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액스맨의 재즈 ㅣ 밀리언셀러 클럽 144
레이 셀레스틴 지음, 김은정 옮김 / 황금가지 / 2015년 12월
평점 :
절판
현실의 미제 사건을 추리 소설의 소재로 다루는 일은 쉽지 않다. 그것은 미제가 되었던 만큼, '진실'로부터의 거리감을 가늠하기 어려운 전설과 이야기들을 너무 많이 품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추리소설의 독자들은, 그런 전설과 이야기 속에서 본인들의 납득할 수 있는 논리를 건져내길 바라기 마련이다.
그런 면에서, 도끼로 사람을 난도질하는 살인 방법의 끔찍함, 자신의 살인을 예고하는 살인마의 뻔뻔함과 대담함에 부두교의 수도 뉴올리언스까지 엮여 있는 뉴올리언스 도끼 연쇄 살인 사건은 추리소설가들의 '고르디우스의 매듭'과도 같은 존재가 아니었을까 싶다.
레이 셀레스틴이 이 매듭을 풀기 위해 동원한 '칼'은, 책의 이름에 드러난 바와 같이 '재즈'다. 그것도 재즈의 선구자인 루이 암스트롱을 한 축에 놓고, 셜록 홈즈에 매료된 백인 외모의 흑인 소녀, 마피아와 결탁했다 고발당해 옥살이를 한 이탈리안 전직 경찰, 인종차별이 만연한 1919년의 뉴올리언스에서 흑인과 (불법적인) 결혼을 한 백인 경찰로 밴드를 조직하고, 재지한 스토리텔링을 펼쳐낸다. 이 넷(혹은 루이 암스트롱과 친구를 묶어 셋)은 서로 자신들만의 논점과 혐의와 증거들을 가지고 추적의 애드립을 펼치지만, 독자적으로 흐르는 듯한 이 애드립들은 놀랍게도 범인의 실체를 밝히는 하나의 완성된 곡에 다다르게 된다. 여기에 더해 작가는, 실화이면서 픽션인 이 소설의 현실성을 강조하기 위해, 루이 암스트롱의 힘들었던 개인사, 살인마가 실제로 남겼던 편지, 당시 뉴올리언스를 덮친 수마까지 역사적 팩트를 꼼꼼하게 채워넣는다. 그럼으로써 독자들은 도끼 살인마의 정체와 그 살인마를 만들어낸 그 당시 뉴올리언스를 손바닥 훑는 것처럼 보고 이해하게 되는 것이다.
그 손바닥에는 부패한 시장과 경찰 조직, 마피아, 포주, 끔찍한 인종 차별, 부두교의 슬픈 이면까지 오밀조밀하게 올라가 있다. 이 책은 추리 소설이지만, 복수를 위한 개인적 일탈과 그것을 가능하게 한 사회구조의 난맥상을 그럴듯하게 엮어낸 덕에 1919년 뉴올리언스에 대한 잘 쓰인 문화인류학적 보고서 같은 느낌이 들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