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숫자 감각의 힘 - 불확실성을 기회로 만드는 6가지 숫자 전략
사이토 고타츠 지음, 양필성 옮김 / 클랩북스 / 2022년 8월
평점 :
숫자 감각의 힘
요즘은 빅데이터의 시대다. 많은 자료들 속에서 올바른 정보를 찾기도 힘들다.
최근에 통계학 관련 시험에서 떨어지고 통계 입문 서적을 4권정도 읽게 되었다. 확실히 통계학은 익숙치 않은 용어 때문인지 어렵게 느껴졌다. 사이토 코타츠가 쓴 <숫자 감각의 힘>은 정말 알기 쉽게 쓰여진 책이다. 사칙연산만을 사용해서 책에서 나온 25가지 사례만 읽어도 아주 쉽게 기초 통계 개념을 파악 할 수 있었다. 단순히 통계 개념만 가르쳐 주는 것이 아니라 불확실한 상황에서 어떻게 숫자로 변환해서 판단을 할 수 있는 통계적 사고도 익힐 수 있었다.
일본 소프트뱅크의 창업자 손정의 씨는 이렇게 말했다.
“성공 확률 50%인 사업을 하는 것은 어리석은 짓이고,
성공 확률 90%인 사업은 이미 늦은 것이다
성공 확률 70% 정도인 사업을 하는 것이 가장 좋다.”
주목해야 하는 것은 30%의 실패를 처음부터 상정해 두는 것이다. 실제로 소프트 뱅크는 신사업 진출도 빠르지만, 철수도 빠르다. 30%의 실패 리스크를 예상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언가 시작하려 할 때, 그저 가정이어도 좋으니 성공 확률 70%, 실패 확률 30%라는 예측을 해보십시오. 그러면 지금부터 하려고 하는 일에는 30% 정도의 리스크가 있다라는 사실이 명확해집니다. 리스크가 보이면 사람은 자연스럽게 그에 대한 대책을 세우게 됩니다. 그렇게 하게 되면 만약 실패하더라도 당황하지 않습니다. 준비한 대책을 침착하게 실행하면 되기 때문입니다. 그것이 중요합니다.
미래 예측에서 중요한 것은 맞추는 것이 아닙니다. 어떤 미래가 오더라도 대응할 수 있는 것이 휠씬 중요합니다.
숫자에 강한 사람에게는 특징이 있습니다. 바로 어떤 숫자를 나에게 의미 있는 숫자로 만드는 데 능숙하다는 것입니다. 모르는 숫자가 있으면 그것을 어떻게 자신에게 도움이 되는 숫자로 변환할 것인가를 자동으로 생각하는 습관을 지니고 있습니다.
큰 숫자를 보면 반사적으로 1인당 평균값으로 변환하는 습관을 가져야 합니다. 그것이 큰 숫자에 대해 사고정지가 되지 않기 위한 방법입니다. 평균값을 구했다면 반드시 그 숫자는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 있지 않은지, 샘플 수는 충분한지 등을 살펴보는 습관을 지녀야 합니다. 그것이 숫자에 속지 않기 위한 가장 확실한 트레이닝입니다. 대략 전체적인 그림을 파악할 때는 평균값 변환을 사용합니다. 그 결과에 위화감을 느낀다면 중앙값을 체크함으로써 보다 얻고 싶은 숫자에 가까워질 수 있습니다.
숫자 감각을 키우기 위한 첫 단추로 일단 숫자로 생각하는 습관을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 막연한 기대가 아닌 정확한 기댓값을 산출하여 다름 아닌 숫자를 판단의 근거로 삼는 것입니다. 숫자는 짐작하거나 추정할 필요 없이, 그 자체로 진실을 담고 있습니다. 제대로 읽어내고 분석해 낸다면, 충분히 불확실성을 기회로 바꿀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