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잘못은 우리별에 있어
존 그린 / 북폴리오 / 2012년 8월
평점 :
판매중지




헤이즐은 말기암 환자로 이른바 '죽음의 부작용' 탓인지 또래에 비해 냉소적이지만 재치를 잃지않는 소녀다.

매번 참여하던 암환우 모임에서 만나게된 헤이즐과 어거스터스는 서로에게 끌리게된다.

둘의 사이는 점점 더 가까워져가고 헤이즐은 어거스터스에게 자신에게 가장 좋아하는 <장엄한 고뇌>를 빌려준다.

<장엄한 고뇌>는 헤이즐처럼 암에 걸린 소녀의 이야기로 소녀의 죽음에 의해 갑작스레 '그런'이란 문장 하나로 끝을 맺는다.

갑작스런 결말에 남겨진 인물들의 이야기를 궁금해하는 헤이즐을 위해 어거스터스는 작가 피터 반 호텐에게 메일을 보내고,

두사람은 피터 반 호텐의 초대를 받아 암스테르담으로 떠나게 된다.



정말 읽고 싶었고, 그만큼 기대했던 책. 사실 조금 기대하고 생각해봤던 내용과는 달랐다.

나는 이 책을 읽게되면 많이 공감도 하고 펑펑 울게될 줄 알았는데 울지 않았다.

대신 마지막 장 마지막 문구를 읽었을때 왠지 먹먹한 기분이 들었다. 확하고 오는 격정적인 감동이 아니라 깊이 남는 여운같은?


나는 죽음에 대해서 유달리 많은 두려움을 갖고 있다. 사람은 왜 죽는가.

내가 죽는다면 어떻게 되는걸까? 모든게 끝나는 걸까? 이런 생각이 들때면 갑작스레 심장이 조여오는 듯한 두려움이 느껴진다.

단순히 나이를 먹고 죽는것도 이리도 무서운데, '암'이라는 병에 의해 남들보다 2,3배는 일찍 죽음이 찾아오게 된다면 얼마나 무서울까.


이 책의 주인공인 헤이즐은 말기암 환자로 늘 죽음을 곁에 느끼며 살아간다. 또 다른 주인공 어거스터스 또한 마찬가지이고,

암에 걸리지 않은 그들의 가족들 또한 그러할 것이다.

때문에 나는 이 책이 죽음과 삶에 대해 무거울 수 도 있지만 진솔하게 묘사되어 있을거라 생각했었다.

초반부터 어거스터스와 헤이즐의 만남, 둘이 사랑에 빠지게 되기까지의 진행이 너무 빨라 로맨스가 주가 되는 게 아닌가 하는 우려가 들었다.

하지만 중반부터 점점 예상못한 전개가 이어지고, 특히 결말이 생각도 못했던지라 방향으로 끝이 났다.


이 책에는 앞서 말한 것처럼 암환자들이 많이 나온다.

하지만 암 자체에 대해서는 깊게 이야기 하지 않는다. 그들에게는 이것이 일상이기 때문이다.

그들에겐 헤이즐에 표현에 의하면 이른바 '죽음의 부작용'으로 인한 문제점이 있긴 하지만 똑같이 사랑을 하고 살아간다.

그러나 그들은 아직 10대이기에 순수하면서 죽음을 곁에 두었기에 더욱 진솔한 사랑을 해 나간다.

그리고 '암'이라는 부작용에 지지않고 마지막까지 열심히 살려고 한다.

남겨질 사람과 떠나야할 사람. 암환자와 암환자의 가족, 연인등 암이란 존재를 둘러싸고 형성된 인간관계를 현질적으로 보여주는데, 그런 점에서 헤이즐의 가족은 가장 이상적인 가족이 아닐까?


조금 아이러니하게도 헤이즐이 동경하던 <장엄한 고뇌>의 피터 반 호텐의 이야기가 더욱 그런 면을 보여 주는것 같다.

이책은 앞서 말한 것 처럼 내가 기대해왔던 과는 달랐다.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더욱 내 기억에 남을 것 같다.

추천사중 하나인 '이 책을 읽느라 들인 무한대의 시간에 감사하게 될것이다.' 마지막까지 읽었을때야 이 말이 정말 공감됬다.


죽음에 대해 생각해보지않는다면 삶에 대해 생각해보지 않아. 라는 글을 본적이 있다.

이 말처럼 헤이즐과 어거스터스는 죽음을 늘 옆에 두고 다녔기 때문에 서로에게 더욱 끌리고 진실하게 사랑할 수 있었던 게 아닐까.


"위험성이 좀 있긴 하겠죠."

선생님도 인정했지만 곧 내쪽으로 고개를 돌리고 덧붙였다.

"하지만 이건 네 인생이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