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의 죽음과 그 아들 김정은으로의 권력승계. 북한은 과연 어떻게 될 것인가? 붕괴? 생존?

아니.. 북한은 도대체 어떠한 나라인가?

 

북한의 "국가정체성"은 정말 있는가? 정체성, 이데올로기.. 권력의 논리이고 시스템의 논리가 아닐까? 정체성은 권력에 의해 '발명' 된 것은 아닐까.

 

위계사회를 이루는 동물집단의 우두머리에게는 이데올로기가 필요없다. 물리적 완력만 있으면 되니까. 그러나 인간들은 보다 교묘해졌다. 물리적 완력에 정신적 완력을 더한다. 그게 노동대비 효율적인 통제기제고 동원기제일 터이니. 권력의 통치기제는 점점더 "교묘"해진다. 끝이 없다.

 

와다 하루키의 <북조선>의 핵심은 "유격대 국가"이다. 항일빨치산파들의 유격대 이데올로기가 북한 인민들을 통제하고 동원하는 핵심 이데올로기라는 것. 마이어스의 <왜 북한은...>은 북한의 핵심 이데올로기는 "인종적 민족주의"라고 본다. 순수한 조선인민, 어린아이같은 조선인민, 백지같은 조선인민.. 이러한 사고가 끊임없이 주입된다는 것. 따라서 지배권력은 그들의 자애한 어머니로 인식된다는 것. 

 

이에 비해 김성보, 이종석의 <북한의 역사>는 해방이후 현재까지 북한의 역사를 담담히 그려낸다. 특별히 북한은 무엇이다라고 규정내리지 않는다. 외국연구자들과 국내연구자들의 차이일까. 외국인들의 시각에서는 북한이 매우 특별해 보일 수밖에 없을터. 일종의 오리엔탈리즘일지도 모른다.

 

북한을 보며 남한을 생각해 본다. 평양의 거대한 김일성 동상, 개선문, 일사불란한 매스게임.. 이런 걸 보며 우린 전체주의를, 통제를, 규율을 떠올린다. 그만큼 북한권력의 통제기제가 초보적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걸 시사한다. 통제술의 초급단계다.

 

남한은 어떠한가. 권력(시스템)의 통제술은 보다 교묘해졌다. 자유? 우리는 과연 진정한 자유를 향유하고 있는가? 생존하기 위해 스펙에 목매고, 멀쩡한 외모를 뜯어고칠수밖에 없는 우리는 과연 시스템으로부터 자유로운가? 생존하기 위해 영어논문에 목매는 지식분자들은 과연 이 시스템으로부터 자유로운가? 복지라는 미명하에 자신의 신체를 관리당하고 노동기계로 최적화되는 건 또 무엇인가? 

 

북한을 보며 코웃음 치는 우리들은 시스템에 의해 보다 교묘하게 통제당하고 또 동원당하고 있다는 걸 자각하지 못한다. 거대한 매트릭스속의 부속품. 

 

물론 여기서 사고를 멈춘다면 우린 실존의 문제를 놓치게 된다. 먹물들의 철부지 탁상공론에 지나지 않는다. 남한의 교묘해진 통제술을 비판하는 것이 북한의 초보적 통제술이 정당화되는 논리로 이어질 수는 없는 것이다. 따라서 양쪽 모두에 대해 맹렬한 비판을 전개할 수밖에 없다. 결국 우린 다시 근대성으로 돌아올 수밖에 없는 것이다. 스스로에 대한 반성을 깔고 있는 '성찰적' 근대성으로.

 

북한은 과연 어떻게 될 것인가? 한가지는 분명한 것 같다. 그동안의 통제기제는 더이상 효율적이지 않다는 것. 따라서 통제기제가 보다 교묘해질 수밖에 없다는 것. 그리고 인류사에서 시스템의 최고난도 통제기제가 자본주의라는 것. 김정은이 이런 전후를 이해할만큼 영리할까. 에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