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는 인간
KBS 공부하는 인간 제작팀 지음 / 예담 / 2013년 2월
평점 :
품절


 

 

지은이  KBS 공부하는 인간 제작팀

 

 

 

호모 아카데미쿠스.

공부하는 인간이란 의미이다.

우리 인간은 끊임없이 공부를 하는 존재이다.

조상들의 지혜를 전수받기 위해, 새로운 세상의 지혜를 알기위해. 하지만 어떤 때는 왜 이렇게 죽도록 공부하는지 이유를 정확히 댈 수 없을때고 많다.

 

이 책은 KBS에서 지난 2월과 3월, 5회에 걸쳐 방송한 프로그램을 책으로 엮어낸 것이다.

하버드대에서 공부하는 스캇, 릴리, 제니, 브라이언 네사람을 진행자로 하여 각 나라의 공부하는 이유와 방법들을 돌아보고, 그 차이점을 비교하며, 왜 우리는 공부하는가에 대한 질문의 답을 찾는 내용이다.

 

이는 다른 문화권에서도 마찬가지였다. 한 사회의 공부와 그곳의 문화, 삶의 방식은 서로 긴밀한 영향을 미치면서 학문적 성과를 만들어내고 고유의 문화를 지켜나가고 있었다. 이런 이유로 유대인의 공부는 중국의 공부와 달랐고, 중국의 공부는 미국의 공부와 달랐다. 또한 미국의 공부는 인도의 공부와 달랐으며, 인도의 공부는 일본, 한국의 공부와 달랐다. 각 문화권의 공부는 피부색보다 더 달랐다.

 

무엇보다 각 나라의 공부에 대한 인식 자체가 많이 다름에 놀랄 수 밖에 없었다. 물론 각 나라마다 고유한 문화와 삶의 방식이 있기에 조금씩 다를 수 밖에 없지만, 그 차이가 동서양으로 확연히 구분되어 졌다.

 

중국, 한국, 일본등은 예부터 유교권 문화였기에, 선현들의 지혜를 배워 가족과 나라에 도움이 되는 것이 공부의 목적이 되어 왔다.

그러나 서양은 개인의 성취를 중요시 하기에 자신의 발전을 위한 공부가 우선이다.

이런 차이점이 공부 방법에도 영향을 미친다.

동양은 주로 강의듣기, 필기, 암기로 혼자 공부를 하는데 반해 서양에서는 한 주제를 놓고 끊임없이 토론하고 논쟁한다. 우리나라의 정서에서는 선생님에게 무례하게 보일수도 있으나, 오히려 그들은 아무 질문도 하지 않는 동양인들은 수업의 내용을 숙지하지 못하고 있다고 받아들인다. 이런 문화 차이로 유학생들의 고충도 있다고 한다.

 

서양인들은 개인의 성취를 순전히 개인의 것으로 간주한다. 그래서 공부가 하기 싫거나 자신의 능력이 한계에 부딪혔을 때는 공부의 목적이 자기자신에게 국한되어 있기 때문에 쉽게 좌절하고 포기한다. 내가 공부를 게을리 해도 특별히 신경 쓰이거나 걸릴게 없는 것이다.

그에 반해 동양인들은 자신만의 명예나 부를 위해 공부하기 보다는 가족, 공동체의 행복과 안녕을 위해 공부하기 때문에 나태해지거나 좌절에 빠졌을 때에도 쉽게 포기하지 못한다. 자신에게 큰 기대를 걸고 있는 사람들의 얼굴이 떠올라 차마 책상앞을 떠나지 못하는 것이다. (p 111)

 

서양인들은 능력은 타고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이를테면 누구는 수학자가 되기위해 태어났고, 누구는 농구선수가 되기위해 태어났다고 생각한다. 즉, 능력은 이미 정해져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어떤 일을 더 잘하려고 노력하지 않는다. 내가 못하는 일은 더 노력한다고 잘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니까. 그러나 동양인들은 능력은 변한다고 생각한다. 즉, 능력은 곧 노력의 산물이기 때문에 내가 어떤 일을 잘못하면 그만큼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는 의미로 받아들이고 그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더 많이 노력한다. (p 134)

 

이에 반해 인도는 공부가 그들의 신분과 가난을 벗어날수 있는 유일한 방법으로 인식되어 지고 있다. 철저한 계급에 의한 차별이 있는 나라 인도. 나라에서는 교육의 기회를 모두에게 허락하고 있지만 가난한 하층민들에게는 어려운 일이다. 그래도 그들은 자신의 굴레를 벗어나기 위해 끊임없이 공부한다. 인도의 교육방법은 주로 암송과 암기이다. 브라만계급의 베다경전을 반복해서 외우는 방식이 그대로 공부방법으로 이어졌다. 이것도 그들의 문화에 따른 영향이다.

 

그렇다면 가장 교육열이 높고 우수한 민족으로 알려진 유대인들의 공부방법은 무엇일까?

그들의 <토라>경전 공부는 수많은 토론과 질문과 논쟁으로 이루어져 있다.

 

흔히 유대인들은 '100명의 유대인이 있으면 100개의 의견이 존재한다.'고 생각한다. <토라>와 함께 무한한 토론과 논쟁거리를 제공하는 <탈무드>의 영향으로 그들의 머릿속에 '세상에는 완벽한 정답이 존재하지 않으며, 각각의 주체적인 의견이 중요하다'는 의식이 강하게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p 233)

이렇게 여러 나라의 공부방법과 그들의 생각들을 비교해 본 결과 어느 교육 방법이 좋다고 단정지을수는 없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교육방법이 옳다고는 말할 수 없을 것 같다. 인터넷이 보급되고 많은 정보가 쏟아지는 요즘, 새로운 지식은 얼마든지 검색으로 알아낼수 있다. 중요한것은 그런 정보들을 어떻게 취합하고,분석하고, 분류하여 자신의 것으로 만들고 그것을 이용해 새로운 것으로 발전해 나가는 것이다. 그것을 위해서는 지식을 내 머리속에 넣는 작업형태의 공부방법으로는 부족하다. 다른이들의 의견을 듣고, 나의 생각을 말하고, 옳고 그름을 가리거나 서로의 좋은점을 선택하거나 하는 형태의 공부방법이 필요하다. 암기 위주가 아닌 질문의 공부말이다.

아마도 이 프로그램을 제작한 이들도 그런 결론에 도달하지 않았나 생각한다.

 

세상에 혼자서 모든 것을 처리할 수 있는 사람은 없다. 또한 창의적인 아이디어는 한 사람의 머리에서 나오지 않는다. 다른 사람과 나의 생각, 지식등을 공유하며 힘을 합쳐야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나오고, 그것이 미래 사회에서 생존하고 번영할 수 있는 최선의 길이다. 이러한 이유로 세계에서 손꼽히는 명문학교들과 인재들이 질문을 통한 소통과 협력의 공부에서 미래를 찾는 것이다. 따라서 암기 중심의 동양의 공부가 옳지 않다고 말할 수 는 없지만, 이제 우리도 세계가 질문을 통한 소통과 협력의 공부에 주목하는 이유를 좀 더 진지하게 고민해보아야 한다. (p 355)

 

우리나라처럼 교육열이 높은곳도 드물다. 그러나 그 많은 아이들이 잠도 못자며 많은 시간을 공부에 쏟는데도 노력 대비 결과물이 너무 적은것 같아 안타깝다. -벌써 노벨상이 나와야 하는 건 아닌가? 그렇게 열심히 하는데.-

우리의 공부방법을 조금은 돌아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교육정책을 하시는 분들, 교육에 관계되신 분들이 꼭 읽어 보았으면 한다.

그리고, 다른나라들도 우리나라처럼 입시전쟁이 치열하다. 다만 우리는 학력과 직업에 의한 인식, 소득격차가 심하고 다른 나라들은 그렇지 않다. 그래서인지 모두 한곳만을 바라보며 가지 않는 것이 부럽게 느껴졌다.

 

한가지 이 책을 읽으면서 아쉬웠던 점은 인간이 왜 공부를 하는가 에 대한 원초적인 질문의 답이 없다는 점이다.

생물학적으로 기질적으로 공부를 하게 되는 원인이 나는 궁금했었다.

- 표지에도 왜 죽도록 공부하는가 라고 적혀 있으니까. -

그러나 그 부분에 대한 언급은 없다. 다만 인간이 공부를 어떻게 하나, 어떻게 다른가에 대한 조사만 이루어진 점이 아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