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조仁祖 1636 - 혼군의 전쟁, 병자호란
유근표 지음 / 북루덴스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혼군의 전쟁, 병자호란

인조 1636

어리석고 무능했던 군주, 능력은 없으면서 권력욕만 있었던 군주.

1636년, 그날의 역사를 낱낱이 파헤친 이야기를 만나보겠습니다.



남한산성 답사 중, 병자호란 때 임시수도로서 45일간 항전한 남한산성의 역사성에 주목하여 병자호란에 관한 책을 쓰기로 마음먹은 저자는 10년 넘게 [인조실록], [승정원일기], [만문노당]등의 1차 사료와 인조와 병자호란에 관련된 수많은 저작을 연구한 내용을 바탕으로 조선시대에서 잊지 말아야 할 최대의 굴욕의 하나였던 병자호란을 중심으로 이야기의 전과 후를 나누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제1부 병자호란 전 광해군 때 인조반정으로 조선의 국왕이 된 인조 이야기




제2부 청나라의 침략으로 병자호란을 겪게 될 때 남한산성으로 피해 갇혀있는 왕 인조, 결국 삼전도의 굴욕을 겪게 됩니다.




제3부 병자호란 이후 청나라와 조공 책봉 관계를 맺게 되면서 청의 볼모로 잡혀간 소현세자, 명나라의 최후를 목격하며 풀려나, 고국으로 돌아가게 되었지만, 끝내 비극을 피하지는 못한 채 세자의 신분으로 남게 된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드라마와 책, 영화를 통해서 인조의 이야기를 많이 접할 수 있을 만큼 그때의 이야깃거리가 참으로 많습니다.

인조 1636은 인조의 무능했던 역사적 사실을 관점으로 무능한 왕의 그릇된 판단으로 수많은 백성들이 고통을 겪어야 했던 원인들을 다각도로 파헤쳐 가며 쫓고 있습니다. 인조반정을 성공으로 왕이 된 인조, 이괄의 난,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그리고 청으로 볼모로 잡혀갔던 소현세자가 돌아와 죽음을 맞이하게 된 사건들을 낱낱이 파헤쳐 그날이 이야기 속으로 빠져들게 합니다.

병자호란, 인조는 신속한 몽진을 하지 못했고, 청나라의 빠른 진격 속도로 인해 시간을 끌지 못했으며, 중요한 사령탑으로 기용한 측근들이 싸움을 회피하거나 패배했기에 결국 청군을 막아내지 못하고 전쟁에서 패했습니다. 당시 조선과 청의 국력의 격차가 크지 않아 정복이 이루어질 만큼이 아니었음에도 조선은 패했습니다. 병자호란을 꼭 겪어야만 했을까요? 한국의 병자호란사는 청나라가 처했던 위기 상황보다도 침략을 당한 조선의 사정만으로 해석하려는 경우가 많아 자초한 전쟁이다 아니다를 이야기하며 객관적인 연구와 논쟁이 필요한 부분이긴 합니다.

이 책에서는 겪지 않을 수 있었다고 말합니다. 무능한 군주였던 그의 그릇된 판단이 엄청난 전쟁을 유발했으며, 결국 자신의 아들뿐만 아니라 수많은 백성들이 전쟁으로 인한 피해를 입었다 말합니다. 그런 왕군으로 동원된 병사와 의병, 그리고 백성들의 죽음. 청으로 끌려간 수십만 명의 억울한 백성들이 겪지 않아도 될 고통은 자신들만의 권력을 지키고자 위해 일어난 일들이라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나라를 다스리는 군주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 수 있습니다.

소현세자가 볼모로 떠날 때, 참으로 아들을 생각하는 마음이 참으로 따뜻했었던 반면, 그가 볼모에서 돌아온 아들을 대하는 태도는 어찌나 비정하고 차가운지 모르겠습니다. 소현세자가 아담 샬을 만나 선진 서양 과학 문명을 접하면서 조선도 청나라를 본받아 서양문명을 받아들여 부국강병의 나라가 되야 한다 설득하지만, 인조는 자신을 왕위에서 끌어내리고 소현세자를 옹립할 지 모른다는 의심에 결국 소현세자가 의문사를 당하면 죽음을 맞이하게 됩니다. 소현세자의 뜻에 따라 인조가 선진 과학 문명을 받아들였다면 조선은 어떻게 달라졌을까요? 참으로 안타깝습니다.

누르하치의 후금과 홍타이지의 조선 정벌에 대한 정벌 과정, 외교의 관계와 정치적 이야기, 경제와 사회, 군사적인 부분들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어 역사의 흐름을 재미있고 깊게 파고들 수 있었고, 어려운 정세 속에서 그가 행했던 무능함들이 드러나 인조라는 군주에 대한 생각이 명확해졌습니다. 어떤 왕이 어떤 통치를 하며 올바른 국가를 만들어내는가가 정말 중요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특히나, 지금은 더욱 그렇습니다.

2023년, 현 정권은 올바르게 성장하고 있는지, 위정자들이 무지하고 무능했던 자신의 권력만 채웠던 제2의 인조와 그의 주변인들이 되지 말기를 바라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