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화의 거짓말 - 명화로 읽는 매혹의 그리스 신화 명화의 거짓말
나카노 교코 지음, 이연식 옮김 / 북폴리오 / 2011년 12월
평점 :
품절


 

 

 

[명화의 거짓말]은 우리에게 친숙한 그리스 신화를 소재로 그려진 명화들의 숨겨진 뒷이야기들을 알려준다.

서론으로 그리스신들에 대한 간단한 소개가 나와있고, 신들별로 파트를 나누어 각 신들의 특성에 맞추어 그림에 대해 이야기한다.

 

 

오랫만에 읽어보는 미술 서적으로 한때 책이라고는 미술 작품 해설책들만 읽었던 기억이 새록새록 떠오른다.

[무서운 그림]으로 유명한 저자 나카노 쿄코의 글인데, 나는 [명화의 거짓말]을 더 재미있게 읽었다.

[무서운 그림]의 경우 저자의 주관이 너무 강하게 느껴져 동감이 잘 가지 않았었는데 [명화의 거짓말]은 몇가지 이야기는 동감안가는

부분이 있긴 했지만 전체적으로 수긍할 수 있었고 읽는 내내 흥미 진진했다.

단순히 명화가 그려진 시대의 배경, 작가의 상황 이런 딱딱한 설명이 아니라 그림에 맞추어 신화를 풀어나간다는 것

(실제로는 반대겠지만)이 재미있었다.

 

제목처럼 모든 명화들이 거짓말을 하는지는 모르겠지만 보이는 것 이상으로 숨겨진 것이 있다는 것이 흥미롭다.

 

조금 다른 이야기를 하자면작가의 말중에 재미있으면서도 아이러니 했던 것이 '과연 그리스 신화가 필독서여도 괜찮은것인가?'

하는 것.  요즈음은 어떤지 모르겠지만 내가 초,중학교를 다닐때만 해도 그리스신화는 필독서로서 한국설화는 잘 몰라도 그리스신화에

대해서는 얼추라도 모르는 아이가 없을 정도였다. 그만큼 교양 필독서였는데 요번에 이 책을 읽으면서 그리스 신화의 남성우월주의,

성을 가리지않고 색을 밝히는 제우스, 변덕이 심하고 인간에게 화풀이 하는 신들, 근친상간에 시대적 특성의 잔인함..등

정말 아이들이 읽고 뭔가를 배우기에는 잔인하고 문제있지 않은가? 싶었다.

어렸을적 읽을때도 느꼈지만 커서 나만이 이렇게 생각한게 아니라는 사실에 괜시리 반갑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웃기기도 하고..

설화처럼 교훈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인걸까?

그런데 사실 그리스신화에서는 교훈을 얻을 수 있을 만한이야기가 그렇게 많은가 하면 그건 잘 모르겠다.

 

 

 

책을 읽으면서 가장 인상 깊었던 것은 옛 사람들에게 그림이란 상상력을 펼치는 존재였다는 점이다.

단순히 보고 감상하고 거기에 그치는 것이 아닌 그림의 인물 하나하나의 이야기를 상상하여 머릿속에 그려갔다는 것.

그래서 명화로서 남은 그림들은 그만큼 강한 존재감을 지니고 있는것이 아닐까.

 

 

 

 

한두점을 제외하고는 다 본 적 있는 그림이었는데 못 봤던 그림중 하나가 요 작품,

카미유 코로의 [저승에서 에우리디케를 데려오는 오르페우스].

지금 봐도 명화로 남는 명화들은 다 이유가 있는 것 같다. 기존의 명화하면 떠오르는 강렬하고 화려한 유화색채들과는 다르지만

투명한듯 하면서 몽환적인 전체적인 톤이나 분위기가 정말 마음에 드는 그림이다.

'안개의 화가'라 불릴만 하다.

 

각 작품의 이야기중 기억에 남는 것은 표지이기도 한 장 레올 제롬의 [피그말리온과 갈라테아]와 니콜라 푸생의 [인생의 춤].

전자는 아름다운 그림의 분위기와 다른 화가의 '의도'때문에, 후자는 화가가 그림을 그린 의도가 신선하고 재미있었다.

 

 

책자체가 많이 두껍지도 않고 각 명화에 대한 이야기도 짧은 편이라 읽기에 부담이 없고,

그림에 대해 여러가지 생각해볼 수 있어서 흥미진진하다.

딱딱하고 설명서 같은 미술 서적에 질린 사람들이라면 특히나 즐겁게 읽을 수 있을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