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마늘빵 > 피디를 지망생이 꼭 읽어야 할 책
-
-
PD가 말하는 PD ㅣ 부키 전문직 리포트 1
장기오 외 지음 / 부키 / 2003년 12월
평점 :
지금으로부터 1년전. 뒤늦은 나이에 제대하고 한참 이제 뭐 하고 살까 하고 후보 직업군을 선정해놓고 순위놀이를 하던 때였다. 난 글쓰기를 좋아해. 그럼 기자를 할까? 흠... 음악도 좋아하는데? 음악이랑 글이랑 짬뽕할 수 있는게 뭐가 있을까? 아하 피디. 라디오 피디. 정말이지 라디오 피디는 매력적이었다. 평소 라디오를 잘 듣진 않는 나지만-요즘은 아예 안듣는다- 라디오 피디는 음악과 글을 좋아하는 나에겐 매력적인 직업후보였다. 그러나 반면 티비 피디는 싫다. 티비 피디는 오락프로그램도 있고, 교양프로그램, 드라마 등 여러가지가 있지만 교양을 제외하고는 그다지 내겐 매력적이지 않았다. 내겐 '끼'는 없으니까.
그렇게. 난 소위 언론고시라고 불리우는 사실상 국가고시는 아닌 그 치열한 경쟁에 대해 조사를 시작했다. 에니아그램 5번인 나는 사전에 치밀하게 정보를 수집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방대한 량의 정보를 축적해놓고 이 직업에 대한 조사가 어느 정도 끝났다. 음. 생각보다 힘들겠군. 상식시험, 국어시험, 영어 토익점수, 면접, 최종면접 등등 관문이 꽤 많았다. 하긴 어느 직업을 하건 이 정도는 기본적으로 다 거친다. 그리고 영어를 제외하고는 모두 내가 공부하기 좋아할만한 것들이었다. 그런데 문제는 라디오피디는 한해에 5명정도 뽑는다는 것. 대개는 설대, 연대, 고대 출신들이 가져간다 한다. 뭐 그들이 실력이 있어서 가져간다면 할 말 없다만. 연줄이 좀 작용하지는 않을까 하는 의심. 괜히 덤벼들었다가 안되면 어카지? 라는 시작하기도 전에 쫄아버리는 소심함으로 결국 다른 쪽으로 눈을 돌렸다. 다른 쪽은 기자, 교사, 학자 등...
이 책은 이 때 한창 조사작업을 할 때 찾아봤던 책이다. 2003년 12월 말에 나왔는데 당시 이 책은 엄청난 인기를 누렸다. 서울 시내 대형서점에 가보면 이 책이 여기저기 전시되어 있었다. 그만큼 피디를 희망하는 이들이 많다는 말이다. 더불어 함께 나온 자매품 <기자가 말하는 기자>도 그만한 인기를 누렸다.
현직에 종사하고 있는 피디들이 직접 쓴 피디에 대한 직업소개, 경험담, 피디가 되기 위한 준비는 어찌해야하는지를 설명하고 있는 책이다. 여러 사람들이 각자의 경험을 토대로 작성하고 그것들을 묶어서 책으로 만든 것이다. 필자들은 다양하다. 예능국 피디도 있고, 시사교양국 피디, 프리랜서, 라디오부장, 만화/영화, 외화, 콘텐츠 등 이들의 이력에서부터 피디도 참 가지가지가 있구나 하는 걸 느끼게 해준다.
피디들은 정신은 자유롭다. 이들은 어디에 구속되거나 정형화된 틀에 맞춰살기 보다는 자유롭게 산다. 그래야 다양하고 새로운 아이디어가 솟구치기 때문이다. 나는 이런 자유로움이 좋았다. 안정된 수입과 자유로운 활동은 피디의 매력이다. 반면 언제 끝날지 모르는 작업, 밖으로 나돌아야하는 드라마 피디, 다큐멘터리 피디 같은 경우는 그것이 피디라는 직업의 단점으로 지적된다. 일과가 정해져있지 않고 들쑥날쑥하니 건강도 나빠질 수 있고, 사람들과 항상 부대껴야하니 술과 함께 한다. 새로운 아이디어를 내야하는 강박관념으로 스트레스를 받아 술과 담배가 늘고 자연 건강악화로 이어진다. 이런게 피디의 단점이라면 단점이다.
이들의 이야기는 각자 경험담에 나와서 솔직하다. 피디를 지망하는 사람들은 피디의 환상에 갇혀있기 쉽다. 이 책을 읽으면 오히려 피디가 하고 싶지 않을 수도 있다. 의욕상실케하는 책이다. 하지만 어떤면에서는 도전의식을 갖게 만들 수도 있다. 이만큼 힘들고 어려우니 도전할만하다는 생각도 가능하다는 말이다.
이 책을 낸 출판사 부키의 기획력을 칭송할만하다. 여러 직업에서 현지에 머무는 사람들의 체험담을 모아 책으로 만들어 직업을 미리 소개하고 간접체험하게 만드는 것이 책의 의도이고 목적이다. 그리고 그 기획은 성공했다. <피디가 말하는 피디> 뿐 아니라 <기자가 말하는 기자> 도 인기를 누렸으니 말이다. 이후로 또 어떤 직업에 대한 책이 나왔는지는 모르겠다. 사람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직업, 하지만 인기있는 직업에 대해 '직업탐구리포트'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매력적이다.
피디를 지망하는 이들이 한번쯤 읽어봐야할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