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춘의 발걸음은 언제나 뜨겁다 - 택꼬의 205일간 리얼 아프리카 여행기
김태현 글.사진 / 더난출판사 / 2012년 4월
평점 :
품절



청춘의 발걸음은 언제나 뜨겁다


김태현 / 더난출판




 행복이 무엇인지, 성공이 무엇인지를 정형화 된 무엇인가로 정의할 수 없듯이 인생을 살아가는


데 있어서도 정답은 없다고 생각한다. 


 저자인 김태현분은 자신만의 방식으로 인생을 즐기고 있다. 미지의 장소를 찾아다니며 낯선이


와 만나고 익숙지 않은 경험을 하면서 새로운 감정을 느끼는 것을. 여행이라는 것을 통해.




'인생의 목표는 즐기는 데 있을까. 아니면 살아가는 이유 따위는 애초에 없고


태어났으니까 그냥 살아가는 걸까.


...


인간은 유목 생활을 할 때 진정 자유로운 삶을 누리는 것이 아닐까'




 '청춘의 발걸음은 언제나 뜨겁다'는 남아프리카로부터 시작해서 동아프리카를 거쳐 중동에 이


르기까지 205일에 걸쳐 보고 느끼며 그가 경험한 것들을 알려준다.


 세상 어느나라던지 관광객을 상대로 바가지를 씌우는 것들, 진심을 읽어 내는 것들, 자연속에


서의 여행을 더욱 즐기기 위한 그만의 방법들. 그 속에서 자연에 대한 사람에 대한 그리고 사회


에 대한 그의 감정을 느낄 수 있었다.




'더불어 사는 사회, 지나가는 행인이 목이 마른데


물을 주지 않으면 몹쓸 놈이 되는 그런 사회였다'





 여행에서 얻는 가장 큰 것은 사람이 아닌가 생각한다. 물론 잠시 스쳐가는 인연이기도 하지만


그 짧은 인연속에서 진심을 나누었다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진심으로 어른들에게 존경


심을 가지는 아이들, 자신이 가지고 있던 전통의상 칸주를 전해준 '술리', 자기 집으로 초대해 


악어요리를 해준 '조제파티', 용맹한 전사 '올도욥', 일본의 성인물 감독, 그리고 콧소리가 매력


적이었던 일본아이까지.. 오랜 시간은 아니었지만 그의 마음속에는 영원히 남아 있을 것이다.




 여행 에세이를 읽을 때면 처음 얼마간은 신세계를 보고 온 저자를 동경하며 마냥 부러워 하다


나는 왜 저렇게 살지 못했을까 생각하며 잉여로 보내온 과거를 후회하게 된다. 그리고는 결국


과거야 지난일이니까 그렇다 쳐도 앞으로도 그럴수 없다는 신세를 한탄하면서도 대신 다른것


을 얻었다는 것으로 스스로 위안을 하게 된다.




 앞에서도 잠깐 언급했든 인생을 살아가는데 정답은 없다. 그들은 그들만의 방식으로 나는 나


나름대로의 방식으로 살아가면 되는 것이다. 하지만 젊은 - 젊음의 기준은 없다 - 시절의 비록


경험해보지는 못했지만 새로운 세상을 경험해 보는 것보다 괜찮은 것은 많이 없어 보인다.


 어떤 목적을 가지고서만이 아니라도 그저 새로운 삶을 잠시 살펴보는 의미로라도 여행은 추천


할만한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