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계단 - 제47회 에도가와 란포상 수상작 밀리언셀러 클럽 29
다카노 가즈아키 지음 / 황금가지 / 200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style="WIDTH: 405px; DISPLAY: block; HEIGHT: 122px" id=__se_object_db132746967059364377 class=__se_object noResize src="http://api.se2.naver.com/1/Template.nhn?title=13%EA%B3%84%EB%8B%A8&author=%EB%8B%A4%EC%B9%B4%EB%85%B8%20%EA%B0%80%EC%A6%88%EC%95%84%ED%82%A4&publish=%ED%99%A9%EA%B8%88%EA%B0%80%EC%A7%80&date=2005.12.24&id=8982738657%209788982738654&thumb=http%3A%2F%2Fbookthumb.phinf.naver.net%2Fcover%2F020%2F813%2F02081353.jpg%3Ftype%3Dw150&url=http%3A%2F%2Fbook.naver.com%2Fbookdb%2Fbook_detail.php%3Fbid%3D2081353&review=http%3A%2F%2Fbook.naver.com%2Fbookdb%2Freview.nhn%3Fbid%3D2081353&code=2081353&mode=book&type=1&rating=9" frameBorder=0 scrolling=no s_type="db" s_subtype="book" jsonvalue="%7B%22author%22%3A%22%EB%8B%A4%EC%B9%B4%EB%85%B8%20%EA%B0%80%EC%A6%88%EC%95%84%ED%82%A4%22%2C%22code%22%3A%222081353%22%2C%22date%22%3A%222005.12.24%22%2C%22id%22%3A%228982738657%209788982738654%22%2C%22mode%22%3A%22book%22%2C%22publish%22%3A%22%ED%99%A9%EA%B8%88%EA%B0%80%EC%A7%80%22%2C%22rating%22%3A9%2C%22review%22%3A%22http%3A%2F%2Fbook.naver.com%2Fbookdb%2Freview.nhn%3Fbid%3D2081353%22%2C%22thumb%22%3A%22http%3A%2F%2Fbookthumb.phinf.naver.net%2Fcover%2F020%2F813%2F02081353.jpg%3Ftype%3Dw150%22%2C%22title%22%3A%2213%EA%B3%84%EB%8B%A8%22%2C%22type%22%3A1%2C%22url%22%3A%22http%3A%2F%2Fbook.naver.com%2Fbookdb%2Fbook_detail.php%3Fbid%3D2081353%22%7D"> 

 

"이 나라에서는 흉악 범죄의 피해자가 된 순간, 사회 전체가 가해자로 돌변합니다.

그리고 아무리 피해자를 괴롭힌들 사죄하는 사람도 없고, 챔임지는 사람도 없어요."

 

 

단순히 사형제도의 구조적 모순을 비판할 뿐아니라 인간이 인간을 벌하는 정의란 정녕 옳은 것인지,

그리고 범죄를 일으키고 난 후의 가해자의 심리, 살아 남은 유족들의 심정, 자신의 이익을 위해 한

사람의 목숨을 쥐었다 놓다 하는 정치인 등.

현실에 실존하는 다양한 인물상을 보여주어 여러가지를 생각하게 만든다.

 

진범의 정체는 주어진 실마리로 금방 알아낼 수 있었지만 의뢰인의 정체는 의외였다.

사실 의뢰인의 정체나 흉기를 숨겨뒀던 장소가 사라진 이유라던가 하는 것들은 '이럴 수 도 있는건가'

싶긴했지만 전체적으로 매끄럽게 읽혀졌다.

 

추리소설로서 흥미진진하기도 했지만 각자 입장에 처한 심리표현이 기억에 남는다.

형벌이란 이름하에 범죄자들을 사형시켜왔지만 범죄자의 갱상과 피해자가 원치 않는 사형을 법때문에

시킬 수 밖에 없는 아이러니한 상황에 고뇌하는 난고.

의도치 않은 상황으로 억울하게 사람을 죽이게 된 준이치. 자신이 누군가의 목숨을 빼았았음을 새삼

다시 느끼고 피해자의 가족들에게는 죄책감이 들지만 그렇지 않았다면 자신이 죽었다. 잘못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 아니 할 수 없는 준이치. 역설적인 입장에 놓인 두사람의 고뇌가 생생하게 전해져 온다.

그리고 이 두사람의 입장, 조합이 쉽게 볼 수 없는 묘한 매력을 주는 것 같다.

 

중심인물이면서도 동시에 제 3자의 입장인 사카키바라 료의 마지막 모습은 괜시리 찡했다.

하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강하게 와닿은 것은 피해자의 아내, 요시에의 말이었다.

후에 갱생하고자 하는 가해자의 모습들도 슬쩍 잘 나와있긴 하지만 그 이전에 피해자를 보듬어 주고자

하는것이 우리가 가장 먼저 해야할 행동이 아닐까.

 

나도 굳이 나누자면 사형제도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편이지만 사실 사형제도가 있고없고를 떠나

무슨 기준으로 사형을 행할 것인지가 가장 중요하면서 어려운 것 같다.

죄수에게 갱생의 여지가 있을 수 있지만 그것이 진실인지 거짓인지 어떻게 판단할 것 인가?

160번같은 사례가 실제로 일어난다면? 아니, 이미 일어났을지도 모른다.

애초에 인간이 같은 인간을 규제하려 한다면, 어떠한 잣대로 규제하려 하는가.

사형제도가 필요한 사건사고들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되겠지만, 이는 아마 불가능할 것 같다.

 

 

추리소설로서도 매력적이고 현실 비판, 사람의 생명의 무게, 그리고 여러가지 인간관계, 입장등을 읽고

느낄 수 있었던 소설. 걱정했던 것처럼 무시무시하지만은 않았으니 추리 소설을 좋아하는 사람들이라면

읽는 재미가 있을 것 같다. 마지막도 여운이 크고 다 읽고나서 '뭐, 괜찮았어' 한 소설.

 

 

"나나 너나 종신형이다.

 가석방은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