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풍소녀 가출기 상상하는 아이 창작동화 시리즈 12
최미경 지음, 이승연 그림 / 리잼 / 201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은이 최미경

아이들을 키우다 보면 부모로서 아이들의 욕구를 다 채워주지 못할때 참으로 난감함을 느낀다.

어른들과 달리 주위에서 자신을 바라보는 시선에 민감한 시기인 십대 일때는 그런 이유로 자존감이 떨어지고 위축되어 질때가 많다.

아이들은 그로 인해 상대적 박탈감과 빈곤감을 느끼게 된다.

그 욕구라는 것도 다양하고 기준이 모호해서, 해주어야 하나, 말아야 하나 고민이 될때가 많다.

그래도 선택권이 부모에게 있을때는 행복한 경우이다. 마음은 있으나, 상황이 허락하지 않을때는 정말로 힘들다.

그런 부모의 마음을 누구보다 잘 알면서도 그래도 채워지지 않는 자신의 욕구로 방황하는 우리의 주인공이 여기 있다.

박지우는 부산에서 포항으로 온가족이 이사를 오면서 전학을 오게 된다. 지우는 무엇이든지 잘하는, 선생님에게는 칭찬받고, 아이들에게는 인기가 있는 아이다. 하지만 지우는 항상 마음속에 가족에 대한 창피함을 가지고 있다. 빚에 쫓기어 이사를 오게 되고, 조그맣고 낡은 집에, 오래되어 낡은, 또는 남이 쓰다 버린 것을 주워온 가전제품들. 6개월치 임금을 못 받아도 말한마디 못하는 너무 착한 아빠, 항상 생선 비린내가 몸에 밴 엄마, 정신지체 등급을 받은 동생. 이 모든 것들이 지우는 너무나 창피하다. 지우는 그런 가족들의 소중함은 알고 있다. 다만 친구들에게 말하고 싶지 않을 뿐이다.

6개월 치 공사판 임금을 떼였어도 아무 소리 않고 기다리는 바보 같은 아빠는, 자기가 번 돈도 못 받는 칠푼이 (이건 순전히 우리 외할머니 말씀이다.)지만 다정하고 성실한 분이다. (이건 우리 엄마 말씀이다.) 그리고 그런 아빠에게 잔소리 한 번 안 하는 맹추 (이것도 우리 외할머니 말씀이다.) 우리 엄마도 살갑고 따뜻한 분이다. (이건 우리 아빠 말씀이다.)

다만, 고등학교 졸업장이 없다. (p.15-16)

지우는 부산에서 나고 자랐지만 사투리를 거의 쓰지 않는다. 어릴 적 텔레비젼 드라마에서 실크 블라우스를 입은 아줌마가 자신의 딸에게 갖고 싶은게 뭐냐고 물어보는데 들어본 적이 없던 고상하고 아름다운 서울말이 들린것이다.

그래서 나는 그날부터 텔레비전에 나오는 모든서울말을 따라 하기 시작했다. 사투리를 쓰지 않으면 나도 유치원에 갈 수 있을 거란 생각이 막연히 들었다. (p.34)

그래서 지우는 친구들에게 거짓말을 한다. 형제는 없고 아빠는 의사, 엄마는 선생님이라고.

동생 찬우가 학교에 찾아와 누나를 찾을때도 모른 척 하고, 그래서 약간 늦되는 짝꿍 진우에게도 마음같지 않게 차갑게 대하게 된다.

하지만 그런 지우를 참으로 좋아하며 따르는 짝꿍 진우. 그런 진우를 바라보며 지우는 생각한다.

어쩌면 진우는 모자란게 아니라 조금 느린 것이란 생각이...(p.56)

그러던 어느 날 엄마가 할머니와 통화하는 소리를 우연히 듣게 되고 동생이 또 생긴다는 사실에 지우는 엄마에게 화가 나 쏟아 붓기 시작한다.

"엄마는 내가 쉬는 시간마다 준비물 빌리려고 다른 반 기웃거리는 거 생각이나 해 봤나? 남이 불던 리코더, 남이 입어 땀 냄새 나는 체육복! 기초생활수급자 딱지를 붙이고 다니는 내 심정은 생각이나 해 봤나. 급식비 안 내도 되는 박지우! 우유 값 안 내도 되는 박지우! 불우 이웃 돕기 안 내도 되는 박지우 ! 와? 내가 불우이웃이니까! 친구 엄마들이 나만 보면 뭐라 카는 줄 아나? 쟤 좀 봐라! 엄마랑 아빠가 머여 주기만 해도 저렇게 뭐든 잘하잖아! 나 보믄서 그런다! 나 들으라고 그런다! 엄마, 내 생각은 조금도 안 하제? 내가 학원을 보내 달라고 했나? 제대로 된 옷을 사 달랫나? 그런 거 하나도 안 바란다. 나 창피 당하는 게 하루 이틀이가? 나 거지꼴 하는 게 일이 년이냐고? 이럴꺼면 와 낳았노! 와 낳았는데? 나랑 찬우랑도 모자라서 지금 배 속에 걔한테도 나처럼 평생 창피하게 살게 하고 싶나? 낳기만 하면 끝이가? 어? 말을 해 봐라! 말을!" (p.72)

우리의 폭풍소녀 지우의 가출은 이렇게 시작된다.

이제 막 십대에 들어선 아이들은 세상의 중심이 자기에게 있다. 그렇다고 이기적이란 뜻이 아니라 자신이 세상을 보듯 세상 모두가 자신을 바라보고 있다고 느끼는 것이다. 내가 자신있어 하는 부분을 남들은 좋다고 보아 줄 것이고, 내가 창피하게 생각하는 부분은 남들 또한 이상하게 바라본다고 여기는 것이다. 그래서 티도 나지 않는 외모의 작은 부분, 옷매무새를 챙기곤 한다. 남들이 보기에는 전혀 알아차리지 못하는데도, 그들은 본인이 알고 있기에 남들도 바라보고 있을거라고 느낀다.

그런 아이들에게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는 자신의 집은 창피하게 느껴질 수 밖에 없다. 그것을 떨쳐 이겨 낼 자존감은 아직 형성되지 않았을 때이다. 편안한 환경 속에서도 폭풍기를 겪는 아이들에게 환경은 너무나 중요한 요인일수 밖에 없다.

지우는 이러한 어려움을 어떻게 헤쳐나갔을까?

무엇보다 사랑이 넘치는 가족이 지우에게는 힘이 되었다. 서로가 사랑하며 격려해주는 부모님, 조금은 늦되지만 밝은 찬우를 한없는 사랑으로 보살펴주는 부모님, 그 부모님의 사랑이 지우에게는 버팀목이 되어 주었다.

그 사랑을 지우는 마음속 깊이 알고 있었다.

지독한 엄마의 생선 비린내에 또 버럭 화를 내고 밖으로 나와 버렸다. 내 가슴은 '엄마 손을 보니 마음이 너무 아파'라고 말하고 있었는데 말이다. (p.113)

"찬우야, 누나는 사탕이랑 초콜릿처럼 단 게 참 좋다. 이걸 먹으면 기분이 좋아지거든.

찬우야, 누나가 니 지키 줄게. 우리 동생 찬우는 내가 반드시 지킨다." (p.106)

그리고 지우의 모든 면을 알고 이해하며 옆에 있어주는 친구가 있었다.

앞으로도 지우의 삶은 그리 녹록치 않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의 폭풍소녀 지우는 흔들리지 않고 자신의 앞길을 걸어 갈 것 같다.

어린이 책을 읽으면 항상 느끼는 것이지만 사건의 구성에서 조금 아쉬움이 남는다는 것이다.

차라리 그림책은 짧게 주제만을 짜임새 있게 구성하면 되고, 청소년으로 넘어가면 상당히 복잡한 구조를 지니어도 이해가 가능하기 때문에 어른들이 읽어도 흥미진진하다. 그러나 어린이 책은 너무 어려워도, 너무 시시해도 안되는 사건의 진행 형태를 지녀야 하니, 그 단계를 조절하기가 힘들다는 것이다. 그래서인지 이 책에서도 지우가 집으로 돌아오는 부분이 앞의 구성 오르막에 비해 근거가 부족하다고나 할까? 으응~~~? 이렇게 쉽게 돌아가? 라는 느낌을 받게 된다.

동생 찬우와 짝꿍 진우의 연결고리나 가출하기전에 민수 아빠가 주신 돈의 연결고리 등이 있기는 하지만 전체적으로 조금씩 긴장하다가 갑자기 맥이 탁 풀린 느낌이랄까? 하지만 언제나 어린이 책을 읽게 되면 드는 생각들이다. 그래서 동화작가들이 글 쓰기가 더 어려울 것 같다. 글 쓰다가 잘 안되면 동화작가나 하지 라는 일각의 생각들은 어불성설이란 생각이 든다.

동화작가는 동화작가로서 길러지고 만들어져야 한다.

그래도 지우가 엄마에게 쏟아부었던 말은 너무나도 가슴에 와닿는 표현이었다. 지우의 마음을 잘 헤아려 써내려간 그 문장을 읽으면서는 나도 모르게 감정이입이 되어 살짝 눈시울을 적셨으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