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배당 투자로 한 달에 두 번 월급 받는다 - 하루 30분 투자로 세상에서 가장 확실한 수익을 얻는 법
곽병열 지음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20년 8월
평점 :
절판
왜 배당 투자인가?
(2020년은 3월 코로나 발생이후 기준금리 0.5%를 내리면서 더욱 성장주 투자에 돈이 모이고 있습니다. 성장주에 과열되고 있는 지금이 배당주 투자를 해야 할 시점이 아닐까 생각합니다.그리고 요즘같은 정보가 넘쳐나는 시대에 신호와 소음을 구분하기 위한 신호로 현금배당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자는 배당정책 지속성(연속배당,배당성장률), 배당수익률, 이익잉여금 등 세 가지 방법론을 바탕으로 배당진단키트(배당 투자 체크리스트) 만들어 누구나 쉽게 배당 투자를 알려 주고 있습니다. 국내주식과 미국주식의 주요 배당주 분석 자료는 어떻게 배당주를 고르는지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배당금은 물가상승을 반영해 동반 상승하는 경향도 있습니다. 배당금의 원천인 매출의 경우 판매 가격과 판매 수량의 곱인데 물가상승은 판매 가격에 일정 부분 반영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한편 물가 상승 압력이 약화되는 디플레이션 국면(경기둔화)에서도 좋은 배당주들을 배당금이 쉽게 줄어들지 않는 경향을 보입니다. 결국 좋은 배당주의 경우 일반적인 완만한 물가상승시 배당금은 비례적으로 커지고 일단 형성된 배당금 수준은 쉽게 줄어들지 않는 속성을 지니며, 디플레이션과 같은 경기둔화 시에도 현금보유 경향이나 주가부양 의지로 배당금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습니다.
자본주의가 성숙될수록 주주의 힘이 커지고, 주주의 힘이 커질수록 높은 배당 압력에 의해 배당확대가 진행될 것입니다.
저금리 하에서 보통 사람들은 조금 더 수익률을 확보하려는 일드헌팅 욕망이 꿈틀거리게 되는 것이죠. 이를 조금 아는 척해보자면 실질배당수익률(=배당수익률-시장금리)이 상승하기 떄문에 배당주의 상대적 매력이 커진다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장기적인 시중금리의 하향세는 대체로 배당 투자의 매력을 높이는 것은 확인됩니다.
특히 배당주의 경우 기업수명주기상 성숙기에 진입한 현금 부자인 경우가 많아 경기 변동에 대한 내성도 비교적 강한 편입니다.
배당 투자, 어떻게 옥석을 가리나?
1. 믿음을 주는 친구인가- 배당정책의 지속성
배당을 해봤던 기업들이 또 배당하는 확률이 높다는 것으로 배당의 연속성이 좋아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즉 장기간 연속 현금 배당 실시 기업의 증가를 통해 다음 해 배당 유무의 정책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2.고배당수익률 - 배당투자의 전부는 아니지만 기본
배당수익률=주당배당금(DPS)/주가 =최근결산기 보통주 DPS(현금,무상조정)/보통주 주가
배당수익률은 배당 가치 측면에서 저평가 정도를 측정해주는 것으로, 배당 투자의 적정 시기에 좋은 가이드 역할을 합니다.
다만 주가가 급락해 배당수익률만 높아지는 경우 배당수익률의 착시현상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합니다. 이러한 작시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주가 하락의 원인이 구조적인가, 순환적인가, 아니면 일시적인가를 개별적으로 따져봐야 할 것입니다.
3. 배당의 원천은 결국 기업이익
결국 기업이익 창출을 통해 순이익이란 물길이 흘러 흘러 이익저수지인 이익잉여금으로 넘칠 때, 이것이 동업자 주주들에게 배당까지 연결되는 과정이 바로 배당 형성의 큰 물줄기입니다. 배당정책의 지속성 측면에서 변동성이 제법 큰 당기순이익에만 좌우될 경우 들쭉날쭉 일기에 따른 파도로 변동성이 클 테니 과거부터 꾸준히 쌓아온 이익잉여금을 기준으로 해야 배당의 안정성,평탄화가 완성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결국 기업은 이익잉여금 수준을 통해 해당 기업이 청년인지 장년인지 수명주기를 알 수 있는 것이죠.
다시 정리하면 기업의 유년기와 성장기에는 높은 영업 변동성에 대한 방어기제로서 현금보유에 대한 욕구가 강합니다. 다만 성숙기에 접어들면서 경영상황이 안정되면 필요 이상의 현금을 보유할 유인이 약화되기 때문에 동업자인 주주에게 잉여현금을 환원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특히 성숙기의 배당확대는 그 기업의 미래 경영 상황이 원만하다는 신호효과도 시장에 줄 수 있기 때문에 배당확대와 같은 주주환원 정책이 강화될 수 있는 것입니다.
배당은 곧 주주에 대한 의리입니다. 의리 있는 친구와 오래도록 함께하는 것이 진정한 배당 투자입니다. 그 의리의 징표가 바로 배당성장이라고 판단되어 배당성장의 연속성을 가장 먼저 고려해 의리 있는 친구들을 발굴하고자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