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들은 왜 장지갑을 쓸까 - 돈이 굴러들어오는 지갑 사용 설명서
카메다 준이치로 지음, 박현미 옮김 / 21세기북스 / 2011년 12월
평점 :
품절


나는 돈이 접히는 것도 싫고 깔끔히 정리할 수 있어 장지갑을 선호하는 편이라 제목에 끌렸다.

그래서 기대를 하고 책을 읽었는데 막상 읽어보니 [부자들은 장지갑을 쓴다 = 부자가 되기 위해선 장지갑을 써야한다]는 주장에 대한 논리적인 근거는 없었다.

띠지에 적힌 [연봉 200배의 법칙]은 지갑의 구입가격 x200을 하면 지갑 주인의 연봉이 나타난다는 것인데

돈을 벌기이전에 부자라면 지갑을 대개 보통은 비싼 지갑을 쓰지 않을까?

그리고 이 주장대로라면 욕심을 내서 자기 분수에 맞지 않는 지갑을 살 수 도 있는데 이 경우 지갑을 구입하기까지는 상당한 각오가 필요하지만

그 지갑으로 인해 연봉 200배의 법칙에 맞는 의지가 생겨나고 그에 맞는 행동을 하게 될것이라는 것이 저자의 주장.

이처럼 저자의 주장은 논리적이라기보단 주관적이고 감정적이다.

하지만 나중에 저자가 말하듯, 장지갑이든 접이식 지갑이든 결국 같은 지갑이지만 지갑에 의식을 향하고

희망을 안는 순간 아무것도 아닌 작은 물건이 인생을 바꿔줄 원동력이 될 수 있다는 말에는 크게 공감이 갔다.

결국 부자가 되기위해 중요한건 내가 의식하고 스스로 행동하는 것이다. (물론 이런다고 다 잘 풀리진 않겠지만.)

 

 

읽다보면 저자의 (지갑을 비롯해) 고가의 좋은 물건을 사용하자는 성향을 느낄 수 있는데

난 적당한 가격대에서 좋은 물건을 쓰자는 주의라 처음엔 조금 거부감이 들었지만 생각해볼수록 일리가 있는 것 같다.

어느정도 가격대가 있다는 것은 제품의 질 또한 어느정도 보장이 될 것이며 나 또한 소중히 여길 것이므로 정말 원하는 물건에는 돈을 아끼지 말것.

그 예로 되도록 값싼 물건을 사야 돈이 남을거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쉽게 쓰고 쉽게 버려지고, 돈이 남기는 커녕

물건만 차고 넘치는 사태가 일어나는 것이다. 돈이 있는 사람보다 없는 사람의 집에 오히려 물건이 넘쳐난다는 말에 완전 고개 끄덕여 가며 읽었다.

싼 물건이면 보통 내구성도 떨어지고 '또 사면 되겠지'하고 소중히 여기며 쓰진 않을테니 말이다.

 

 

장지갑의 얘기는 초반에만 나오고 지갑의 관리법에서부터 지출과 소비에 대한 조언을 해주는데 이 조언들이 꽤 도움이 되는 것들이다.

 

 

지갑 원데이 클리어링 - 하루를 마무리 하기전 매일 지갑 정리하기.

포인트카드는 카드의 혜택에 연연하다보면 불필요한 지출을 만들 수 있으니 주의하기.

'싼 것'이 아닌 '필요한 것'을 사기(할인/한정/세일 이 세단어에 매우 약한 나에게 딱인 조언).

500엔 저금통을 따로 만들어 그 저금통에 모인 돈은 사고싶은거나 하고싶은 일에 쓰기(저금통에 넣으면 그 돈은 없는 셈치기).

지출은 기본적으로 자기 힘으로 컨트롤 할 수 있다 - 수입이 아니라 지출을 컨트롤하기.

월급은 한달에 2번 나누어 인출하되 정해진 금액안에서만 사용하기.

돈이 없을때 일수록 관리는 철저히!

 

 

돈이란게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쉽게쉽게 써버리는 것이니만큼 책에서 얻은 조언에 따라 잘 관리해야겠다.

장지갑이 어쨌다고? 하는 것보다는 지갑관리와 돈 관리에 대한 조언을 얻는 책으로 보면 좋을 것 같다.

 

 

마지막으로 돈과는 관계없지만 인상 깊었던 문장.

매일 품을 희망은 이 정도의 크기가 적당합니다. 남한테 반은 농담처럼 말해도 마음속으로는 진심으로 그것을 믿을 수 있고,

그것을 향해서 행동할 수 있을 정도. 그 정도의 희망이 딱 좋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