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깊은 나무를 열심히 보고 있다. "명"드라마다. 한가지. 드라마속 경복궁 촬영이 나오는데.. 혹여나 궁을 파괴하지나 않을까 하는 노파심이 앞선다. 노파심.   
 

세종.. 애민군주? 그렇다. 어쨌든 백성을 위해 한일이 많았을터이니.  그러나 그가 그런 일들을 한 것을 '애민'이라는 너무 추상적 한 단어로 돌리긴 무언가 부족하다. 역시 권력관계를 읽어야 하지 않을까.  

조선정치는 개국초기부터 고종때까지 끊임없는 왕권과 신권(척신들, 외척들, 사림들)의 싸움판이었다. 주로 신권이 헤게모니를 쥐고 있었다면 간간히 신권을 압도했던 왕이 나타나곤 했다. 그들이 바로 태종이고, 세종이며, 세조였으며, 연산군 이었고, 광해군, 정조.. 그리고 마지막으로 대원군이었다. 

왕이 신권을 억누르는 방법은 여러가지였을터. 태종,세조 등이 칼을 이용했다면 세종이 선택한건 바로 "대중노선"이었다. 헤게모니 신권을 타파하기 위해 백성들을 지지를 확보하려 했던 것. 그것이 바로 훈민정음의 창제 이유가 아니었을까. 일종의 포플리즘이라고 할 수 있다. 세상 어디에나 그런 전략은 사실 드문게 아니다. 1882년 임오군란도 그 뒤엔 대원군의 대중동원이 있었다. 20세기 중국의 마오쩌둥의 대중노선도 그 전형적 예였으리.. 

 

 

 

 

 

 

 

그렇다. 조선!  

우리의 저 더러운 현대사를 제대로 알기 위해서라도 그것에 맞닿아 있는 조선 오백년의 역사를 알아야 한다. 싫어도 그래야 한다. 

<조선의 힘>은 글자 그대로 조선의 힘. 그래도 살맛나는 시절이 아니었겠는가라는 소리다. <망국의 역사>.. 김기협은 조선은 이미 인조반정.. 더 나아가 세조의 왕위찬탈에서 끝났어야 하는 역사로 서술한다.  

누가 옳은가?  

역사에는 정답이 없다(그 어디에 정답이 있겠냐만..) 누가 옳은가라는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결국 "권력"의 문제로 나아간다. 조선이고 나발이고.. 권력은 정당했던가?? 

아무리 생각해도 착한 권력 따윈 없다. 이런 어설픈 생각이 들어서일까. 김연수의 <조선 지식인의 위선>이란 책은 와닿는다. 정말. 저자가 누군진 잘 모르지만.. 고마운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