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읽는 방법 - 히라노 게이치로의 슬로 리딩
히라노 게이치로 지음, 김효순 옮김 / 문학동네 / 200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식><달>처럼 참으로 어려운 소설을 쓰던 이 작가가

너무나 쉬운 글로 책을 읽는 방법을 설파하고 있다.

그런데 정말로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만 꼭 집어

정연하게 말하는거다.

 

막힌 속이 풀리는 것 같고

읽는 내내 책 프로 하면서

PD와 죽도록 싸우던 생각이 떠나질 않았다.

 

난 참 같이 일하는 사람과 트러블 없이 일하는 스타일인데...

-그러니까 어지간하면 꾹꾹 속으로 참는 -.-++ -

속독과 실용서에 중독된 그 PD분과는 정말...

참을 수 없도록 하나에서 열까지 맞지 않았다.

 

이 책은 그런 것은 절! 대!  독서가 아니라고!

양의 독서에서 질의 독서로 전환하라고!!

조곤조곤 차분하지만 집요하게 설득한다.

 

정말 한권 사서 보내드리고픈 심정이다.

 

그러나 이 책 또한 속독으로 대충 단어만 기억하실까봐..

자신의 무의식이 멋대로 기억하는 단어만 결국 남을까봐..

무서워서 못보내겠다.

 

작가들이 숨겨놓은

그 수많은 장치와 단서와 비밀을 알아가는 독서!

 

자 이제부터 더 집요하게 독서에 파고들 시간이다!

 

 

 

 

# 슬로리더란, 다른 사람의 흥미를 끄는 독자인 것이다.

 

# 그럴듯해 보이는 주장일수록 뒤집어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 언어에 민감한 사람일수록 자만하지 않고 사전을 가까이 하는

   법이다.

 

# '나는 사형집행인의 수하에 있어도 철자는 바로 쓸 생각이다.'

                                                 -테오필 고티에(프랑스 작가)-

 

# 문화는 전파과정에서 '오독력(誤讀力)'에 의해 풍부해지며,

   이는 책도 마찬가지이다....확실히 '오독력'은 책의 가능성을

   확대시켜준다. 그러나 '작자의 의도'를 완전히 무시하고 언제나

   '오독력'에 의지해서 책을 읽는 사람은, 무슨 책을 어떻게 읽어도

   늘 독선적인 결론만 이끌어낼 가능성이 있다. 그것은 독자로서의

   가능성을 편협하게 하는 독서법이다.
   책을 읽는 또 하나의 기쁨은 타자와의 만남이다. 자신과 다른

   의견에 귀를 기울여 자신의 생각을 보다 유연하게 만드는 것,

   이를 위해서는 한편으로는 자유로운 '오독'을 즐기고 다른 한편으

   로는 '작자의 의도'를 생각하는 작업을 동시에 진행해야 한다.


 

# 좋은 책에는 어느 것에나 수수께끼가 존재한다. 그것을 푸는

   기술은, 독자 개인이 스스로 발견해야 한다.

 

# 소설가가 책을 느리게 읽는 이유는 분명하다. 그들은 생각하면서

   책을 읽기 때문이다.중요한 구절을 만날 때마다 책을 놓아두고

   생각에 잠긴다...... 말할것도 없이 '생각'이라는 행위야말로 독서

   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다. 속독이란 요컨데 머리를 사용하지

   않는 독서이다. 반면 '지독(遲讀)'은 즉 '지독(知讀)' 이라고도

   할 수 있다.

 

# 한 권의 책을 구석구석까지 음미하기 위해서는 오로지 묵독을

   해야한다. 리듬감을 즐기고 싶을 때는, 쓸쓸하게 혼자 읽지 말고,

   누군가에게 읽어달라고 하는 편이 더 낫다. 

 

# 자신에게 정말로 중요한 책을 오 년 후, 십년 후에 가끔씩 꺼내

  다시 읽어보라. 그 인상의 변화를 통해 우리는 자신의 성장의

  흔적을 실감할 것이다. 외관의 변화는 사진이나 동영상이 보존해

  준다. 그러나 내면의 변화를 실감나게 해주는 것은 책이다. 

 

# 같은 영화를 몇번씩 보는 사람은 있지만 같은 책을 몇번 씩 읽는

   사람은 점점 줄어들고 있다. 그러나 책은 '재독'에 가치가 있다.

   읽을 때마다 새로운 발견을 하고 새로운 자신을 발견한다. 책과

   그런 관계를 만들 수 있다면, 책은 더없이 소중한 인생의 일부가

   될 것이다.

 

# 책이란 아직 읽지 않았다고 해서 비굴해질것이 아니라 읽으면

  되는 것이다. 조금이라도 읽고 나면 그 순간부터 그것을 읽은

  사람과 똑같아 지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