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 본스
애나 번스 지음, 홍한별 옮김 / 창비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계 여러 나라는 공통적으로 전쟁을 겪어 왔습니다.

그러나 그로 인해 민간인의 피해는 언급되지 않습니다.


전쟁이 평화로이 살고 있던 사람들에게 

어떻게 영향을 주게 되었는지를 경험으로 써 낸 책인

<노 본스 no bones>라는 소설을 가제본으로 만나보았습니다.






작가 애나 번스는 실제로

주요 배경인 '아도인'에서 살았습니다.

가까이에서 비극을 경험하며 느낀 감정을

소설로 담아내어 사람들이 겪었던 고통이 전해집니다.






no bones라는 제목은 전쟁으로 인해

삶을 살고 있던 사람들이 받은 피해를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단어입니다.



특히 여성은 더욱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주인공 또한 위협을 당해서 거식증을 앓게 되며

자신의 몸을 사랑할 수 없는 처지에 놓입니다.






트러블의 시작으로 소설이 전개됩니다.

어밀리아와 친구들의 일상적인 대화 속 나타나는 트러블은,

소설을 관통하며 인물의 삶에 큰 고통을 주게 됩니다.



편집자 양재화님의 편지에서

트러블 trouble은 아일랜드와 재합병하려는 가톨릭교도 세력과

영국에 그대로 남아 있으려는 세력의 충돌이었다고 합니다.

이러한 역사적인 사실인 전쟁 속에서

전쟁의 배경이 되는 터전에 살고 있던 사람들이 큰 영향을 받습니다.








첫 에피소드인 목요일, 1969년에서

트러블의 예고로 인해 어밀리아의 가족은

집 안에서 숨죽이며 군인들이 지나가기를 기다립니다.

그 도중 널판을 떼어내려고 하는 위기를 맞닥뜨리기도 합니다.

그들은 결국 지나갑니다.

그렇게 다행이 누군가가 공격당하거나 다치지는 않았지만,

어밀리아가 꿈 속에서 겪는 경험을 통해

어린 아이에게 충격적인 경험을 선사했다는 점이 잔혹하게 드러납니다.



사과 장수는 목록을 보여주는 대신 빨간 줄무늬가 있는 거미로 변신하더니 크게 웃음을 터뜨렸다.

악마한테 산 사과의 즙을 핥는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뜨뜻하고 짭짤한 맛이 났다.

<노 본스 no bones> 13p






연도별로 어밀리아와 주변 인물들이

전쟁으로 인해 겪는 일들을 기록했습니다.

에피소드 형식으로 눈 앞에서 보는 것처럼 적혀 있습니다.







인물의 죽음이 만연하여 에피소드마다

다치거나 죽는 사람들이 생깁니다.

그들 또한 일상을 살아가던 사람들이기에

마음이 좋지 않았고 충격적이었습니다.

주인공인 어밀리아는 목숨의 위협을 받습니다.

폭력이 가까이 있고, 무기들이 가까이에 있어

일상을 살아가기 힘든 모습이 안타까웠습니다.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작성한 후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