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쉬쏭 > 동서양 생각의 차이를 어떻게 줄일 것인가?
-
-
생각의 지도 - 동양과 서양, 세상을 바라보는 서로 다른 시선
리처드 니스벳 지음, 최인철 옮김 / 김영사 / 2004년 4월
평점 :
한때 이런 질문들을 이 책을 읽으면서 재삼 떠오르고, 또한 책에서 저자도 거론하는 내용이다.
- 동양인과 서양인은 다르게 생각한다. 왜 그럴까?
- 과거 동양의 발달된 문물과 문화를 가졌으나 현재 왜 서양의 과학문명이 더 득세하고 있을까?
- 동양인이 더 똑똑하다(?)고 하는데 왜 서양인 보다 뒤쳐지고 있을까?
- 동양의 세계최초는 더 많은데 왜 현재의 서양이 과학문명에서 앞서가고 있을까?
- 왜 동양인 보다 서양인이 노벨상 수상자가 더 많을까? 그것도 앞도적으로.
이런 질문들은 숱하게 해 왔던 질문들이다. 상대적으로 못살고, 부강하지 못하고, 열세에 몰린 나라에 살고 있는 동양인의 원천적인 질문 내용일 것이다. 이런 질문에 대한 답변서의 내용으로 이 책이 참고될 수 있지 않을까? 이런 원론적인 질문에 대해 작가는 각종 실험과 설문을 통해 얻어진 현상에 대한 결과와 그를 통해 동양과 서양의 상호 강점을 도입하여 상호 취약점에 대한 보완을 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 책에서 제시하는 현상들에 대해 각종 실험과 설문을 통해 막연히 알려진 사실에 대해 과학적인 근거를 제시하고 있는데, 책의 목차에 나와 있는 내용을 추려보면 동양은 도, 더불어 사는 삶, 전체, 상황론, 동사, 경험 등의 단어들이 나열되고, 서양에 대해서는 반대되는 개념의 단어들이 거론된다. 삼단논법, 홀로 사는 삶, 부분, 본성론, 명사, 논리 등의 단어들이다. 이런 단어들만의 내용을 봐서 동양은 전체 조직에서는 나를 찾고, 그런 상황에 연관되어 오는 삶의 모습을 보여주는 내용이며, 서양은 개인적이고 논리적인 내용으로 보여진다. 이런 내용은 누구든 짐작이나 그럴 것이다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던 내용이나 보다 명확하고, 과학적인 탐구를 통해 밝혀내고 있다는 것이다.
책의 뒷부분에서는 과연 동양의 사고체계와 서양의 사고체계 중에 어떤 것이 더 좋은 것이냐는 의견과 향후 나아갈 방향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절충형으로 서로의 강점을 도입하여 취약한 부분에 대해 보완해 가는 방향으로 접근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런 실례는 우리 주변에서 많이 보아오고 있으며, 기업활동들의 내용을 보면 극명하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해외 화재 등의 뉴스를 통해 서양에서 동양문화를 접목하는 방법에 대한 소개를 통해 단편적인 내용도 접할 수 있다.
이런 동서양의 생각의 방법과 내용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은 나에게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또한 그 활용 방안에 있어 과거 이해되지 못했던 동양사회의 모습과 서양 기업의 진출과 그를 통해 직간접으로 접하게 되는 서양문화는 많은 오해와 사람들의 열등의식을 특히, 동양인에게 심어 왔다고 생각된다. 허나 이런 생각을 과감하게 탈피할 수 있는 근거를 이 책을 통해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과학문명을 바탕으로 물질적인 풍요를 구가하는 서양문화와 이를 통해 동양세계에 힘과 권력을 행사하면서 상대적으로 동양인의 심적 위축을 주었던 과거의 역사를 보면서 동서양의 우월성과 그 속에 살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평가가 간접적으로 행해져 왔고, 그런 생각이 잠재적으로 갖고 있었으나 이 책을 보면서 그런 우열의 내용은 동서양의 문명 발상지의 지형적인 특성과 그로 인한 삶의 패턴의 변화로 서로 다른 방법론을 통해 저자가 얘기하는 동서양의 생각의 방법이 나타났다는 것이다. 따라서 결코 누가 더 우월하다고 할 수 없는 것이며, 상호 특장점이 있는 내용이므로 상호 보완적인 관계로 발전해 가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내용을 보면 서양의 문물이 한국 내에서 좋은 것, 본받아야 할 것으로 강제적인 주입이 아니라 우리의 취약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내용을 찾아서 우리 것으로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이런 내용은 보다 논리적이고 분석적인 내용의 강화와 핵가족화하는 사회환경 속에 혈연, 지연, 학연 등의 연고를 통해 공동체 의식을 키워오는 우리의 사회환경이 점차 변화되고 있다. 이런 내용이 소위 서구화되고 있다고 하는 내용일 것이다. 허나 저자가 얘기하는 내용으로 보면 이런 한국내의 의식의 변화가 결코 서구화의 내용으로 인지되지는 못하리라 생각한다. 따라서 어떤 방법이 좋고 나쁘고를 따지기 보다는 서로의 강점을 통해 생각하는 방법을 다양화하고 그 다양화 할 수 있는 방법론 적인 연구가 더 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