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입의 즐거움 - 개정판 매스터마인즈 1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지음, 이희재 옮김 / 해냄 / 200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는 살아가면서 여러 가지 일들을 하고 있지만 짜증나고 따분해 하는 일을 한다는 것은 정말이지 하기 싫다. 하지만 대부분의 일들은 정말로 하고 싶어서 하는 일이 아니다. 이것이 바로 문제점이다. 나 또한 대부분의 일들을 즐거워서 하는 것이 아니라 마지못해 하고 있다. 그래서 항상 나의 할 일은 이것이 아니라 다른 곳에 있는 일일지도 몰라 하고 생각한다.

몰입은 삶이 고조되는 순간에 물 흐르듯 행동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느낌을 표현하는 말이라고 저자는 말하고 있다. 어떤 일을 할 때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집중하는 상태를 말하는 듯 하다.

이 책에서는 일에 대한 여러 가지 몰입의 상황과 누가 몰입을 잘 하게 되는가를 설명해 놓았다. 일에서 뿐만이 아니라 여가시간에서도 몰입의 상황은 발생한다고 한다. 수동적인 TV시청과 같은 여가에서는 몰입은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실험을 통한 결과로 보여주고 있다.

우리는 왜 몰입을 경험해야 하고 몰입의 상황에서 하는 일과 그렇지 않은 상황에서의 일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보여주고 있다. 즉 몰입을 경험하기 위해서는 자기 목적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외부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려는 의도보다는 일 자체가 좋아서 하는 사람이 자기목적성을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여러 가지 자기 개발을 위한 책들과는 다르게 우리가 듣고 싶은 말들을 하는 것이 아니라 실험과 자료를 가지고 심리학적으로 우리에게 접근하고 있다. 나는 이 책을 거의 한 달이 다 되어서 읽었다. 시간이 남아서 TV도 보고 잠자기도 하고 그리고 난 후에도 정 할 일이 없을 때였는데, 이 책을 다 읽고 난 후에는 여가에서도 몰입을 경험하고 그러한 가운데에서 점차 자기를 발전시켜 나갈 수 있으리라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정말로 해야 할 일을 하는 것에서는 말할 필요도 없지만.

또한 하기 싫고 짜증나는 일이라도 이제는 해 낼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도 가지게 되었다.

'살다 보면 해야 할 일과 해서는 안 될 일이 많이 있다. 회의에 참석하는 일, 쓰레기를 버리는 일, 공과금을 내는 일, 아무리 면해 보려고 잔머리를 굴려도 피치 못하게 해야 하는 일이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선택을 해야 한다. 툴툴거리며 마지못해서 할 것인가 아니면 즐거운 마음으로 해치울 것인가. 둘 다 의무감에서 비롯된 행동이지만 후자가 더 긍정적인 경험을 낳는다. 청소처럼 누구나 하기 싫어하는 일도 가장 빠르고 효율적으로 해치운다는 목표를 정해 놓고 하면 생각보다 고통스럽지 않다. 목표를 설정해 놓으면 일하는 괴로움이 상당히 줄어든다.'

지금부터라도 이러한 생각을 가지고 행동을 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하겠다 라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