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는 눈 키우는 법 - 우세한 눈이 알려주는 지각, 창조, 학습의 비밀
베티 에드워즈 지음, 안진이 옮김 / 아트북스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양손 엄지와 검지로 약 2cm 정도 되는 삼각형을 만들었다. 그리고 그 구멍으로 방문에 걸려 있는 펭귄 그림을 봤다. 왼쪽 눈을 감았을 때는 펭귄이 그 자리에 그대로 있었지만, 오른쪽 눈을 감았을 때는 펭귄이 삼각형 밖으로 나가버렸다.


이 책에 나와 있는 우세한 눈 테스트 방식을 따라 해본 것이다. 테스트 결과 나는 오른눈이 우세했다. 왼손잡이와 오른손잡이처럼 눈 또한 왼눈잡이와 오른눈잡이도 있다는 우세한 눈은 낯선 개념이었다.


신체의 오른쪽은 좌뇌, 왼쪽은 우뇌와 연결된다는 과학 지식은 그래도 꽤 알려진 편이다. 어느 쪽 깍지나 팔짱을 껴서 우세한 뇌를 찾는 법 역시 들어본 적 있다. 눈 역시 마찬가지다. 오른눈이 우세하면 좌뇌가, 왼눈이 우세하면 우뇌가 우세하다. 그런데 나는 깍지를 꼈을 땐 우뇌 우세라는 결과가 나오는데, 팔짱을 끼면 좌뇌 우세라는 결과가 나온다. 눈도 오른눈이 우세하니 깍지만 예외적인 것이다. 그래도 전반적으로 고려해봤을 때 나는 좌뇌가 조금 더 우세한 듯하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자신의 눈 중 우세한 눈이 어느 쪽인지 알지 못한다. 하지만 화가들은 오래전부터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두 눈의 차이를 포착하여 초상화를 그렸다. 그뿐만 아니라 눈은 고대부터 다양한 문화권에서 다양한 의미의 상징으로 사용됐다. 인간은 눈의 중요성을 알게 모르게 느끼고 그것을 표현해왔던 것이다.


사람들은 대개 눈을 중요시하지만, 우세한 눈에 관해서는 별로 신경 쓰지 않고 살아간다. 그러나 저자는 자신의 우세한 눈을 알아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양쪽 뇌는 각각 언어적 신호와 비언어적 신호를 받아들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우세한 눈은 그와 연결된 뇌를 발달시킨다. , 한쪽 뇌만 발달하는 것이다. 특히 언어적 역할을 하는 좌뇌가 우뇌보다 더 발달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그리기가 배제된 교육과도 관련 있다고 저자는 말한다.


어릴 적에는 누가 시키지 않아도 그림을 그린다. 어른들이 말리고 혼내도 그린다. 하지만 대부분 성장 과정에서 그리는 방법을 잃고 만다. 우리네 교육이 그리기와 같이 비언어적인 것보다는 언어 능력을 향상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여전히 마음 한구석에는 잘 그리고 싶은 욕구를 품고 있는 사람도 많이 있다.


저자는 눈과 뇌와 그리기는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이야기하면서 동시에 그리는 방법 또한 설명한다. 저자가 제시하는 방법을 따라 하면서 읽고 싶었지만, 일단 조금 뒤로 미뤄두기로 했다. 종강하고 반드시 해봐야겠다.




* 본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되었습니다.

미술사 속의 초상화들을 살펴보면 남성 화가들은 인물을 4분의 3 각도로 놓고, 젊은 여성 모델의 덜 우세한 왼쪽 눈(부드럽고, 꿈꾸는 듯하고, 비언어적이고, 도전적이지 않은 눈)이 앞쪽에 위치하도록 하고, 초롱초롱하고 약간 도전적이며 언어와 연관되는 ‘우세한 눈’은 뒤쪽의 4분의 1 영역에 놓아 일부만 보이도록 했다. 이것은 우연일까, 아니면 화가의 바람이 개입된 결과일까? - P62

우리는 보고 이름을 말할 수 있고, 보고 사용할 수 있고, 보고 분류할 수 있고, 보고 탐색할 수 있고, 보고 읽고 쓰고 기록하는 등 현대생활에 요구되는 모든 방법으로 볼 수 있다. 이렇게 보는 방법들은 주로 언어와 연관되어 있다. 그러나 우리 대부분은 보고 그릴 줄은 모른다. 보고 그리는 것은 다른 종류의 보기이기 때문이다. - P7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