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심리학 대우학술총서 신간 - 문학/인문(논저) 511
이정모 지음 / 아카넷 / 2001년 7월
평점 :
품절


마치 인지과학의 전부이자, 지나친 배타성이 흐르는 텍스트는

실제적인 응용이나 실험실밖에서의 상호작용 혹은 구체적 실천과 균형감 등과는 격이 안맞고

동떨어져도 한참 동떨어진 책과 강의였다.

 

인지심리학에 대한 이해, 그리고 그 철학은 실상 언어학이나 기호학에서 지배적인 이론들이다.

심리학자체가 다른 학문의 주요철학이나 다른 방법론을 마치 독특한 방법론이나 철학인양

가져오곤 그렇게 강의하는 경향이 짙다. 이런 배타성은 학문을 하는데 있어서나, 그 학문의

폐쇄성을 벗어나는데 반하는 것으로써 앞으로도 더욱 지양되어야 함에도 실상은 그렇지가 않다.

 

이 밖에도 국내에서 진행되는 진정한 학문에 대한 제대로된 연구보단,

그저 자기영역에 대한 보다 진부한 세부전공확보 및 그에 대한 경쟁만이 존재할 뿐이다.

어디든 그렇다곤 치지만, 인지심리학과 같은 특히나 연구중심적인 전공에선 매우 심하다.

 

그다지 권하고 싶지 않는 책이다. 저자의 강의내용도 인지심리학이 안고 있는 문제를

여실히 보여주는 실망스러움이 가득했다. 글쎄다. 이글을 보는 전공생들은 아니라고 뭘아느냐하겠지만,

학문은 누구에게나 이해되어야지 제대로 된 배움을, 그리고 진정한 지식으로서 자리잡을 수 있는것이다.

 

인지심리학과 그것이 추구하는 인지과학계에 관한 책을 추천하자면,

이인식교수님의 칼럼전집이나 관련 저서를 추천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06-08-06 19: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책에 대한 진지한 평가는 별로 찾을 수 없어서 아쉽습니다. 이정모 선생님의 강의는 저도 들어 보았습니다만, 강의와 이 책에 대한 평가를 그렇게 애매하게 하는 것은 좋지 못한 것 같습니다. 또한 학문이 누구에게나 이해되어야 한다는 것은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만, "누구"라는 말이 어디까지를 포함해야할지는 저도 잘 모르겠네요. 저는 물리학을 잘 이해하지 못합니다. 제대로된 강의나 책을 만나지 못한 탓도 있겠지요. 하지만 더 근본적인 이유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참고로 이인식님은 학교에 계시는 분이 아니므로 교수가 아닙니다. 물론 그분의 글이 훨씬 "대중적"이라는데 동의합니다.
이정모 선생님의 이 책은 학부에서 전공하는 학생들은 읽기가 만만치 않은 수준입니다. 대학원에서 읽혀야 무방하다고 생각합니다.

guimakjin 2008-07-17 17: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댓글이 있었군요. 몰랐네요. 무엇보다도 개인적인 느낌을 적었을 뿐인데, 제가 평론하는 사람도 아니고 '애매해서 좋지 못하다'는 건 더욱 애매모호한 거 같아 아쉽네요. 그리고 개인적인 느낌을 항상 좋게 쓰나 보시죠? 알라딘이라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거래하는 상품에 대한 평을 단 것 뿐입니다. 인터파크에서 거래되는 상품에 대해 개인적인 느낌을 적는 것과 큰 차이가 없답니다.

자 일단 이 책(인지심리학에 대한 소개 및 대부분 학부강의용 자료)과 함께 그 분이 강의하는 목적이 다분히 대중성을 염두에 둔 활동이었다고 생각됩니다. 이 책은 물론 엄연히 학술총서 시리즈로 나왔기에 대중성이 결여된 면이 없지 않습니다만, 제가 지적하는 바는 책 서두에 나오는 다른 분야에 대한 배타적 텍스트입니다. 그것은 좋지 못한 태도입니다. 그 문제를 지적했던 것이고 인지심리학이 중심이 될 수도 있지만 연합적이고 협동적인 시스템에서 배타적 중심이란 것은 존재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도 안됩니다. 그리고 이인식선생님으로 정정해서 말씀드리건데, 지식을 알리는 일을 생업으로삼고 계시는 분에 대한 존칭으로 대개 강의실에선 선생님보다도 교수님이라고 부를 수도 있는 점 융통성있게 바라보셨음 합니다. 누구에 대한 협의의 정의를 하자면('누구'가 그리도 중요한 논점이었다면), 인지과학이나 그와 관련된 학계,산업분야에서 활동하고 있거나 활동하고자 하는 사람들, 그리고 관심을 두고 있는 사람들까지로 한정합시다.

대학원에서 전공하셨던 분인 듯 한 필체인데, 대학원에서만 읽히고 대학원생 수준(그런 게 존재하는 지도 궁금하군요? 학제적 편성에 예민하신 것으로 보아 대학원에서 공부를 하셨나 보군요)에 다다르지 못한 이들에게는 가능하면 읽혀져서는 안되는 글을 담고 있는 책이 왜 총서시리즈의 한 권으로 나왔을까요? 아마도 학술서는 학술인들(대학원생까지라고 해야 할까요?)에게만 읽히면 충분했을텐데 말이죠? 굳이 있지도 않은 벽을 만드려 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어찌보면 상당히 위험한 발언입니다. 이것은 논문성격을 띠고 있지만 오늘날 일반인들 사이에서 교양과학을 넘어 전문적 접근의 시도가 다양해지면서, 더 많은 논문들이 기사로 보도되거나 자주 인용되는 사회 흐름과 그 수요에 따름인 것을 이해하셔야 겠네요. 그리고 갑작스레 물리학을 잘 이해못하신다고 하셨는데요. 관심이 있으시다면 더 노력을 하십시오. 원하는 이해의 단계에 이르도록 말이죠. 이 책의 수준은 그리 어려운 텍스트가 아닙니다. 더군다나 이 책은 입문서 성격이 짙습니다.

대우학술총서 시리즈는 일반인들에게 학술총서시리즈로서는 널리 알려져 있는 편이고, 그만큼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로부터 수집되거나 읽히는 점 또한 간과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게다가 심리학 관련 서적이란 게 방법론에 있어서서만은 낯설게 느껴질 수도 있는 분야가 있기도 하지만 대체로 일반인들이 그것의 전문적인 텍스트를 소화할 수 있게 구성해왔던 부분이 심리학 분야의 또 다른 매력이기도 한 점을 이해해주셨음 하는 바램이네요. 그럼, 앞으로는 진지한 댓글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