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
박민규 지음 / 한겨레출판 / 200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삼미 슈퍼스타즈는 그 화려한 패배의 기록들 때문에 더욱 애정이 간다.

재작년 여름 어느 영화관 기억이 난다.

지금은 없어진 종로 3가 <코어 아트홀>에서 보았던 <엄마는 여자를 좋아해>란 영화는

다 합쳐서 10명도 안되는 그 관객들과 함께 웃고 울면서 즐겼던 그 기억.

난 패배자에게 어쩔 수 없는 동경을 갖고 있다. 동정이 아니라, 동경.

나 역시 패배자일 때도 우승자일 때도 있지만 동경은 결국 지는 사람쪽에 기운다.

 

우리는 이 인생을 왜 살고 있고 어디로 와서 어디로 가는 걸까?

이 뻔하고 닳은 질문을 수없이 던지며 지금도 숨쉰다는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프로인지 아마추어인지 스스로에게 다른 질문을 던져본다.

 

이 책에 대한 평가다운 평가를 해보자면,

이 책은 매우 매우 읽기 쉽고 부담없으며 빠르게 읽힌다.

나같이 어려운 소설따윈 질색하는 사람에게,

영화든 드라마든 간단하면서 감독이 직접 떠먹여주는 밥에 익숙해진 관객에게

전혀 부담이 없다.

맞춤형 교재랄까?

그들에게는, 이 책에게는, 교재라는 단어조차 어울리지 않겠지만.

 

이 책을 읽다보면 자기도 모르게 쿡쿡 터져나오는 웃음을 멈출 수 없다.

미간이 찌푸러지기도 하고 조금은 지루한 느낌을 받을 수도 있다.

무엇보다도 예의 그 남자의 시선으로 쓰여지는 대부분의 소설이 가진

"청년 때 가진 첫사랑, 첫경험의 추억"이 뻔하게 쓰인 건 가장 큰 단점이지만.

왜 꼭 모든 소설에 등장하는 그녀들은 다 이런 식이지... 마음에 안든다. 심하게.

하지만. 이런 단점에 다른 걸 가릴 수는 없는 노릇이니까.

이런 한두가지 단점도 가져야 되는 것 아니겠어?

그래서 별 한쪽을 제외했다.

 

개강전에 혹은 취직전에 모두들 읽어보자.

혹시 개강도 했고 취직도 했다면 그래도 읽어보자.

그리고 아랫 배에 힘을 꽉 주고 외쳐보자.

"치기 힘든 공은 치지 않고 받기 힘든 공은 받지 않는다."

물론, 이 책에는 이 구절보다도 더 주옥같은 구절이 눈에 여럿 띈다.

그건 책을 직접 읽어본 사람만의 즐거움이므로 리뷰에서는 생략.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