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명한 지표 투자 - 업종 지표의 방향이 곧 기업 이익의 방향이다
고재홍(재콩).새로운길 지음 / 이레미디어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명한 지표 투자

올해 읽은 책들 중에서 투자에 많은 도움이 되는 책이라 생각한다. 저자분의 투자 생각과 일치하거나 공감이 되는 부분이 많았다. 읽는 내내 책 내용에 감탄하면서 밑줄을 친 부분이 너무 많다. 저절로 투자공부가 되는 책이다. 투자의 길라잡이 같은 책이다.

투자를 처음 시작하면 어디를 봐야 할지 몰라 막연한 생각에서 투자를 할지 모른다. 길을 가다가 자주 마주친 흡연자들을 보면서 KT&G에 투자를 하고 무조건 상승한다고 확증편향에 빠질 때가 많다. 그때는 왜 관련 데이터라도 확인을 해 볼 생각은 못했을까 후회가 된다.

저자분은 이익의 관점에서 상식에 기반한 투자를 지향한다. 이익이 증가하는 핵심요소들을 파악해서 관련된 지표들을 설명해주고 있다. 책을 보다가 산업별 업종내에서 유기적으로 전·후방 산업에서 상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투자의 기본은 이익이 증가하는 기업을 찾는 것이다.

이익이 증가한다는 것은 두 가지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현재 좋은 실적이 앞으로도 꾸준히 이어진다는 의미이기도 하고, 현재는 부진하나 앞으로 이익이 회복된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기업 이익에 영향을 주는 핵심 요소(Key Factor)를 파악하고 있어야 합니다. 다시 말해 기업이 영위하는 비즈니스 모델(BM)을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기본은 기업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잊지 말아야 할 것은 기업과 업종 방향은 별개가 아니라는 점입니다. 업종이 움직이는 업 다운 사이클을 함께 보는 것은 투자에 있어 매우 중요합니다. 업종 방향은 결국 기업의 방향이며, 업종 방향을 알려 주는 업종 지표는 결국 기업의 지표이자 기업 이익의 방향입니다. 업종 지표를 본다는 것은 기업 실적을 확인한다는 말과 같습니다.

투자를 하다 보면 개인의 성향과 기질이 중요하다는 것을 느낍니다. 오래 인내하는 성향과 기질은 그냥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삶의 태도가 중요하고 타고난 기질도 한몫합니다.

저는 친구들과 투자 이야기를 웬만하면 하지 않습니다. 사람마다 투자 호흡이 다르기 때문에 섣부르게 투자 이야기를 하면 오히려 독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습관과 반복이 중요합니다. 한 달에 한 번 또는 분기에 한 번씩 관심 업종 위주로 지표를 체크한다면 큰 무기가 될 것입니다.

그 많던 만 원 삽겹살은 어디로 사라졌을까

2020년 들어서면서 돼지 수입 물량이 급감하기 시작했습니다. 배경에는 중국이 있습니다. 옥수수 수요의 77% 이상이 사료로 사용됩니다. 22% 이상은 전분당으로, 나머지는 종자나 팝콘 등으로 쓰입니다. 즉 옥수수 가격은 사료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요. 이 영향은 자연스럽게 양돈·양계기업으로 이어집니다. 중국 정부는 돼지 고기 부족분을 수입 물량으로 메웠고 그 결과 우리나라로 들어오던 수입 돼지고기 물량이 큰 폭으로 감소했습니다. 그 흔하던 만 원 삼겹살도 자연스럽게 사라졌습니다.

수요 급증은 국제곡물 가격 상승으로, 국제곡물 가격 상승은 사료 가격 인상으로 이어집니다. 양돈 업체 입장에서는 원가가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습니다. 원가 관점에서는 옥수수와 배합사료 가격이, 돼지고기 도매가격 관점에서는 돼지 사유 도체 수와 수입 물량이 영향을 준다는 점을 기억해 둘 필요가 있습니다.

건설사의 주가 방향은 인허가에 달려 있습니다. 그런 점에서 인허가→착공/분양→준공/입주사이클을 체크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인허가, 착공, 미분양 지표는 국토교통부 통계누리에서 키워드 검색을 통해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인허가 지표보다 광범위한 개념이 국내 건설수주액 지표입니다. 건축과 토목을 합산해서 지표로 비중은 8:2 또는 7:3입니다. 주택시장의 방향을 알려 준다는 점에서 인허가 지표와 동행성을 보입니다. 건설 업종은 정부의 정책 방향이 중요합니다. 또 하나 고려해야 할 것은 철근과 시멘트, 레미콘 등 원자재 가격 방향입니다. 국내 건설 시장에서 또 봐야 할 지표는 M2(광의의 통화), 즉 통화량과 주택담보대출금액증가율입니다. 다시 말해 정부의 통화와 금리 정책방향이 건설 업종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결국 수익을 얻는 것이 투자의 목표입니다. 투자에 있어서 절대적으로 맞거나 틀린 기준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돌아보면 결국 중요한 것은 투자자 자신의 기질과 성향입니다. 내가 어떤 사람인가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는 투자의 출발점입니다. 성향과 기질에 맞는 투자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현명한 접근이라고 생각합니다. 다시 말해 본인에게 맞는 옷을 입을 필요가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