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뜻함을 드세요
오가와 이토 지음, 권남희 옮김 / 북폴리오 / 2012년 8월
평점 :
절판


 

 



 

잘 읽었습니다, 가 아닌 잘 먹었습니다-가 어울릴 것 같은 작가, 오가와 이토의 단편집이 나왔다.

달팽이 식당을 매우 감명 깊게 읽은지라 그녀의 다음 책이 나왔다는 소식이 너무나도 반가웠다.

<따뜻함을 드세요>는 7가지의 맛있는 이야기로 다양한 요리와 더불어 다양한 인물들의 이야기가 담겨져 있다.

그녀의 소설은 요리 소설이기때문에 인물관의 관계나 이야기보다 요리가 주가 되어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고로 가끔 말도 안 되는 이야기들이 나오기도. 특히나 <폴크의 만찬>에서는 그런 그녀만의 독특한 세계관을 엿볼 수 있었다.

<따뜻함을 드세요> 역시, 요리에 대한 묘사가 굉장히 맛깔나는데, 요리사의 입장이 아니라 먹는 인물에 맞춰 묘사가 된다는 점에서

<달팽이 식당>과는 또 다른 매력이 느껴진다. 요리자체보다는 요리를 먹는 장면, 장소, 상황을 맛깔나게 그려낸다고나 할까?

그런데 일본 전통요리가 많이 나와서 그런지 모르는 요리가 많았다.

 

짧은 단편에 요리에 초점이 맞추어져 가벼운 듯하지만 사실 일곱자기 이야기 모두에 전부 죽음, 이별, 혹은 삶에 대한 이야기가 담겨져있다.

자칫하면 어둡고 무거워질 이야기를 요리로써 따뜻하고 부드럽게 만들어 버린다.

요리 소설로서 요리에 대한 묘사자체가 뛰어나가기보다는 그 장면 장면의 분위기를 잘 표현해내는 것. 이게 바로 오가와 이토의 매력이 아닐까?

각기 단편들이 짧은 편이라 그런지 <달팽이 식당>때처럼 확하고 와 닿는건 없지만 <때 아닌 계절의 기리탄포>는 읽으면서도, 읽고 나서도 여운이 많이 남았다.

사랑하는 사람을 떠나보낸, 겨진 사람들이 추억을 떠올리며 요리를 해 나가는 과정에서 서로 보듬어 나가는 장면이 뭉클했다.

다른 어떤 이야기보다 <때 아닌 계졀의 기리탄포>에서 오가와 이토가 말하고자 한 바를 느낄 수 있었다.

맛있는 음식은 그 어떤 것보다도 위로가 된다. 추억을 만들고, 회상하고, 힘들지만 맛있는 것을 먹으면 기운을 낼 수 있어.

사람은 요리로 치유될 수 있다.

<안녕 송이버섯>과 <코짱의 된장국>의 이야기도 좋았다.

 

여담으로 오가와 이토의 책은 유난히 귀엽게 나오는 것 같다. <따뜻함을 드세요>는 목차는 물론, 삽화까지 풀 컬러라 또 다른 책읽는 재미가 있다.

때아닌 계졀의 기리탄포는 의외로 씁쓸하고 맛이 없었다.

이 맛을 잊는 일은 결코 없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