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의 서양미술 순례 ㅣ 창비교양문고 20
서경식 지음, 박이엽 옮김 / 창비 / 2002년 2월
평점 :
<나의 서양미술 순례>. 이 책 제목에서 우리가 방점을 찍어야 할 곳은 '나의'이다. 200페이지를 간신히 넘는 이 조그만 책에서 우리가 기대할 수 있는 것은, '서양미술'에 대한 지식도 아니고, '순례'의 이국적 내음도 아니다. 조국의 감옥에서 목숨을 걸고 투쟁을 벌이는 형들과 그 형들을 옥바라지하다 돌아가신 부모님을 둔 저자의 가족사, 그 가족사를 낳은 분단 조국의 암담한 현실은 유럽 각지를 부유하며 미술관을 돌아보는 내내 그를 괴롭힌다. 그리고 그 괴로움은 그가 '발견'하는 그림들에 그대로 투사된다.
그가 보는 그림들은 한국인들이 좋아하는 예쁘장하고 곱상한 '메인스트림' 서양화와는 거리가 멀다. 그가 책 첫장에 올린 '캄비세스 왕의 재판'은 가죽벗김형을 당하는 시삼네스의 모습을 담고 있고, 그의 책 마지막을 장식한 그림은 뱀과 지네, 지렁이가 썩어들어가는 늙은 노부부의 몸을 파고드는 끔찍한 그림 '연인들'이다. 그는 미켈란젤로의 '반항하는 노예'를 보며 '노예는 나의 형'이고, '나는 그것을 감상하고 있'다며 통탄하고, 피카소의 '게르니까'를 보면서 '우리들 자신의 게르니까'를 산출하지 못한 민족의 고통과 수난을 아파한다.
그에게 고야의 '1808년 5월 3일 쁘린시뻬 삐오 언덕의 총살'은 1808년의 살육과 저항이 조국에 생생하게 존재하고 있음을 증거하는 증명사진이며, 사나이 둘이 두려운 표정을 지으며 허둥지둥 어디론가 가고 있는 모습을 그린 외젠 뷔르낭의 '성묘로 달려가는 사도 베드로와 요한'의 모습은 바로 그 자신인 것이다. 그림을 바라보는 시선 하나 하나의 절박함은 너무도 강렬해서, 서점가에 널린 수많은 서양미술기행기들을 '배부른 자들의 유희'로 치부하게 만들 정도다.
저자의 이름은 서경식. 그의 두 형은 서승과 서준식으로 71년 '유학생 간첩사건'에 연루되어 20여년을 복역했으며, 출소후 인권운동에 투신했다. 둘째 형 서준식은 강기훈 유서대필 사건으로 다시 한번 유명해졌으며, 현재 인권운동사랑방 대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