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전출처 : 책읽는나무 > 어른이 보는 그림책(?)
보름달의 전설
미하엘 엔데 지음, 비네테 슈뢰더 그림, 김경연 옮김 / 보림 / 2005년 3월
평점 :
절판


요즘 <어른들이 보는 그림책> 내지는 <어른들이 읽는 동화>라는 테마의 책들을 종종 보게 된다.
이런 책들은 일단 부담없이 책을 넘기며 읽을수 있어 좋다.
부담없이 읽었으되 책을 덮고 나면 잃어버린 그무엇인가를 다시 가슴속에 주워 담은것 같은 느낌이 있어 또 좋다.
헌데 좋은것은 알겠는데...그게 또 이런 책들은 솔직히 말해 돈 주고 잘 사지지 않는 책들이다.
같은 돈이면 더 오래 소장할수 있는 책들의 가치를 저울질 하느라 내가 구입하는 책 목록표에선 가차없이 소외당하는 책들이다..ㅠ.ㅠ

헌데...요즘 시간이 흐를수록 '아~~ 이래선 안되겠구나!' 라고 새삼 다짐하게 되는데..그 이유는 내가 내새끼를 키우고 있기 때문이 아닌가? 라는 생각을 해본다...내새끼를 키우기 위해서 정서순화를 위해서 마음이 따뜻해지는 책을 애써 옆에 끼고 봐야만 할것 같기 때문이다..ㅡ.ㅡ;;
좀 이상한 목적으로 어른들이 보는 그림책을 찾는 이유가 되어 좀 거시기하다...ㅠ.ㅠ

오늘 나는 소장가치가 높은 그림책 한 권을 만났다.
그 유명한 미하엘 엔데의 책이다..일찌기 <모모>책을 읽고서 개인적으로 깨달음이 컸던지라 초등학교를 다니는 조카에게 읽어보라고 강요했고(일주일만에 다 읽은 조카에게서 결국 "모모책 재밌어요!"라는 대답을 들은후 집으로 돌려보냈다..^^"")...초등학교를 다니고 있는 지인의 딸들에게도 또 <모모>책을 안겨주고서 독후감 써서 이메일로 보내라고 협박을 했다..이거 자라나는 새싹들에게 어른답지 않게 강요를 한것 같아 많이 부끄럽지만 이렇게 해서라도 미하엘 엔데의 책을 내주위의 아이들에게 읽히고 싶었다.

그런데 오늘 또 다른 책을 만났으니...이제 조카들은 또 내게서 시달림을 받을 듯 하다..ㅋㅋㅋ
조카들에게 선물을 해주고 싶긴 하나...이책 만큼은 개인적으로 오랫동안 소장해야겠단 생각이 먼저 앞선다..책의 내용자체도 많은 생각을 제시해주고 있지만 일단 비네테 슈뢰더의 그림이 하나의 명화를 보는 듯한 착각에 빠진다..이책도 작가와 일러스트레이터의 궁합이 잘 맞는 책인것 같다.
몽환적 분위기의 초현실주의적인 그림들이 신비스럽다 못해 사람을 공중에 붕 뜨게 만드는 느낌마저 든다.

성스러운 삶을 살아가는 고고한 은자와 밑바닥을 살았던 도둑!
이 두 사람이 찾으려 했던 진리의 깨달음은 누구나 적중할수 있는 은자가 진리를 깨달았을것이라고 생각하지만...그결과는 정 반대였다.
도둑의 눈에 진실과 허위를 정확하게 비쳐졌던 것이다.
은자는 오히려 눈에 비늘이 한꺼풀 씌어졌는지 오소리를 대천사 가브리엘이라 믿으며 자신이 바로 진리의 깨달음을 얻었다고 생각한 것이다..은자는 오랜세월동안 독실하게 수행을 행하여 왔지만 결국은 자신만의 아집에 둘러싸여 자만심에 빠져 든 경우라고 보여진다.
보통 사람들도 자신의 허점과 단점은 스스로 알지 못한다..유행가 가사처럼 내속에 내가 너무도 많아 내생각들로 가득차 있기에 자신의 단점이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내가 아닌 타인의 눈엔 내자신의 단점이 정확하게 보이는 것이다. 
은자가 범한 우가 바로 이것이 아닌가!라고 생각한다.
은자는 그것도 모르고 도둑이 진리의 깨달음을 얻지 못하는것에 통탄만 하는 모습들이 내모습 같아 보이기도 한다.
나를 먼저 되돌아 보기에 앞서 남을 비난하는 마음이 먼저 앞서는 은자의 모습!..ㅡ.ㅡ;;

암튼...보름달이 뜬 날에 도둑으로 인해 은자는 큰 깨달음을 얻었다.
은자의 깨달음은 바로 나의 깨달음이기도 하다.
미하엘 엔데는 쉽게 지나칠수 있는 것들을 다시 한번 더 생각하게 만드는 큰힘을 지닌 작가라고 생각한다.
글이 만들어낸 그이미지를 비네테 슈뢰더의 아름다운 그림으로 이미지를 확립시켜주니 아이들이 읽으면 유익한 교훈이 될만한 그림책이 되기도 하겠지만...어른들도 한번쯤 읽어봐야만 할 필독서가 아닐까! 라고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야옹이꺼 > 기분 좋은 사우나 같은 책
자유의 감옥 올 에이지 클래식
미하엘 엔데 지음, 이병서 옮김 / 보물창고 / 200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사우나에서 시원하게 땀 내고 상쾌하게 목욕탕을 나서는 기분을 한 번쯤은 경험해 보았을 것이다.  이 책을 덮는 순간 내 기분이 꼭 그랬다. 기분 좋은 사우나를 마치고 나오는 것 같은 그런 기분. 똑같은 풍경, 똑같은 공기 속으로 나서는 것인데 왠지 좀 달라진 것 같고 가뿐한 그런 기분. 이 책은 한 마디로 그런 '기분 좋은 사우나' 같은 책이다. 답답하고 묵직한 공기로 가득 찬 방의 큰 창문을 활짝 열어 차고 맑은 공기를 맞을 때의  기분과도 비슷하다. 미하엘 엔데 특유의 장난기 가득한 글을 정신없이 읽었을 따름인데.

이 책은 여덟편의 단편이 실린 단편집이다. 그래서 '출퇴근 할 때 한 편 씩 읽으면 며칠은 버틸 수 있겠구나' 생각했었다. 그런데 그건 오산이었다. 한 번 잡고서 끝까지 다 '읽어버리고' 말았으니까. 내가 미하엘 엔데를 너무 과소평가 했었던게다. 하지만 상쾌했다. 책을 이렇게 한 번에 끝까지 읽어내린 것은 실로 오랜만이었으니까 말이다.

무엇보다 재미있다. 미하엘 엔데의 상상력의 끝은 어디일까, 이 사람은 도대체 어떻게 살았길래 이런 생각을 해 낼 수 있을까 등의 생각을 하면서 읽다보면 어느 새 마지막 장이다. 읽은 부분보다 읽지 않은 부분이 더 많이 남은 걸 보면서 '어, 다행이다. 아직도 이만큼이나 남았네'라고 생각하게 만드는 책은 김용의 '영웅문' 시리즈 이후로 처음이었나 보다.

그래서일까, 정말 이 책은 '기분 좋은 사우나'와도 같다. '전환' 혹은 '환기'라는 말이 절로 떠 오른다. 요즘 인기 있는 개그맨의 유행어인 '빠져봅시다!'가 생각난다. 그렇게 한 번 빠져들어서 정신없이 읽고 나서 책장을 덮으면서 기분 좋은 한숨을 한 번 쉬게 된다. '내게 아직 여유가 있구나' 하는 생각 때문인지, 아니면 현란한 상상의 세계에서 현실로 돌아왔다는 안도감 때문인지.

'전환'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환기'가 필요한 사람들에게 감히 일독을 권한다. 한 번에 끝까지 정신없이 읽히는 책을 읽는 상쾌함만으로도 이 책은 충분히 '기분 좋은 사우나'의 역할을 해 주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파피루스 > 니시무라 아키라의 베스트
순서가 한눈에 보이는 정리기술
니시무라 아키라 지음, 김화숙 옮김 / 영진.com(영진닷컴) / 2003년 7월
평점 :
절판


니시무라 아키라는 이 책에서도 언급했듯이 연간 300회의 출장을 다니면서 매년 10권의 단행본을 집필하고, 최근 2,3년간 40여권의 책을 출간한 일본인이다. 그의 책은 간결하고 실용적이긴 하지만 그의 책들을 모두 사 볼 필요가 있을만큼 깊이 있게 쓰여진 글들은 없다. 그의 책을 집대성해서 요약한 책이라고 할 수 있는 책이 <정리기술>이란 책이다.

저자의 책들은 주로 시간관리, 인맥관리, 정보관리, 물건관리 등에 관한 책들을 쓰는데, 이 모든 것이 <정리기술>이란 책 한 권에 요약되어있다. 그의 다른 책들을 여러개 사서 그의 생각을 종합해서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겠지만, 지금 처음으로 그의 책을 접하는 사람이라면 차라리 <정리기술>이란 책을 사서, 두세번 읽어 보는 것이 나을 것이란 생각이 든다.

<정리기술>이란 책에는 정보편, 업무편, 시간편, 인맥편, 물건편, 사고편이 골고루 나와있다. 정보편만 따로 떼서 자세히 쓴 책이 'CEO의 정보감각엔 뭔가 비밀이 있다'고, 시간편을 따로 떼내어서 쓴 책이 'CEO의 다이어리엔 뭔가 비밀이 있다'라는 책이다.

정리, 정돈, 관리에 대한 책들은 일본인과 독일인의 책이 도움이 많이 되는데, 일본인 니시무라 아키라의 <정리기술>과 독일인 베르너 티키 퀴스텐마허의 <단순하게 살아라> 정도의 책들만 읽고, 실제적으로 실천을 해 나가는 것이 책만 읽고 실천하지 않는 것보다 휠씬 삶에 도움을 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자그니 > 그리 좋지는 않은 정리 기술책
정리의 기술 - 하루를 48시간으로 사는
사카토 켄지 지음, 이봉노 옮김 / 북뱅크 / 2004년 5월
평점 :
절판


정리하면서 사는 삶에 대한 개념을 잡으려면 자이베르트의 "단순하게 살아라"라는 책을, 실무적인 기법을 배우고 싶으면 무라오카 마사오의 "지금 바로 정리하라"와 니시무라 아키라의 "순서가 한눈에 보이는 정리기술"을 더 추천한다.

이 책은 여러가지 정리법에 대해서 적어놓고 있지만, "왜 정리를 해야하는 지"에 대한 철학이나 실질적인 정리의 방법에 대해서 그다지 새롭거나 즐거운 견해를 말해주지 못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알라딘도서팀 > 우리에게 필요한 시간은 정확히 3분이다.


 

하루에도 수많은 시나리오 작가들이 미팅을 기다리고 있다. 그 작가들에게 제작자들은 이렇게 말한다.

"3분 안에 설명하시오!"

아무리 감동적인 시나리오라도 3분 안에 제대로 설명할 수 없다면 허사이다.

그러고 보면 컵라면도 3분, 권투의 1라운드도 3분이다. 즉석사진도 3분이고, 경찰이나 응급환자들을 위한 비상출동 시간도 세계 어디서나 3분이다. 3분은 한 사람의 인생에서 기적을 일으키기에 충분한 시간인 것이다.

그렇다면 반드시 3분이어야 할까? 짧고 간단한 것이 상황 판단에 도움이 된다면, 4분이나, 5분 혹은 10분 내외라도 상관없지 않을까?

아니다. 우리에게 필요한 시간은 정확히 3분이다.

남의 말을 듣는 것은 내 얘기를 하는 것에 비해 3배 이상의 에너지가 필요하다고 한다. 인간의 주의력을 테스트한 결과, 한 가지에 쏟아붓는 주의력이 지속되는 시간이 24초 내외였다. 즉, 3분이 넘어가면 주의가 산만해진다. 때문에 최상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필요로 하는 시간을 '3분'으로 잡고 있는것이다.

3분이란 천천히 말할 때 800자 정도, 빠르게 말하면 1만 1000자가 된다. 문서로 작성했을때는 400단어 내외로 대략 보고서 1장 분량이다. 요즘 대기업에서 선호하는 '1페이지 보고서'역시 최고의 집중을 요하는 시간이 3분이기 때문에 고안된 개념이다.

-- <3분력> 다카이 노부오 지음, 청림출판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