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의 그림자 그림자의 바다 십이국기 1
오노 후유미 지음, 추지나 옮김 / 엘릭시르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천명으로 주상을 맞이합니다.

어전에서 떠나지 않고, 소명을 거스르지 않으며, 충성을 맹세할 것을 서약드립니다.]

 

 

 

오래된 글이 시간이 지나도 잊혀지지 않고 새로이 출간된다는 건 왠지 설렌다.

오노 후유미의 [십이국기]도 10년만에 새롭게 출간되었다. 마침 딱 오늘이 발매일.

십이국기를 기다려오신 분들, 예약은 모두 하셨는지? 나도 선물용으로 예약해뒀다.

 

[십이국기]를 비롯해 [고스트헌트], [시귀]등 오노 후유미 원작의 미디어믹스는 많이 접해봤지만

글은 이제서야 처음으로 읽어 보았다. 여튼 (원작을 읽지는 않았지만) 친숙한 그녀의 작품 중에서도

[십이국기]는 조금 특별한데, 어릴적 한창 판타지 소설에 빠져있던 시절을 떠올리게 하기 때문이다. 

당시 나는 [십이국기]를 직접 읽지는 않았지만 [마성의 아이]의 표지가 워낙 강렬했어서 기억에 남았다.

 난 무슨 괴담 모음집인줄 알았다..

 

그 책이 판타지 소설이었다는건 나중에 애니메이션이 나오고나서야 알았는데,

사실 그 당시도 [십이국기]자체보다도 애니메이션의 OST에만 푹 빠져 있었다.

 

얼추 기억하고 있는 [십이국기]의 내용은 주인공인 소녀, 요코가 엄청나게 고생을 했다는 것 뿐인데,

제대로 읽어보니 정말 보고 있기 안타까울 정도로 고생을 한다.. 내가 기억하고 있던 것 이상으로.

 

[십이국기]의 줄거리를 간단히 설명하자면 학교에서 집에서도 주위에 맞춰 살아가던  여고생 유코가

갑작스레 학교에 나타난 게이키와 서약을 맺게 되고, 마물에 쫓겨 이세계로 가서 고생하는 내용이다.

이게 어느정도냐면 앞서 말한 것처럼 정말 요코가 너무 불쌍해서, 내가 아는 영문도 모른체 고생을

제일 많이 한 여자주인공이라 생각된다. 결과적으로 어찌됐던 간에 이만큼 고생한 여자주인공도 드물지 않을까.

 

읽으면서 영문도 모른체 고생하던 요코처럼 나 또한 왜 요코에게 이런 일이 일어났는지 모르므로

조금 답답한 마음에 사실 중반까지 막힘없이 읽기는 했지만 딱히 크게 재미를 느끼지는 못했었다.

그렇지만 사람을 믿었기에 상처를 받고, 변해가는 요코의 모습은 정말 안타까웠다.

요코의 경우 좀 극단적인 상황이긴했지만 실제 사람사는 모습과 크게 다르지않다는 생각도 조금 하고.

 

하지만 라쿠슌을 만나 조금씩 다시 마음을 여는 요코의 모습과 푸른 원숭이의 정체가 드러나면서부터

점점 빠져들며 읽었던 것 같다. 특히 요코가 마물에게 습격을 받았던 이유와 각왕의 본심이 나오면서

모든 것이 밝혀지니 여러가지로 납득이 갔다. 이를 위한 전반이 좀 길었던 느낌도 들긴 드는데

[십이국기]의 세계관 자체가 워낙 방대해서 그걸 조금씩 드러내느라 그럤던 건가 싶기도 하다.

 

그런 의미에서 [달의 그림자 그림자의 바다]는 십이국기의 세계관과 매력을 조금씩 드러내는 권이 아니였을까 싶다.

이야기의 서막이란 느낌?

실제로 마지막까지 다 읽고서 뭔가 조금 부족한 느낌? 막 재미있어 지려는데 딱 끝난 느낌이라 부랴부랴 검색해보니

아니나 다를까 실제로 대서사시였다.. 이 부분은 앞으로 엘릭시르에서 전 시리즈를 출판할 예정이라하니 기대해보자.

나도 얼른 다음 이야기가 읽고 싶다. 지금은 뭔가 밑간만 본 느낌이다.

 

[달의 그림자 그림자의 바다]에 대해 좀더 이야기해 본 다면, 이 한 권자체로는 사실 조금 부족한 느낌이 든다.

[십이국기]의 매력이라면 독특하고 세밀한 설정의 세계관과 다양한 캐릭터를 꼽는 경우가 많은데, 나 또한

기린과 왕의 관계가 매우 흥미로웠다. 하지만 이 권에서는 그에 대해 깊게 안들어간 느낌이고 요코의 고생이

너무 길고 컸는지 그게 더 생각이 난다. 그리고 다 읽고나니 정말 읽을때도 생각했지만 게이키가 너무한

느낌이 들어, 사실 나는 [달의 그림자 그림자의 바다]에서 교의 각왕이 제일 인상깊었고 또한 안타까웠다.

각왕이 나왔던 그 잠깐의 장면과 그 장면을 보고 공감하고 고민하던 요코의 모습이 제일 인상에 남는다.

라쿠슌이나 안왕, 엔키등 매력적인 캐릭터도 나오긴 했지만 짧다!

이런 아쉬움은 얼른 다음 이야기를 읽어야만 해소될 것 같다.

 

마지막으로 내가 읽은 이책은 사전 서평단용 가제본으로 정식 출간본보다는 완성도가 떨어지는 책이다.

그렇다고 읽는데 문제가 있다거나 하는건 아니고, 표지나 일러스트수록에 차이가 있는 정도.

그리고 문체나 명칭의 번역 부분에서 생길 수 있는 우려는 고유명사는 일본어 왜래어 표기법과

한자음 표기법을 적절히 구별해서 사용하고, 작가인 오노 후유키에게 확인을 받았다고 한다.

 

나야 애니메이션을 본지도 워낙 오래됬고 OST에 더 빠졌던지라 잘 모르고 읽어서 괜찮았지만

찾아보니 인물명등 일본 발음과 명칭의 차이가 소소하게 있던데 원작을 좋아하고 원작에 익숙한

고전 팬?들에게는 조금 갭이 느껴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ex. 케이키→게이키 / 라크슌→라쿠슌)

이런 부분은 작가게에 확인을 받았다는거 보면 아마 정식 출간본에서도 수정되진 않을 듯 싶다.


그리고 애니메이션 OP에서 십이국의 전체 모습을 보여주는데 이처럼 정식 출간본에는 지도도 함께 수록되면 좋을 것 같다.

읽는데 무리는 없었느나 가끔 좀 이해가 잘 안가는 단어나 상황이 가끔 있었다.


 


정식 출간본과 비교해가며 읽는 것도 재미있을 듯.

새로이 디자인된 표지에는 조금 의견이 분분한 것 같지만 그래도 내지 일러스트까지 무사히 수록된다고 하니 기대해본다.

수려한 일러스트와 100%의 완성도의 정식 출간본으로 또 만나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