 있는 공도배를 사용하라고 한다.
즉 계속 우리지 말고 어느정도 우렸으면 그릇을 옮겨 한결같은 농도의 차를 즐기라는 의미이다.

그 외의 차를 마실때 쓰는 여러 도구들도 설명이 되어 있다.
그럼, 차를 우릴때의 물의 온도는 어느정도가 적당할까?
발효정도가 강할수록 높은 온도의 물로 우려야 한다고 한다. 즉, 녹차, 백차, 황차는 80~85 도 정도의 물로, 청차, 홍차. 흑자, 화차는 100도의 물에 우려 낸다.
그럼, 나도 그녀를 따라 차를 한번 마셔볼까나?^^

흔히들 잘 먹는 밀크티를 한번 만들어 보자.
차를 진하게 우려준 뒤, 따끈하게 데운 우유와 섞어 마신다.

먼저 진하게 차를 우린뒤,

따뜻한 우유와 섞었다.
부드러우면서도 차의 은은한 향이 함께 한다.

다음으론 그녀만의 레시피 커푸얼을 한번 마셔본다.
이것은 보이차와 커피의 절묘한 만남!!!
의외로 보이숙차의 묵작한 향을 싫어하는 사람이 있다고 한다. 그런 이들에게 추천하는 차이다. 반대로 커피를 싫어 하는 사람도 부담없이 즐길 수 있는 메뉴이다.
숙차의 성질을 담고 있어 빈속에 마셔도 부담이 없고, 동시에 커피의 파케인이 졸음도 날려주어 일석이조의 차라고 할 수 있다.

커피향과 함께 맛은 한층 부드러워졌다.
달콤한 빵이나 쿠키와 함께 하면 더욱 어울릴 것 같다.
여러가지 효능과 맛을 가진 중국차들과 그녀만의 독특한 레시피가 나의 호기심을 자극한다.
주말엔 중국차 매장이라도 한번 들려야 겠다.^^
<한우리 북카페 서평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