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들백 - 소유할 수 없는 자유에 관한 아홉 가지 이야기
바히이 나크자바니 지음, 이명 옮김 / 황매(푸른바람) / 2006년 10월
평점 :
품절


 

‘새들백’ - 나의 새들백엔 무엇이 들었을까?


바히이 나크자바니



처음 접해보는 이란 작가의 소설. 게다가 여류 작가.

책의 제목보다 부제가 더욱 인상 깊었던 책. (소유할 수 없는 자유에 관한 아홉 가지 이야기)

‘새들백’은 이런 인상을 남기며 제게로 왔습니다.


그 느낌에 취해 책을 펴들고 제가 가장 처음 한 일은 컴퓨터 앞에 앉아서 검색창에 새들백이 무엇인지 검색어를 입력하는 것이었습니다.


새들백 [saddle bag]

[명사]안장가죽으로 만든 튼튼한 가방. 주로, 어깨에 메고 다닌다.


국내 굴지의 포털 사이트들에 검색을 하고나서야 영화 ‘아라비아 로렌스’에서 안소니 퀸이 네퓨다 사막을 건널 때 낙타의 안장에 걸려있던 가방이 바로 새들백이란 걸 알았습니다.


소설 ‘새들백’은 이 ‘새들백’을 중심으로 자유를 갈망하는 베두인족 도둑, 신기한 초능력을 가진 조로아스터교 여인, 베두인족 도둑을 휘하에 두고 있던 두목, 신부(新婦)가 될 여인의 재산을 노리는 인도인 환전상, 웃음을 잃고 신부가 될 여인의 시중을 드는 유대교도인 아비시니아 노예 여인, 모든 공포를 이겼지만 사막의 공포만은 이기지 못한 늙은 위구르 순례자, 여자를 두려워하는 고지식한 성직자, 정치적 목적을 가지고 탁발승으로 변장한 영국인 스파이. 그리고 한 구의 시체가 등장해 잘 짜여 진 옷감의 씨실과 날실처럼 서로 얽히고설키며 전체의 이야기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그들 중 몇몇은 재물을 모으기 위해, 누군가는 자유를 찾아서, 삶과 절대자에 대한 깨달음을 위해, 또 몇몇은 명예와 권력을 위해 길을 떠나고 새들백을 만나게 됩니다.

국적, 종교, 계급이 각기 다른 아홉 명의 인물들은 어떻게 한날한시에 메카와 메디나로 가는 사막의 한 가운데에서 함께 모이게 되었으며, 왜 그들은 새들백에 집착을 했을까요?


‘새들백’은 단순한 소설이라기보다는 삶의 의미를 찾아가는 과정을 담은 구도(求道)소설에 가까웠습니다. 책을 읽으며 등장인물들의 고뇌 속에서 제 자신의 나약함을 엿보기도 하고, 그들의 진정성에 감탄하기도 했습니다.

일단 올라타서 목적지만 이야기하면 그곳까지 바래다주는 택시가 아닌, 여러 번의 시행착오를 겪으며 엉뚱한 곳을 헤매기도 하지만 버스를 타고, 지하철을 타고, 걷기도 하고 뛰기도 하면서 결국은 목적지에 다다르는 등장인물들의 모습은 저 자신을 반추하게 만들었습니다. 이 책의 가장 큰 미덕은 바로 이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과연 ‘새들백’엔 무엇이 들어있을까요?


책을 다 읽은 저도 이 질문엔 뭐라고 대답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사막에서 신기루를 만난 것처럼 알듯 모를 듯 묘한 여운이 남아 내내 마음이 불편했습니다.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은 앞으로 이 책을 읽을지도 모르는 여러분에게 달려 있을듯합니다.

책을 한 번 더 읽어보면 그 답을 저도 구할 수 있을까요?

아니면 좀 더 시행착오를 겪으며 살아보면 제게도 새들백의 의미가 자연스레 알아질 날이 올까요?


오래 곱씹어볼 책인 듯합니다.




자유, 그 베두인에게 자유는 그가 숨 쉬는 사막의 공기 같았다. 자유란 아는 자는 가질 수 있지만 알지 못하는 자는 가질 수 없는 열린 공간이었다. (P. 9)


<변화의 책>(주역 周易 - 옮긴이)은 세상에는 서로 다른 길이 많이 있으나 목적지는 동일하다고 말했다. 수많은 논의가 있어도 결과는 하나다. 이름들은 다르지만 근원은 최초의 점이다. (P. 261)


성직자는 사랑을 해본 적이 없으므로 그것이 자신에게 온 것도 알지 못했다. 그래서 그는 의문을 품지 않고 그 짧은 아름다움이 흘러가게 내버려두었다. 그게 무엇인지 더 이상의 증거는 필요하지 않았다. (P. 30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