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세기 소년 14
우라사와 나오키 지음, 서현아 옮김 / 학산문화사(만화) / 2003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20세기'는 우리가 지나온지 몇 년 되지 않은 근과거다. 그 속에는 온갖 인간의 역사가 뒤엉켜있다.
1,2차 세계대전과 UN의 창설, 원자폭탄의 실질적 사용, 눈부신 과학과 기술의 발전, 그것을 주체하지 못하고 흔들거리는 인간성등등 20세기는 인류가 생겨난 이래로 가장 정신없고 뭐라 분류해낼 수 없는 복잡한 시대다. 이런 시대의 소년들 이 주는 이미지는 무엇일까? 소년이 주는 이미지는 대개 풋풋함과 무한한 가능성, 그리고 어른들처럼 이런 저런 조건으로 인해 망설이며 일을 하지 않는 모습은 보이지 않는 (약간의) 무모함 등등일 것이다. 그래서 20세기 와 소년들 은 제목부터 사람들에게 많은 이미지를 제공한다.
다소 허구맹랑한 기본 설정들 때문에 정말 보잘 것 없는 공상과학영화들 처럼 흘러갈 지도 모르는 위험성을 안고 있지만 역시 최고의 작가인 우라사와 나오키는 그 위험성을 오히려 만화의 장점으로 승화시킨다. 전혀 일어날 수 없을 것 같은, 논리적으로 맞지 않는 그런 이야기들이지만 그렇기에 오히려 더 과학적인 생각이 필요한, 그런 이야기를 할 수 있는지도 모른다. 보통 허구의 이야기나 행동들은 지탄을 받기 마련이다. 전혀 소득도 없고 우리가 살고 있다는 것 자체가 진실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렇게 정말 안 일어날 것 같은 허구성을 멋지게 요리 해내면 진실과 가까워 지는 것 같다. 이 것에 대한 결론은 물론 만화가 완결이 나야 완벽히 내릴 수 있는 것이겠지만 말이다.
이 만화의 장점은 전작 몬스터 처럼 심리묘사에 치중하느라 스토리 전개가 지지부진 하지 않다는 점이다. 심리묘사는 몬스터에 비해 극도로 제한되어 있고 우리가 대충 상황을 보며 생각해 낼 수 있는 그정도의 평범한 심리상태를 인물들에게 부여한다. 대신 빠른 이야기 전개가 그 자리를 대신 차지했다. 미스테리 소설처럼 무릎을 탁 치게 만드는 이야기 구성방식을 택하면서 빠르게 전개시키기 때문에 정말 흥미 진진하게 읽을 수 있는 것이다.