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행복한 인문학 - 세상과 소통하는 희망의 인문학 수업
고영직 외 지음 / 이매진 / 2008년 12월
평점 :
절판
얼마 전부턴가 인문학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인문학 경시풍조로 대학에서는 인문학과가 폐지되는 곳이 많다해서 안타깝게 여기고 있었는데, 퍽 반가운 일입니다. 그것은 사회운동 쪽에서 '희망의 인문학' 이름으로 불리며 시작한, (미국에서 처음 시작한) 노숙자를 위한 인문학강의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5년도에 성공회대 산하 사회복지기관에서 처음 시작했는데, 벌써 전국적으로 30개 강좌가 넘는다고 하니, 놀라운 속도로 퍼졌네요.
이번 생태독서모임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지금까지 서울 관악, 경기도 수원 등지에서 인문학강의에 참가한 선생님들의 체험과 그 수강생들의 글이 함께 실린 <희망의 인문학>을 함께 읽었습니다. 저번 모임부터는 미리 읽어 올수 있도록 도서목록이 미리 정해집니다. 이를 위해, 녹색평론의 서평에 실린 책목록의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이 책은 녹색평론 5~6월호에 실렸습니다.
노숙자들에게 돈이나 일자리를 주는 대신, 인간의 존엄성과 숭고한 정신을 배울 수 있는 인문학을 가르친다는 발상은 좀더 인간을 고려한 복지적 접근이라고 보여집니다. 거리로 내몰린 사람들이 받은 상처와 사회적 냉대는 본래의 인간이 가진 존엄성을 천천히 회복해 갈 때 자신을 일으켜세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인문학같이 예술교육이 최근들어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퍼져나가는 것도 비슷한 현상으로 보입니다. 가난한 사람들이 인문학과 예술을 통해 자신에게 숨겨놓았던 잠재력을 발견하거나, 자신과 세상을 되돌아보게 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일입니다. 무엇보다, 물질적으로 가난하더라도, 삶을 지탱하는 정신과 영혼의 줄을 놓친다면, 영영 다시 일어설 가망성이 없기 때문에 인문학강의가 희망의 강의가 됩니다. 문학을 통해서는 역경을 헤쳐간 사람들의 정신을 본받을 수 있습니다. 예술을 통해서는 보이지 않는 아름다움의 세계에 눈을 뜰 수 있습니다.
그러나 책을 읽으면서 좀 아쉬운 대목들이 있었습니다. 강의하러 오신 선생님들이 그들에게 쉽게 변화를 기대하는 부분은 솔직히 불편했습니다. 인문학강의를 몇개월 들었다고 해서 당장 사람이 바뀌길 기대하는 것은 노숙자를 보통사람과 달리 특별히 구분하려하기 때문이 아닐까싶어서입니다. 마치 우울증을 가진 사람들이 온갖 상담을 받아도, 쉽게 치료되지 않는 것처럼 노숙자들이라고 해서 다를까요.
또, 가난한 사람, 노숙자들을 위한 인문학강의에 대한 바람이 있습니다. 인문학강의는 그들이 다시 서는데 필요한 하나의 방법이지, 해법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는 수강생들이 강의를 듣고 나서 어떻게 자신의 일상이 달라졌는지가 궁금합니다. 수업시간에는 문학을 듣고 예술을 논할 수 있더라도, 곧 일상으로 돌아오면 주변의 생활문화때문에 그녀는 시를 읊을 시간적, 내면적 여유를 갖기 힘듭니다.
'돈, 돈하는 세상'에서 생애 처음으로 느낀 감동과 여운이 얼마나 지속될 수 있을까요? 그래서 인문학강의가 잠시 누린 사치로 끝나버린다면 너무 아쉬워서입니다. 저는 그 후편으로 공사장에서든, 김밥집에서 일하든, 자신의 일기를 쓰기 시작했거나, 그림을 보러가는 취미를 하나 가지게 되었다는 대목을 발견하길 원합니다.
어제 독서모임에서 이 부분이 지적됐습니다. 아펙스님도 노숙자들을 위한 후속프로그램이나 인문학에서 관심을 발견한 사람들은 그에 적합한 일자리가 만들어지거나 자신들이 스스로 만들수 있었으면 좋겠다는데 공감했습니다. 책에서는, 영국에서 노숙자들이 판매하는 <빅 이슈>를 소개사례로 언급하고 있습니다. 한국판 <빅 이슈>도 준비중이라고 들었습니다.
자연히, 우리들의 이야기는 자립할 수 있는 일자리로 이어졌습니다. (마침, 다음 번 모임은 요즘 트랜드인 <사회적 기업>을 다룬 책 <달라지는 세계>입니다). 가난한 사람들도 스스로 일자리를 만들 수 있고, 뜻있는 시민들이 회사의 주인이 되는, 말 그대로 사회가 주인인 기업에서 가난한 사람들도 희망을 실현할 수 있는 길이 많이 열렸으면 좋겠습니다.
여기까지 닿으니, 인문학이 가난한 사람들에게 소위 '마인드 계발서'였다면, 사회적 기업은 가난한 사람들의 경제실천서쯤으로 돼 보이네요. 다음 모임에서 다룰 <달라지는 세계> (데이비드 본스타인, 지식공작소)목차를 보니, 외국 사회적 기업사례와 지침을 묶었던데, 벌써 궁금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