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미움받을 용기 미움받을 용기 1
기시미 이치로 외 지음, 전경아 옮김, 김정운 감수 / 인플루엔셜(주) / 2015년 4월
평점 :
판매중지


그동안 접했던 고전적인 철학이론과 반대인 말을 하고 있다. 하지만 어디선가 들어본 말들이 많다. 현대에 아들러 심리학이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의미일까?

인상적이었던 말들은 발췌해본다. 일부는 내 생각대로 적은 것들도 있다.

중요한 것은 무엇이 주어졌느냐가 아니라 그것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이다. 주어진 것이 아니라 스스로 선택한 것이라 한다면 다시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천하지 않음으로써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남겨두려 한다. 해야 할 일을 앞두고 `할 수 없는 이유`를 찾는 게 더 고달픈 삶이다.

지금의 나를 받아들이고 한발 나아가는 용기를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용기 부여`라고 한다.

인간의 고민은 죄다 인간관계에서 비롯된 것이다.

우리를 괴롭히는 열등감은 `객관적 사실`이 아니라 `주관적 해석`이다. 건전한 열등감이란 타인과 비교해서 생기는 게 아니라 `이상적인 나`와 비교해서 생기는 것이다. 지금의 나보다 앞서 나가는 것이 가치가 있다.

인간은 `이 사람과 함께 있으면 자유롭게 행동할 수 있다`라는 생각이 들었을 때 사랑을 실감할 수 있다.

누구의 과제인지 구분하는 쉬운 방법은, 그 선택이 가져오는 최종결과를 받아들이는 사람이 누구인가?를 생각해보면 된다. 서로의 과제에 개입하지 않는 거리가 좋다.

미움받는 것을 두려워해서는 안된다. 자유란 타인에게 미움을 받는 것이다. `나를 싫어하지 않았으면 좋겠다`라고 바라는 건 내 과제지만 `나를 싫어하느냐 마느냐`는 타인의 과제이다.

다른 사람을 평가하는 건 상하관계를 만든다. 순수한 느낌, 고맙다 등으로 표현하자.

존재 자체로 감사하자. 점수를 100점에서부터 평가하면서 깎지 말고 0점에서부터 출발하자.

자기수용이란 `하지 못하는 나`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선처럼 보이는 삶은 점의 연속, 다시 말해 인생이란 찰나의 연속이다. 선이라면 설계가 가능하겠지만 점은 그렇지 않다. 따라서 `지금, 여기`를 진지하게 살아야 한다.

집에서 나온 순간 이미 `여행`이고, 목적지를 향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모든 순간이 여행이다. 목적지에 다다르지 않아도 상관 없다.

내가 바뀌면 세계가 바뀐다. 나 이위에 누구도 세계를 바꿀 수 없다.

˝누군가가 시작하지 않으면 안됩니다. 다른 사람이 협력하지 않더라도 그것은 당신과 상관 없습니다. 당신부터 시작하세요. 다른 사람이 협력적인지 아닌지는 상관하지 말고.˝

미움받을 용기를 가지자. 지금,여기를 진지하게 살아나가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