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이트는 요리사였다
제임스 힐만 외 지음, 김영진 외 옮김 / 황금가지 / 2001년 12월
평점 :
품절


심란하다. 몹시도 심란하다.

사실 프로이트는 우리네 보통내기들이 대강 알거나 아는 척하는 심리학의 대명사이자, 정신분석학 하면 떠오르는 대표적인(유일한) 인물이다. 정신과 전문의에게서 치료를 받는 것을 '나는 미쳤다'라고 대외적으로 공언하는 것과 동일시하는 사회 환경 속에서 사람들(보통 사람들)은 그 밖의 정신분석학 학파나 이론가들에 대해서는 크게 관심을 갖지 않는다. 오로지 프로이트뿐이다.

아마 프로이트라는 이름이 이렇게 오래도록 유명세를 누리는 이유 중에는, 모든 정신 현상의 근원을 리비도라고 하는 성적 본능으로 환기하고, 오이디프스 컴플렉스 같은 대단히 파격적인 해석을 내놓았기 때문에 그의 이름이 (보통 사람들에게는) 스캔들적으로 회자된 경향도 무시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런데 프로이트가 요리사였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프로이트가 직접 쓴 요리책(Freud's Own Cook Book)이 발견된 것이다!!!

흠, 흥미롭군. 재미있겠는 걸... 사람들이 관심을 가질 만한 내용이었다. 특히나 일상의 지루함을 맛있고 독특하고 새롭고, 게다가 재미있는 음식을 먹는 것으로 해소해보려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던 때라, 프로이트의 요리책은 세인의 관심을 끌기에 너무나도 충분했다. 온갖 신문의 제호를 꼬리표로 달고 있는 미디어 리뷰 모음을 보라. 이것은 기발한 발상이며 유쾌한 농담이며 재치있는 패러디였을 것이다. 아마도. (이렇게밖에 말할 수 없는 상황이 너무나도 안타깝다.)

그의 이론에 동의하건 하지 않건, 어쨌거나 대중적인 정신분석학의 일가를 이룬 프로이트라는 거물을 인정할 수밖에 없다면, 그의 독특하기 짝이 없는 학설과 치료법은 물론이고, 가족관계, 주변 인물과 성장 배경, 지인과 주고받은 편지, 친구들과 적대자...에 이르기까지 프로이트라는 인물과 관련된 모든 것을 넣어서 완성해낸 하나의 요리는 그것만으로도 충분한 가치를 지닌다.

그러므로 이 책은 즐겁고, 재미있고, 유쾌하고, '맛깔'스러워야만 했다. 스스로를 편저자라고 부르며 프로이트 인형을 실에 꿰어 인형극을 펼치는 저자들은 '해박한 지식과 상상력'을 동원하여 장난을 쳤으니까. 그들은 이 심각한 인물을 두고 짐짓 장난을 걸어온 것이니까.

그런데 알고 봤더니 그 장난스러운 인형극에는 관람 요건이 있었다. (책을 사기 전에 알았더라면!) 장난스러운 인형극이니까 '7세 미만'이었던 게 아니라, 성에 대한 발언이 군데군데 이어지니까 '18세 이상'이었던 게 아니라, '프로이트에 대한 기본 지식 보유자일 것'이 그 요건이었다.

그러므로 보통 사람들은 이 재미있는, 유쾌한 농담이며, 재치있는 패러디를 제대로 즐길 수가 없다. 게다가 그것이 우리말로 옷을 바꿔 입는 과정에서 농담의 미묘한 향이 무뎌지거나 패러디의 섬세한 장식이 떨어져나가고, 식거나 미적지근해지고, 원래 넣어야 하는 재료를 구하지 못해 대강 비슷한 걸로 떼우는 식이 되어 버린 곳이 곳곳에서 눈에 띈다. 사실은 너무 많이 눈에 뗘서 도저히 끝까지 읽어낼 수가 없었다. 물론 그 모든 이유는, 읽는 내가 관람 요건을 갖추지 못한 '비자격자'인 탓이겠지만.

번역은 아마도 대단히 어려웠을 줄로 짐작한다. 잘은 모르겠지만 그랬을 것 같다. 차근차근 선과 후를 설명해주는 것도 아니고, 조근조근 이야기를 풀어가는 것도 아니고, '너도 다 알지? 모르면 말고' 식으로 겅중겅중 이리 뛰고 저리 뛰는 슬랩스틱 코메디식, 또는 축지법식 구성을 따라잡기 힘들었을 것이다.

하지만, 번역자가 조금만 더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번역을 하고(한 사람은 정신과 전문의이고, 한 사람은 영어 전문가인데...), 편집자가 조금만 더 친절하게 편집을 했더라면(왜 원주와 역주를 구분해서 달지 않았을까? 왜 편집자주는 넣을 생각을 안했을까?) 보통사람들도 재미있게 읽을 만한 책이 되지 않았을까, 하는 오랜 안타까움이 남는 그런 책이다. 아까운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